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1형 Chiari기형에서 발생한 급성후천내사시 2예

        윤영인,정재호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8

        Purpose: We report two cases of patients who were referred to our clinic with acute acquired comitant esotropia (AACE) and were then diagnosed with a Chiari I malformation. Case summary: A 15-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acute diplopia for one week. She complained of headache, dizziness, and nausea one week before the onset of diplopia. The angles of esodeviation were concomitant in all directions of gaze, and no limitation in abduction was observed. Fundus photographs showed bilateral papilledema an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cerebellar tonsillar herniation. She was diagnosed with acute acquired comitant esotropia associated with Chiari I malformation and was referred to the Neurosurgery Department for consideration of decompression surgery. A 12-year-old male presented with an acute onset horizontal diplopia for one week. He had a history of dizziness with syncope three months prior to his visit. He had comitant esotropia in all directions of gaze without any limitation of ocular movement.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cerebellar tonsillar herniation and he was diagnosed with acute acquired comitant esotropia associated with Chiari type I malformation. He was treated with bilateral medial rectus muscle recession surgery to correct esotropia and he had no diplopia after the surgery. Conclusions: When a patient presents with AACE, especially in the presence of neurological symptoms/signs such as headache, syncope, or papilledema, a full neurological examination and prompt neuroimaging are warranted to rule out Chiari I malformation. 목적: 저자들은 급성후천일치내사시로 의뢰된 환자 중 제1형 Chiari기형이 급성후천일치내사시의 원인이었던 두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15세의 여자 환자가 1주일 전 갑자기 발생한 수평복시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복시 발현 1주일 전 두통, 현기증, 오심을 호소하였다고 한다. 모든 방향에서 내사시각은 일치하였으며 양안에 외전장애는 없었다. 안저검사상 양안 시신경유두의 부종 소견을 보였다. 뇌 자기공명영상검사상 소뇌 편도 탈출 소견이 관찰되어, 제1형 Chiari기형으로 진단하고 신경외과로 의뢰하였다. 12세의 남자 환자가 1주일 전 갑자기 발생한 수평복시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3개월 전 현기증과 실신의 과거력이 있었다. 일치내사시 소견을 보였으며 안운동의 제한은 없었다. 뇌 자기공명영상검사상 경도의 소뇌 편도 탈출 소견을 보여 제1형 Chiari기형으로 진단하였다. 양안내직근후전술 시행 후 복시 증상은 해소되었다. 결론: 급성후천내사시 환자에서 시신경유두부종, 두통, 실신과 같은 신경안과적인 징후나 증상이 있는 경우 두개강내 신경학적 이상을 의심하고 면밀한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금융에서의 시계열 이미지화 인코딩에 따른 불확실성 정량화

        윤영인,양준성,정혜영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24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34 No.1

        시계열 분석에 딥러닝이 활발히 적용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성능을 보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딥러닝은 점추정 예측값을 제시하기에 예측에 대한 불확실성을 측정할수 없다. 또한 신호 데이터에서는 이미지화 인코딩 기법인 RP(Recurrence Plot), GAF(GramianAnugular Field), MTF(Markov Transition Field)를 적용하여 이미지화에 따른 딥러닝의 성능을 비교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금융시계열 데이터에 적용된 사례는 많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의 특징에 따른 이미지화 기법별 딥러닝 모델의 성능을 비교하고 드롭아웃을 적용한 딥러닝 모델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고자 한다. 실험을 통해 다양한 패턴에따라 적합한 이미지화 인코딩 기법을 찾고 불확실성을 정량화하여 모델 예측의 신뢰도와 이상 탐지에 효과적인 이미지화 인코딩 기법을 확인하고자 한다. Deep learning is being actively applied to time series analysis, and research isunderway showing high performance in various fields. However, because deeplearning provides point predictions, the uncertainty in the predictions cannot bequantified. In addition, research is underway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deeplearning by applying encoding techniques such as Recurrence Plot(RP), GramianAngular Field(GAF), and Markov Transition Field(MTF) to signal data, but thereare few cases of application to financial time series data. In this paper, we comparethe performance of deep learning models for each imaging technique according todata characteristics and quantify the uncertainty of deep learning models usingdropout. Through experiments, we find suitable image encoding techniques accordingto various patterns, quantify uncertainty, confirm the reliability of model predictions,and find effective image encoding techniques for anomaly detection.

      • KCI등재후보

        전근대 동아시아 천하체계와 조공체제

        윤영인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8 동양문화연구 Vol.29 No.-

        As China plays a larger role in today’s international relations, Chinese scholars are formulating China-centered theory that draws on East Asian historicial tradition. Zhao Tingyang has proposed the “Tianxia system” theory based on idealized world of Confucian morality. He asserts that East Asian world order will inevitably develop and maintain a world order that is China-centered, hierarchical, and mutually beneficial. This framework is reminiscent of the traditional notion of tribute relations. While many scholars are skeptical about applicability of “Tianxia system” theory to contemporary world order, they accept its utility for the historical periods when China was acknowledged as the center of superior civilization. The Tianxia system theory can provide new insights and clues for the world view and foreign policies of Han Chinese dynasties, but they were often merely one of the players in multi-centered world order. The historical concept of “China” was not fixed but a product of political compromises and cultural interactions, but it loses its historical and wide-ranging connotations in the theories of “Tianxia system” and tribute relations. This is a result of historical presentism that takes all history within the space occupied by today’s China as “Chinese history” and also reflects the scholarly trend that approaches East Asian history only from the China-centered perspective. Indeed, the “treaty relations” in the multi-centered world order in East Asia illustrate the collapse of the ideal of the tribute system and further highlight unhistoricity of the Tianxia system theory. Thus, the study of premodern East Asian interstate relations must pay attention to diverse theories and incorporate perspectives of the “periphery.” 21세기 중국은 국제질서에서 점차 큰 역할을 담당하면서 이에 걸맞게 중국 특색(혹은 중국중심적)의 “천하체계”(Tianxia system)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자오팅양[赵汀阳]은 전통적 ‘천하’ 개념을 3000년 전 주나라의 역사기록을 통한 ‘실증적’ 해석에서 찾아 ‘중국식의 유교적 도덕성과 겸용보편주의를 갖춘 이상적인 세계 천하체계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론의 핵심은 동아시아 국제질서체계가 필연적으로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계서적이면서도 호혜적 관계를 성립하고 유지한다는 주장인데 이는 동아시아 전통시대의 ‘조공관계’를 연상시킨다. 중국 외부의 대다수 학자들은 천하체계 이론이 오늘날 국제질서와 중국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유용하다는 주장에 회의적이다. 하지만 그들 역시 중국이 가장 강한 국가이자 우월한 문명의 중심으로 인정받았던 시기 한족왕조의 세계관과 정책을 이해하는데 새로운 통찰력과 단서들을 제공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동아시아 국제질서에서 중국이 항상 중심이었던 것이 아니다. 또 ‘중국’이라는 개념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진행된 정치적 타협과 문화적 교류의 산물이었다. 그러나 “천하체계”와 “조공관계” 이론에서 ‘중국’이란 개념은 역사성과 다양성의 의미를 상실한다. 여기에는 현재 중국이라는 공간의 역사를 모두 ‘중국사’로 인식하고자 하는 현재주의와 중국을 동아시아 역사에서 모든 것의 중심으로 보는 학문적 편견으로 드러난다. 동아시아 국제관계사에 보이는 “맹약체제” 혹은 “다원적 국제관계”는 천하체계 이론의 비역사성과 허상을 보여준다. 결국 전근대 동아시아 국제관계 연구는 문화론적 천하체계와 조공체제라는 일방적 시각을 넘어 지정학적 세력균형과 실리주의 등 다양한 이론과 ‘주변’의 입장에서 접근하여 비교·분석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GUI 사례 분석

        윤영인 디지털스토리텔링학회 2010 디지털스토리텔링연구 Vol.5 No.-

        얼마 전까지만 해도 온라인 게임, 인터넷 게임이라 함은 다사용자 온라인게임과 같이 불특정 다수와 함께 게임 활동을 하며 게임 내에서 형성한 특정 모임 구성원들과의 소통은 게임 내에서만 가능했었다. 그러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내에서 게임 활동이 가능해지자 사람들은 게임으로 소통하기 시작했다. 전 세계가 온라인화되고 인터넷을 통해 모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의 개념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고 있는 것이다. 소셜 미디어는 기존의 인터넷에서 생산되는 과다한 정보의 병목 현상을 해소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소셜 미디어 서비스는 등장한 지 채 3년도 안 돼 인터넷 역사상 처음으로 포르노를 제치고 사람들이 웹에서 가장 즐겨하는 활동으로 떠올랐다.1)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게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개인화된 스토리들을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들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채널을 다양하게 열어 놓은 것이다. 예를 들어 자신이 진행하는 게임에서 일어난 다양한 사건들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새로운 소식으로 연동하여 포스팅함으로써 게임 진행 소식을 알리고 그 소식을 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지인들이 참여하도록 독려하거나, 게임을 이미 함께 진행하고 있는 구성원 간에 서로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게임의 진행은 더욱 원활해지고 이러한 활동을 많이 할수록 게임에서 얻는 이득이 커지게 된다.

      • KCI등재

        사상과 역사 : 고려전기 대거란관계와 북방문화의 영향

        윤영인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4 동양문화연구 Vol.19 No.-

        고려와 거란은 몇 차례 대대적인 전쟁을 치렀고 대체로 적대적인 관계가 지속되었다고 본다. 나아가 고려와 만주지역에 정복왕조를 세운 북방민족의 문화적 교류에 대한 사료는 극히 드물고 이에 대한 학문적 관심과 연구도 소략하다. 하지만 전근대 시기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고려와 거란의 문화적 경계가 반드시 정치·군사적 국경만큼 엄격하게 차단되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송 문화에 대한 고려의 동경심이 양국의 밀접한 정치적 협력과는 별도로 작용하였던 것처럼 거란에 대한 정치적 적대감역시 북방민족의 풍습과 문화를 차단하지도 않았다. 오히려 조선 초기편찬된 주요 사료들에 내재되어 있는 유교중심적 경향이 거란의 문화적 영향을 무시한 것이며 사료의 부재를 곧 실제 교류의 ‘부재’로 잘못 인식한 것이다. 중앙유라시아 지역에 미쳤던 거란제국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력과 금의 “한족화” 과정 등을 감안한다면 북방민족의 문화와 풍습이 개방적 성격의 고려시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북방문화에 대한 경계심을 보여주는 「훈요십조」의 내용은 오히려 고려의 의복과 제도에 있어서 그 영향이 적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이 논문은 그 동안 소홀 시 되어온 고려와 북방 ‘정복왕조’ 사이의 정치관계와 문화교류의 연관성을 고찰하고 특히 고려에서 발견되는 거란의 문화적 영향의 몇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특히 도자기나 금속공예 등 고고학적 유물에 대한 연구를 통해 거란과의 문화교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새로운 고고학적 발굴과 유물에 대한 연구들은 활발하였던 북방민족과 정복왕조와의 교류의 흔적을 복원하여 고려시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문화교류를 재조명하는데 중요한 단서들을 제공할 것이다. From the 10th to the 12th century, powerful and aggressive Khitan and Jin empires represented the greatest threat to Koryo’s security. Indeed, there were several major invasions into Koryo and frequent border clashes. Given these less-than-amicable relations,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Koryosa, arguably the most important and often the only available source for many aspects of the period, portrays a very unfavorable and hostile picture of its northern neighbors who were considered to be culturally inferior “barbarians.” Koryo and Manchurian states maintained extensive and generally peaceful relations through regular diplomatic contacts in the guise of the “tribute system." However, historical sources provide little information on economic and cultural interactions between Koryo and its northern neighbors. The open conflicts, troubled political relations, and cultural prejudices that existed between Koryo and its northern neighbors would not have been conducive to non-political exchanges. The paucity of documentary evidence led scholars to assume that there were few cultural or economic interactions. Cultural boundaries, however, are often very fluid, and they do not always conform to rigid political borders. This paper presents a brief overview of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East Asian interstate relations and how they impacted cultural interactions. Recent archaeological findings now provide new insights into this important aspect of cross-cultural relations during the early Koryo period.

      • KCI등재

        동아시아 세력균형과 “정복왕조” 거란의 군사력

        윤영인 동양고전학회 2021 東洋古典硏究 Vol.- No.85

        10세기 초 거란은 발해를 멸망시키고 북방 초원으로 세력을 확장하며 남으로는 중원의 일부 연운16주를 점령한다. 947년에는 후진을 정복하 고 개봉을 함락하지만, 한족의 격렬한 저항에 부딪혀 3개월 만에 북으로 철수해야 하였다. 거란은 1004년 전연의 맹약 이후에는 변경의 방어에 치중하는 소극적 전략을 보여준다. 당시 동아시아에는 다원적 국제질서 의 세력균형이 유지되었는데 여기서 “세력균형”이란 하나의 국가가 주 변의 여러 나라와 동시에 전쟁을 진행하는 능력을 갖추지 못한 국제질 서의 상황을 말한다. 거란의 안위를 직접 위협한 국가는 연운16주의 회 복을 포기하지 않은 송이었고 거란이 가장 우려한 상황은 송과 고려의 협공이었다. 10세기 말 거란의 핵심 정예기병은 대략 10만 정도로 추정 되는데, 이후에도 최대 규모는 30만을 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거란의 군사력에 대한 평가는 기병과 보병의 조직, 군대의 규모, 지형, 전략 등 여러 요소를 종합하여 유추해야 한다. 거란은 강력한 기병을 보유하였 지만 험준한 산악과 하천의 자연적 지형과 송이 구축한 방어시설을 극 복하지 못하였고 고려·대하와의 전쟁에서도 낯선 환경에서 크게 고전하 였다. 11세기 “정복왕조” 거란은 군사력의 한계로 인해 영토 확장과 정 복 활동에 나서지 않고 변경을 방어하는 소극적 전략을 추구한다. East Asian military balance of power forced the Khitan empire to adopt passive strategies of the “conservative Manchurian frontier state” in the 11th century.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Khitan military power needs to take into account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ize of the military, effectiveness of the cavalry, topography, and military strategies, etc. In the early 10th century, the Khitan expanded its influence into Manchuria and the steppe regions of Mongolia. It also destroyed the Later Jin and occupied the ancient capital city of Kaifeng in 947, but had to retreat within three months as it encountered fierce Han Chinese resistance. The Khitan would never again attempt to conquer territories within the China Proper or send expeditions deep into the Song territory except in 1004, when the Khitan force advanced to the northern shore of the Yellow River. After the Treaty of Shanyuan with the Song, the Khitan also clashed with the Korean state of Goryeo for several decades. However, the Khitan sought to maintain peaceful relations with both Goryeo and Tangut Xia to secure its borders. Khitan troops were rarely able to capture well-defended walled towns and fortresses and struggled against Song’s defensive system of artificial lakes, ditches, and forests. The powerful Khitan cavalry forces found little military success in foreign expeditions as they fought in unfamiliar environment. Limitations of the Khitan military power w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peace in the mid-11th century Northeast Asia.

      • KCI등재
      • KCI등재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의 아동용 HTP검사 어플리케이션 개발

        윤영인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4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having proposed a new way to conduct psychological tests. To develop more flexible and user-friendly mobile device applications of psychological tests for children, literature search about HTP in children was conducted and at the same tim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4 of children's psychological test's experts. As a result, the main features and precautions for children's HTP psychological testing, and organize the main menu of the application for the application workfolw.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he patient wants to conduct diagnostic tests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leaving the limits of physical distance and time between specialist consultation. However, for the actual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applications will need repeated usability testing. Also to support for the detailed GUI design and emotional design,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is needed. 본 연구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아동 그림 심리 검사용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연구로 사용자가 보다 유동적이고 편리한 환경에서 그림 심리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아동의 심리 검사와 관련된 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진행 결과와 동시에 진행한 문헌 조사를 통해 아동의 HTP그림검사 주요 특징과 주의사항, 검사 과정을 정리해 HTP 그림심리검사용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메뉴구조와 이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향을 통해 보다 다양한 그림 심리검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진단을 원하는 피검자가 상담 전문가간의 물리적 거리와 시간 등의 한계를 떠나 다양한 방법으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다만, 실제 개발 및 상용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한 방법의 그림 심리검사를 지원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사용성 평가와 세부적인 GUI 디자인을 기획하여 효용성과 감성적 측면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해야할 것이며 향후 모든 세대를 대상으로 활용되도록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