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김옥균의 재현과 시대 저항

        윤상현(Youn SangHyun)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7 No.-

        1930년대 전후로 해서 김옥균과 갑신정변에 관한 역사적 사실은 김옥균의 ≪갑신일록≫ 이후, 이에 근거로 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문화담론이 이미 1920년대에 형성되었으며, 1930, 40년대에 이르러서는 소설, 희곡, 유성기 음반, 영화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들의 소재로 생산되면서 하나의 문화적 표상을 형성해 왔다. 그 예로 1932년 나운규가 각본, 감독, 주연한 무성영화 <개화당이문(開化黨異聞)>에서 나타난 김옥균 및 갑신정변 재현 또한 당시 근대 시기를 살아가는 민중들의 시대적 요청 혹은 저항에 의해 재생산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사실 <개화당이문>은 당시 정부의 검열로 인한 무차별적 삭제와 무성영화에서 유성영화로의 변화 속에 흥행에 실패하고 말았으나, 역사의 기억 속에 김옥균을 소환함으로써 과거에 조국의 위기 때 김옥균이 갑신정변을 일으켰던 것처럼, 1930년대를 살아가는 민중들에게 나라 잃은 민족의 설움과 분노를 저항하고 투쟁으로 이끌고자 하였다. 그러한 의미에서 나운규는 당시 김옥균과 개화당을 일진회라는 왜곡된 역사의 진실을 규명하고자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식민지 시기 민중 스스로 주체적으로 제2의 김옥균이 되어 과거 실패했던 혁명이 아닌 앞으로 성공할 제2의 갑신정변을 이루어길 <개화당이문>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것이야말로 김옥균을 재현하는 의의이자, 시대 저항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김옥균은 각 시대마다 현실에 투사됨으로써 시대적 요구, 혹은 대중의 문화적 소비 욕구에 의해 다양하게 굴절되면서 문화콘텐츠로 재생산되고 있으며, 이것은 오늘날까지도 변함없이 반복되어 오는 이유라고 해야 할 것이다. Around 1930s, the historical facts about Kim Ok-gyun and Gapsin Coup had been built as a cultural symbol through 1920s diverse and concrete cultural discussion depend on Kim Ok-gyun’s Gapsin Coup Diary and 1930s~1940s various cultural contents such as novel, play, gramophone album and movie. One example is a silent film <The Strange tales of Enlightenment Party> which was directed, written, leaded by Na Woon-gyu. Kim Ok-gyun and Gapsin Coup’s reemergence in that film can be shown as reproducing Kim Ok-gyun and Gapsin Coup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people’s needs or revolt in that era. Even though, <The Strange tales of Enlightenment Party> had been failed at the box office due to the indiscriminate erasure by government’s censorship and the trend change from a silent film to sound film, this film tried to recall Kim Ok-gyun from historical memory, Gapsin Coup that Kim Ok-gyun aroused when his country faced crisis, and lead anger and sorrow of people who lost their country into resistance and struggle. In that context, Na Woon-gyu made efforts to clarify the distorted truth of Kim Ok-gyun and Enlightenment party that they are ‘Iljinhoe’. And his movie <The Strange tales of Enlightenment Party> also expressed his hope that the people of the colonial era become second Kim Ok-gyun with their own volition and make their own, another, successful, second Gapsion Coup unlike the first, failed one. And that is the reason why reemerge Kim Ok-gyun and that is revolting against era. Like this Kim Ok-gyun keeps reproduce in a refracted way to meet the public’s cultural need or to meet the needs of the periods by projecting in that period. And this must be the reason why reemergence happens in present day.

      • KCI등재

        일본 서브컬처에 나타난 김옥균과 왕도정치: 만화 『왕도의 개』를 중심으로

        윤상현(Youn Sangh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1884년 12월 4일 갑신정변 실패 후, 김옥균은 약 10여 년 간 일본에서 망명 생활을 보냈고, 1894년 3월 28일 청나라 이홍장을 만나기 위해 상하이로 건너갔지만 함께 동행하였던 홍종우에의해 암살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김옥균의 역사적 사건과 파란만장한 행적은 당시 19세기 조선과일본, 청나라가 겪었던 혼란한 시대적 배경과 서로 맞물려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우리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제공하면서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재생산되어 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일본에서 김옥균을 소재로 한 문화콘텐츠, 야스히코 요시카즈(安彦良和) 대하역사만화 『왕도의 개(王道の狗)』는 메이지 시대 중기에서 말기에 걸쳐서 일본과 조선, 청나라를무대로 하여, 동아시아의 역사와 그 시대적 흐름 속에 다양한 인간 군상들의 운명을 그려내고있다. 특히 여기서 주목하고 싶은 것은 작가 야스히코 요시카즈가 작품 주제와 관련하여 그 중심선상에 김옥균을 설정했다는 점이다. 일본이 메이지 유신 이후 근대국가로 나아가면서 수많은일본 정치가들이 등장하다 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작품 전편에 일관되게 등장하는 인물로는 오직 조선인 김옥균밖에 없다는 사실은, 그 만큼 한국과 달리 일본 근현대사에 있어서 김옥균의위상과 가치를 높게 재평가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한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김옥균의 위상과 가치의 근거로 제시한 것이 바로 맹자의 ‘왕도(王道)정치’ 사상이다. 즉 역사적 단순 사건 나열 및 인물 중심의 전기(伝記)가 아닌, 각 나라마다 가지는 역사인식의 독자성, 특수성을 넘어 ‘왕도’라는 보편적, 거시적 관점에서 등장인물 각각을 재평가함으로써, 현재 역사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는 한중일 간 역사문제 해결에 조금이나마 새로운 비전- 이해의 폭 확장 - 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더욱이 일본 현대 만화라는 서브컬처에서 김옥균이 주요 등장인물로 나올 만큼, 일본 근대화시기에 있어서 김옥균이란 존재는현재에 이르러서도 그 파급력이 엄청나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본 작품에서도 강조하고 있듯이, 왕도의 삶을 살고자 했던 그 자체가 조선, 일본, 청나라를 잇는 당시 동아시아에서 그 파급력이컸을 뿐만 아니라, 그의 죽음을 계기로 발발한 청일전쟁 및 그가 마지막까지 주장하고자 했던삼화주의는 당시 삼국 통치자의 패도정치에 대한 대립 및 저항하는 대항문화(counter culture)로서 자리매김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한국은 1884년 김옥균 및 개화 사상가가 일으킨 갑신정변을 부정적인 평가로일관되어 왔다는 점에서, 본 작품이야말로 여태까지 고정적, 획일적인 위로부터의 역사기술에서벗어나, 서브컬처라는 다양한 스펙트럼을 통해 굴절되고 왜곡된 김옥균의 역사적 의의를 새롭게평가함으로써 현대적으로 그의 위상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On December 4, 1884, after the failure of the Gapshin political change, Kim Ok-kyun spent 10 years in exile in Japan, going to Shanghai on March 28, 1894, to meet Li Hong-shao. However, he was assassinated by Hong Jong-woo who accompanied him. Such historical events and Kim’s turbulent activities were played out against the chaotic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 Japan, and Qing in the 19th century. They have been reproduced in diverse cultural contents, raising our interest. The Japanese historical cartoon “The Dog of the Royal Road” by Yasuhiko Yoshikazu is based on the life of Kim Ok-kyun, from the middle to the end of the Meiji period, with Japan, Chosun, and China in the background. The cartoon depicts the fate of various human statues in East Asian history and the current day. Significantly, the writer centered the work on Kim Ok-kyun, the only one who appears in the entire work despite many Japanese politicians appearing and disappearing after the Meiji Restoration. This suggests that he reevaluated the status and value of Kim Ok-kyun in modern Japanese history. In this cartoon, Mencius idea of “kingly politics” was the basis for Kim s status and value. By reevaluating each character from a universal and macroscopic perspective rather than just as a series of historical events and character-centered biographies, it presented a new vision for resolving historical problems between Japan, China, and Chosun. Furthermore, the existence and influence of Kim Ok-kyun in the period of Japan s modernization are so great that he appears as the main character in the subculture of modern Japanese manga. showing the Sino-Japanese War, which broke out after his death, and Sanwaism, which he tried to claim to the end, as countercultural movements against the military rule of the Three Kingdoms.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restore Kim Ok-kyun’s status by reevaluating his historical significance. Korea has negatively evaluated Kim Ok-kyun and the Gapshin political change in 1884 by enlightenment thinkers. This cartoon show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Kim Ok-kyun in various subcultures by breaking away from a distorted and uniform i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