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기관내삽관을 이용한 전신마취중 열습도 교환기의 효과

        윤석민 대한마취과학회 1989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22 No.3

        Despite many theoretical advantages of humidification of anesthetic gas, the role and method of choice of humidification in anesthesia remains uncertain. With the recent introduction of disposable heat and moisture exchangers (HME), a paueity of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various HMEs exists. Using an on-line humidity detector, based on the dry-wet bulb principle, with a fast response temperature sensor (0.l sec), I have reexamined the effectiveness in maintaining humidity and temperature of various commercially available HMEs in clinical settings, and the relationship of the effectiveness of the rate of fresh gas flow. Humid-Vent 2 demonstrated the best result that increased the inspired temperature from 22.78±0.2℃ to 31.35±0.89℃ (absolute humidity; 27.4±0.7mg H2O/L). Extreme low fresh gas flow(500ml/min) demonstrated low absolute humidity (18.87±1.28 mg H2O/L) that was lower than use of HME.

      • KCI등재

        서사철학적 독법으로 읽는 『논어』 -재여를 위한 변론-

        윤석민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9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7 No.-

        Confucius’s evaluation of Zai Yu in Lunyu ended in the negative view in the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史記』), and such evaluation is still prevalent. However, the narrative on Zai Yu seen through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philosoph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f the narrative topic of the sleep during the day can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the narrative world of the hardships in the states of Chen(陳) and Cai(蔡), Zai Yu took a nap not because of his laziness in learning but because of hunger and weariness. Then this does not run against the assessment of ‘the Ten Thinkers in the Confucian School ’(孔門十哲). Second, the narrative of ‘Shrine of three dynasties’(三代之社) in Lunyu relates Confucius’s blaming Zai Yu for his slip of the tongue. But this narrative is continued in the narratives of 「Wudepian(五帝德)」 and 「Aigongwenzheng(哀公問政)」 in Kongzijiayu , which unfolds a new narrative world in which Zai Yu appears as a new figure who politely listens to and learns from Confucius. Third, as ascertained by historical research, the three-year mourning period was a new custom limited to the province Quyi(陬邑) in the state of Lu(魯). And since Zai Yu had been familiar with various funeral customs of the states of (Qi)齊 and (Chu)楚, he had to ask Confucius about the basis of the three-year mourning custom. In this context, the question about the three-year mourning period is not something that is not benevolent, but can be understood as an appropriate question about funeral customs. Fourth, in the narrative of ‘The Man who Fell into a Well’(井有人), Zai Yu only asked Confucius about the criteria for action for a man of virtue. As a consequence, he became a man who is not benevolent and the view still dominates. This is because the narrative of ‘The Man who Fell into a Well’ was not extended or expanded to different narrative topics or different narrative worlds that consist of different narrative topics. Interpretation and assessment like this was possible because it extended the narratives in the old canonical scripture out of the context of the scripture. However, Wangchong in the Han Dynasty and Zhangtaiyan in the modern era made a new interpretation of the narratives about Zai Yu by bringing him out of Lunyu . With this, they tried to lift the cloud of negative image hanging over the figure of Zai Yu. The reading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philosophy is premised upon a narrative structure. Hence, I’d like to take note of the fact that the narratives in canonical scriptures are interlocked with a variety of narrative topics in other texts to form new narrative worlds. This reading can afford new interpretations of the meaning and values of the narratives in the scriptures by constructing new narrative worlds. Zai Yu in Lunyu was a figure who was indolent, not benevolent, glib but inconsistent in speech and action. The Zai Yu read by the approach of narrative philosophy is a figure who has taken a rest for living, tried new criteria for realizing moral values and negotiations about more various rules of decorum. 『논어』 속 재여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사기』에서 새롭게 서사화 되었고, 후대 대부분의 주석서는 그러한 평가를 반복적으로 기술해왔다. 그런데, 서사철학적 독법으로 재구성된 재여의 서사는 그 부정적 평가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그 내용은 이렇게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재여가 낮잠을 잤다(晝寢)는 서사는 재여라는 인물의 부정적 측면이 가장 두드러지는 부분이다. 그런데 이 낮잠의 서사가 진(陳)과 채(蔡)나라에서의 곤궁함을 배경으로 한 것이었다면, 재여는 굶주림과 피곤함에 지쳐 낮잠을 잔 것이지, 배움에 나태한 것이 아닌 것이 된다. 따라서 그의 낮잠은 그가 공문십철에 오른 것과 대립하지 않게 된다. 둘째, 삼대의 사직(三代之社)에 관한 서사는 재여의 실언에 대한 공자의 질책으로 종결된다. 그런데 이 서사는 『공자가어(孔子家語)』의 「오제덕(五帝德)」과 「애공문정(哀公問政)」 속에서 연장되면서, 선대의 예법을 숭상하며 공손하게 배워가는 재여를 새롭게 등장시킨다. 셋째, 삼년상(三年之喪)의 서사에서도 재여는 비윤리적 모습이 두드러질 뿐이었다. 하지만, 사적 고증을 따르면 삼년상은 당시 노(魯)나라 추읍(陬邑)에 국한되어 유전되어온 풍습이었다. 재여는 제(齊)와 초(楚)의 다양한 장례풍습을 익혀왔기에, 공자에게 삼년상의 근거를 물어야만 했다. 이러한 서사세계 속에서 삼년상에 대한 질문은 불인(不仁)한 것이 아니라, 상례 풍속에 대한 시의성을 갖는 질문으로 평가된다. 넷째, 우물에 빠진 사람(井有人)의 서사에서 재여는 인자(仁者)의 행위 기준을 물었지만, 공자는 직답을 피하고 군자의 덕성만을 설했다. 공자의 불명확한 대답에, 주희는 군자라면 절대로 우물에 들어가서 구하는 우를 범하지 않을 것이라고 정유인(井有人)의 서사를 이어갔다. 『논어』 속 서사에서 재여는 불인(不仁)한 자로 평가되었지만, 주희의 서사에서 재여는 그저 인자(仁者)의 행위 기준을 물었던 제자로 평가된다. 서사철학의 이러한 해석과 평가는 경전의 서사를 경전 밖으로 연장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한대 왕충과 근대 장태염은 재여를 『논어』 밖으로 끌어내어 새롭게 해석했고, 그러한 방식으로 재여에게 씌워진 부정적 평가를 걷어낼 수 있었다. 서사철학적 독법은 열린 서사의 구조를 전제로 한다. 이러한 전제 속에서 경전의 서사는 기타 텍스트 속에서 다양한 서사제재와 맞물려 새로운 서사세계를 구성한다. 서사철학적 독법은 새롭게 구성된 서사세계 속에서 경전 서사의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해석할 수 있다. 게으르고, 불인하며, 말만 반질하여 언행이 불일치한 재여가 『논어』 서사 속의 재여였다면, 생존을 위한 휴식, 도덕 가치 실현의 기준, 다양한 예법에 관한 상호 절충을 기도했던 재여는 서사철학적 독법을 읽어낼 수 있는 재여이다.

      • KCI등재

        정서/행동 장애학생의 통합체육 참여유형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윤석민,김도호,이현수 한국사회체육학회 2007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30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ubstructure about Students with Emotional/Behavioral Disorders Participation Type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 KCI우수등재

        주행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고속도로 공사장 주의구간 교통안전표지 설치 방안 연구

        윤석민,박현진,오철,정봉조,YOUN, Seok Min,PARK, Hyun Jin,OH, Cheol,CHUNG, Bong Jo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지 Vol.35 No.4

        고속도로 공사장 교통관리구간 중 주의구간은 공사구간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차로 변경을 수행해야 하는 구간으로 감속과 함께 안전한 차로변경이 가능하도록 교통안전표지가 설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행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주의구간 내 운전자의 반응특성으로 고려한 교통안전표지 설치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교통안전표지 위치 변경 및 제거를 통해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시나리오 별 교통안전표지의 설치 위치 적정성을 제한속도 순응률과 차로변경 안전도를 통해 비교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제한속도 규제표지를 주의구간 상류부에 설치하여 공사구간 진입차량의 속도를 미리 감소키시고, 차로변경 주의표지를 주의구간 하류부에 설치하여 차로 변경을 최종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운전자의 인지도 및 순응도 향상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대안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고속도로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교통관리기준의 개정 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ive installation and operations of traffic safety signs in the advance warning area is of considerable interest for safer traffic management at freeway work zones. This study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traffic safety sign installation based on a driving simulation experiment to take drivers' responsive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Both the compliance rate for speed limit and a lane-changing safety index were used for evaluating a set of driving simulation scenarios. It was identified that providing speed limit signs to reduce speed in advance and afterward guiding lane-changing could lead to safer maneuvering of vehicles entering work zones.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revising freeway work zone management policies toward crash pre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