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addeley 모형에 근거한 아동용 작업기억 검사도구의 타당화

        윤안순(Yun, An-Soon),김아름(Kim, Ah-Reum),박효영(Park, Hyo-Young),장영인(Chang, Young-In),김정민(Kim, Jung-Min),하대현(Ha, Dae-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6

        이 연구의 목적은 Baddeley의 3요소 모형을 근거로 아동용 작업기억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조사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 1월부터 12월까지 음운루프, 시공간 스케치패드, 중앙집행기 3요소의 8개 하위과제로 구성된 작업기억 검사를 개발해 서울 및 수도권 지역 총 120명의 유치원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타당화 분석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모든 작업기억 하위과제들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특히 각 작업기억 요소에 해당하는 하위과제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Cronbach’s α를 통해 문항내적합치도를 살펴본 결과 작업기억 하위과제들이 모두 .7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Baddeley의 3요소 모형은 양호한 수준의 적합도를 나타냈다. 특히 작업기억의 하위 과제들이 이론적으로 가정한 작업기억 요소들에 적절한 요인부하량을 보임으로써 이 검사의 요인구조 모형이 타당한 것임을 입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작업기억 하위과제들과 유동지능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들이 나타났다. 이것은 작업기억 검사가 유동지능의 준거와 관련해 어느 정도 타당한 것임을 입증하는 결과였다. 이 연구는 작업기억 이론에 근거해 각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uter-based working memory test tool for children based on Baddeley s 3 component model and also investigate its validity. For this reason, we developed a working memory test battery of 8 subtasks, which measures 3 components of working memory(phonological loop, visuospatial sketchpad and central executive), from January to December 2017. A total of 120 normal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were administered our working memory test battery. The results of the validation analysis of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all working memory subtasks. In particular, there was a relatively high level of correlation between subtasks corresponding to each working memory component. Second, inter-item consistency revealed through Cronbach’s alpha showed that reliability of working memory subtasks was higher than .7. Thir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a good fit between Baddeley’s model and the test tool data, as the subtasks had strong loadings on appropriate factors of corresponding working memory elements. Finally, good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shown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orking memory test and fluid intelligence test. This suggests that our working memory test is valid to some extent in regard to criteria of fluid intellig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developed a test tool, that collectively measures each element of working memory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작업기억 요소, 유동지능 및 수학 과제유형 간의 관계

        윤안순(Yun, An-So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4

        수학 과제수행의 개인차 원인을 살펴보는 것은 지능정보사회에서 수학 교육에 대한 국내외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수학 학습의 어려움을 예방하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과업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작업기억 요소, 유동지능 및 수학 과제유형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수학 수행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아동 128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수학 총점 및 과제유형별 수행은 유동지능보다 작업기억과 다소 더 크고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동지능의 영향을 고려하였을 때 수학 과제유형별로 영향을 주는 작업기억 요소들이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학년 집단에 따라 수 개념 및 연산기술 과제수행에 영향을 주는 작업기억 요소들이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고학년 집단의 경우 수학 과제수행에 유동지능보다는 작업기억의 영향이 다소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작업기억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측정하고, 작업기억과 유동지능이 수학 과제유형 및 고․저학년 집단에 따라 수학 수행에 서로 다른 관여를 하고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아동의 작업기억 능력을 파악하는 것이 수학 학습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향후 수학 과제수행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ing memory components, fluid intelligence, and different types of mathematical tasks in primary school children.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28 primary school children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score of mathematics and performance by task type had a greater and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working memory than with fluid intelligence. Second, when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fluid intelligence, the influence of working memory components was different for each mathematical task. Third, depending on the group, the components of working memory that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mathematical tasks were different. Fourth, in the performance of mathematical tasks, the influence of working memory was somewhat greater than that of fluid intelligence in the upper grad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orking memory and fluid intelligence are closely related, but their involvement in performing mathematical tasks differ by grade group.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children’s working memory ability, which is important for overcoming the difficulties of learning mathematics, and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al task performance ability.

      • KCI등재

        국내 정서지능 연구의 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윤안순(An-Soon Yun),박효영(Hyo-Young Park) 한국인간발달학회 2024 人間發達硏究 Vol.31 No.1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정서지능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온라인 논문 검색사이트를 활용하여 정서지능, 감성지능을 키워드로 하는 국내 학술지 논문을 수집하였고, 중복된 논문을 제외하여 논문을 통합하였다. 통합한 자료는 데이터 정제 기준을 토대로 전처리 과정을 거쳤으며 이를 통해 분석을 위한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키워드에 대해 논문에 등장한 빈도 수를 확인하고, 키워드 네트워크의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 위세중심성을 분석하여 연구의 전체 수행 기간과 연구 시기별 핵심 키워드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조절’, ‘영유아’, ‘교육’, ‘능력’은 지금까지 수행된 국내 정서지능 연구에서 빈번히 등장한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 연구시기에 따라 논문에 자주 등장하고 있는 키워드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전기부터 후기에 이 르기까지 ‘조절’, ‘교육’, ‘능력’은 주요 핵심 키워드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심성 순위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었고, ‘긍정’은 중심성 순위에서 두드러진 변화가 있는 키워드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국내 정서지능 연구에서 자주 등장하고 있는 키워드를 확인하고, 연구 시기에 따라 핵심 키워드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정서지능 관련 후속 연구가 수행되는 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in emotional intelligence research conducted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papers using major online sites and in-tegrated papers by excluding duplicate papers. The integrated data went through a pre-processing process based on data cleaning, and keywords were extracted.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papers for each keyword was checked, and the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of the keyword network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control’, ‘infants’, ‘education’, and ‘ability’ were keywords that frequently appeared in emotional intelligence studies. In addition, ‘control’, ‘education’, and ‘ability’ were found to be the main keywords from the early to the late pe-riod, but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the centrality ranking. ‘Positive’ appeared as a key-word with a notable change in centrality ranking. In this study, we identify keywords that frequently appear in emotional intelligence research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identify changes in core keywords depending on the research period. This study will serve as helpful data for conducting follow-up research on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 주의집중 문제를 통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아름(Kim, Ah-Reum),윤안순(Yun, An-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정의적, 행동적, 인지적 요소들 간의 관련성을 토대로 이러한 변인들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 있어서 주의집중 문제를 통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 초4패널 자료로서 6차 년도(2015)에 해당하는 중학교 3학년 사례이다. 전체 사례 중 조사에 참여하지 않았 거나 무응답한 경우를 제외하여 총 2,051명의 사례를 대상으로 SPSS Statistics 23.0 과 SP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Baron & Kenny(1986)의 인과적 단계접근법(causal step approach)을 활용하여 매개 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영향이 주의집중 문제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주의집중 문제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Hayes(2013)가 제안한 조건부 간접효과(conditional indirect effect)를 검증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자기조절학습능 력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주의집중 문제에 따라 달라지고 있음을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조절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에 대해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on adolescents achievement on the ba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s posi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el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rough attention problem in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analysis data of this study is the 6th year data(2015) of the 4th grade panel of the elementary school during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KCYPS) conducted in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 total of 2,051 case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3.0 and SP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sing the causal step approach of Baron and Kenny(1986), the mediating effect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the effect of self-esteem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self-esteem has a moderating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ird, it is found that the effect of self-esteem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ttention problem.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 the limitations and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여대생이 지각한 심리적 진로장벽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심지현(Shim, JiHyun),김혜영(Kim, Hyeyoung),윤안순(Yun, An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는 서울소재 여대생이 지각하는 심리적 진로장벽이 전공만족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검토하고, 그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여대생 157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spss 21.0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여대생이 지각하는 심리적 진로장벽은 전공만족과 부(-)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은 두 변수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자아탄력성이 높은 여대생의 경우에는 심리적 진로장벽을 높게 인식할 지라도 자아탄력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여대생에 비해 전공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은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자아탄력성이 높은 여대생은 진로 및 취업과 관련한 여러 가지 어려움을 융통성 있게 극복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여대생들이 자각하는 진로장벽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지도 및 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들의 자아탄력성을 높일 수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sychological career barrier and major satisfact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control effect of self-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157 female university students responds were included in the hierarchical analysis. As the result,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reer barrier and major satisfact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lso the control effect of self-resilience was confirmed. For those who is higher in self-resilience tend to satisfied more about their major although she perceives high career barrier. The result implies the needs for customized career counseling and support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developing and offering programs to improve their self-resil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