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생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윤영미,조헌하 한국아동간호학회 2011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7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선행연구에서 단편적으로 제시된 생의 의미 영향변인인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부모의 양육태도, 가족 만족도, 학교생활 적응, 진로성숙도를 예측변수로 하여 이들 변수들간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규명함으로써 청소년의 생의 의미 증가를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8 윤영미·조헌하DOI: 10.4094/www.childnursing.or.kr jkachn.2011.17.1.31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개의 중학교와고등학교의 남녀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편의 표집하여 3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0년 4월 5일부터 6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거친 도구를 사용하였고 일부도구는 본 연구의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 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술적 통계,ANOVA, Pe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생의 의미 정도는 평균평점 2.99점으로 다소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평균평점 2.61점, 자기통제력 2.81점, 부모의 양육태도 2.90점, 가족만족도 2.89점, 학교생활 적응2.71점, 진로성숙도 2.84점으로 6가지 예측변수 모두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의 의미와 예측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부모의 양육태도, 가족 만족도,학교생활 적응, 진로 성숙도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자아존중감, 가족 만족도, 학교생활 적응, 부모의 양육태도, 진로성숙도 순으로 나타났고, 이 변수들이 생의 의미를 57.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가장설명력이 높은 변수로는 자아존중감으로 42.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의 생의 의미에 영향하는 주요변인은 자아존중감임이 확인되었고 가족 만족도, 학교생활 적응, 부모의 양육태도, 진로성숙도 또한 고려해야 할 영향변인임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에게 생의 의미를 긍정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서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은 스스로를 존중하고 가치있게 여기는 것이며, 청소년을 둘러싼 주요환경인 가족을 대상으로 한 포괄적인접근과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즉 부모지지중재, 부모의 의사소통능력 향상,학교적응 및 진로 성숙도를 촉진시키는 프로그램 등이 청소년의생의 의미를 증진시키기 위한 직·간접적인 간호중재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 KCI등재
      • KCI등재

        탈냉전기 미군주둔 지역의 합리적 재조정과 협력적 민군관계 방안에 대한 고찰

        윤영미 한국동북아학회 2010 한국동북아논총 Vol.15 No.3

        Military Reform 2020 is a power structure connected with the military based on the concept of regional military operations in order to achieve a military strategy as a concept to propel a plan for strengthening war potentials. This reflects the changing global security environment and active countermeasure of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the future-oriented development of the US-Korea alliance is jointly sought by rearranging and reducing the number of American military forces in Korea. This corresponds to the Global Defense Posture Review (GPR) that proposes to adjust the role and scale of the US Armed Forces in Korea(USFK) and the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of the United Nations Headquarters. The GPR deals with the return of a provision area and relocation of the US military camp. In addition, the Gyeonggi province, where the military facility protection area is located and a large-scale military is stationed, is regarded a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regions, considering its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effect it has on the lives of the residents. Regarding national security and defense,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restriction and regulation in developing the area where the military station is located and the infringement and regulation of the right of property. This study reviews the correlation with the regional development, dividing the area of the US military station into several areas in order to provide and return the site of the provisional area after analyzing the present status of the provisional area depending on where the American armed forces in Korea will be relocated. To get the residents to understand and reduce civil affairs issues regarding the stationing of the US military, a civil-military cooperative relationship needs to be systemized. After all,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new connectivity towards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and matters of security depending on the relocation of the USFK. The construction of a multi-layered and compounding ‘integrated governance’ is being studied in order to enhance mutual understanding through programs for communications between the US military and residents. It is also necessary to construct a policy-making body in order to improve the well-being of the residents in the light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국방개혁 2020」은 전력증강 추진계획으로 군사전략개념을 구현하기 위해 권역별 전력운영 개념을 근거로 군 구조와 연계한 전력구조다. 세계적 안보환경 변화와 미국의 적극적 대응을 잘 반영한 것이다. 특히 주한미군의 재조정 및 감축 과정을 통해 한미동맹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이 공동으로 모색되고 있다. 주한미군기지 이전 및 공여지 반환, 유엔군사령부의 책임권한 조정과 주한미군의 역할 및 규모 조정하는 미국의 범세계적 방위태세검토(Global Defense Posture Review, GPR) 계획과도 부합된다. 아울러 광범위한 군사시설보호구역이 존재하고 대규모의 군대가 주둔하고 있는 경기도는 다른 어떠한 지역보다 지역 발전과 주민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 차원을 고려해 볼 때 중요한 사례로 간주된다. 안보 및 국방차원에서 군주둔지역의 개발 제한 및 규제와 재산권의 침해 및 규제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한미군 재배치에 따른 공여지 현황을 분석해보고 미군 주둔지역을 공여지 추가 제공지역과 반환지역으로 분류해 지역의 발전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고찰한다. 미군 주둔으로 인해 다양한 민원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주민을 이해시킬 수 있는 민군 협력관계를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결국 주한미군 재배치에 따른 안보적 측면과 지역발전 측면에서 새로운 연계성 정립이 중요한 과제다.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지역주민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 추진과 미군과 지역주민들과의 소통을 위한 프로그램을 통해 상호이해를 높일 수 있는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통합 거버넌스’ 구축이 모색되어야 한다.

      • SCOPUSKCI등재

        청소년의 생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윤영미,조헌하,Yoon, Young-Mi,Cho, Hun-Ha 한국아동간호학회 2011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meaning of life in adolesc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5 to June 20, 2010.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43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cruited from four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7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WIN 12.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1) The mean total item score for the meaning of life scales was 2.99, which was slightly high. 2)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of life and self-esteem, self control, parenting attitude, family satisfaction,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maturity. 3)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lf-esteem, family satisfaction, school adjustment, parent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were predictors of meaning of life and accounted for 57.1% of the variance in meaning of life. Conclusion: Self-esteem, family satisfaction, school adjustment, parent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were variables influencing meaning of life in adolescents. These results indicate a ne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increase self-esteem, family satisfaction, school adjustment, parent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 in order to improve meaning of life for adolescents.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학과적응과 진로정체감 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윤영미,석민현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2 경영컨설팅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간호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선후배간의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과적응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실험군 48명, 대조군 58명으로 구성하였고, 멘토링 프로그램은 집단 멘토링과 일대일 멘토링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으며,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학과적응과 진로정체감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학과적응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가설과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진로정체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멘토링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학과적응과 진로정체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이를 계기로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반복연구를 실시하여 모든 대학생들의 학과적응과 진로정체감 향상에 적극 활용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영유아 건강과 안전 실천 정도에 대한 영향요인

        윤영미,김은주,김인아 한국생활환경학회 2019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health and safety practice level of childcare teachers for infants and toddlers. The subjects were 120 the childcare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result, factors influencing the practice level of health and safety of childcare teachers were self-efficacy on health and safety and the attendance of child care teachers' health and illness courses. In addition to the self - efficacy of health and safety,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was also identified as variables related to the practice of health and safety of child care teachers.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in health and safety at day care centers,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raise the childcare teachers’ selfefficacy of health and saf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