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디지털 전환시대의 도전과 새로운 무역 패러다임

        윤상철 한국무역보험학회 2018 무역금융보험연구 Vol.19 No.1

        오늘날 디지털 전환이 진행되면서 경제와 사회를 재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미래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디지털 전환은 우리에게 주어진 새로운 시대적 도전이며 동시에 기회이기도 하다. 정책결정들에 대한 도전은 점증적으로 디지털화되는 글로벌 경제의 이점을 최대화하고 연관된 도전들을 적절하게 대응하는 정책조합을 찾아내는 것이다. 특히 경제의 디지털 전환은 국제무역환경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디지털화는 디지털 전달로 부터 보다 광범위한 물리적 거래에 까지 무역거래의 방식뿐 만 아니라 무역거래의 대상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다. 앞으로 불확실성이 높은 글로벌 무한경쟁 환경에 대응하여 정부는 새로운 디지털 전환의 기회와 새로운 무역 패러다임으로써 디지털 무역의 이점을 적극 창출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digital transformation underway is reshaping economics and societies today and will continue to do so in the future. This ongoing digital transformation is posing new periodic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t the same time. The challenge for policy makers is to identify the policy mix that will enable their economies to best maximize the benefits of an increasingly digitalised global economy and adequately address the resulting challenges. In particular,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economy is fundamentally changing the international trade landscape. Digitalisation is changing what as well as how we trade: from digital delivery to greater physical trade enabled by digital connectivity. Policy design should seek to nurture the gains from digital trade as a new trade paradigm and create new opportunity for digital transformation upcoming highly uncertain global competition environment.

      • KCI등재

        공자의 출신과 그 名 및 字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윤상철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Confucius himself did not directly mention he is of Yin(殷) and Dongyi(東夷) ethnic origin, although his Yin and Dongyi related comments are found in the Analects:“The Master was wishing to go and live among the nineYis(子欲居九夷),” “Yidi(夷狄) with rulers are not like the states of Xia without them(夷狄之有君 不如諸夏之亡也),” “the Yin dynasty possessed these three men of virtue(殷有三仁焉),” and “the Yin dynasty followed the regulations of the Xia(殷因於夏禮).”However, as death approached, when told about his dream to Zigong(子貢), he implied that he is of Yin ethnic origin and his funeral should be held in accordance with Yin funeral manners. Confucius has been regarded as the teacher of one hundred generations, the lord of ten thousand years, and the synthesizer of Confucianism. Nevertheless, “what were the reasons why he was unable to reveal his ancestry?” This is the main issue of this paper. Some have argued that due to living under the Zhou(周) dynasty, established after overthrowing Yin dynasty, it was difficult for him to disclose his ethnic origin as a Yin descendant. This paper, however, focuses on the fact that Confucius was not accepted as the eldest son and looked down upon during his childhood because of his birth. According to Confucius House hold Sayings(孔子家語), Confucius’ father married Yan(颜氏) to have a son despite his age over 60 since Confucius’ elder brother was not only born of a concubine but suffering from foot disease. If Confucius had been born with a bang, he should have carried on the family line as the eldest legitimate son; however, he did not know the location of his father’s grave, could not use the character bai(伯) used as courtesy name for the eldest legitimate son, and had to yield Zou 郰(or Liao 聊) inherited from his father to his elder brother. Moreover, in his early days, he was called “Qiu of the Eastern house(東家丘)” or “ the son of the man of Zou(鄹人之子)” incompatible with the position of the Dafu’s eldest legitimate son. On the other hand, Mengpi(孟皮), his elder brother carried on the family lineage by using Baini(伯尼), style name for the eldest legitimate son and handed down the family line to his son Zong 忠(Zimie 子蔑) in spite of having fatal weaknesses such as being born of a concubine and having foot illness. What does this mean? It means that Confucius was not accepted as the son of Shulianghe(叔梁紇). He buried his mother’s body together with his father’s and arranged a marriage for his brother’s daughter to Nanrong(南容) only after becoming an adult. It would have been hard for him to disclose the truth that he is a descendant of Kong family(孔氏), and furthermore posterity of Yin under the circumstances of having been even doubted whether to be the son of Kong family. Therefore, he put (yi 夷 or ren 仁) instead of ni 尼 to tacitly declare that he is of Dongyi ethnic origin. He also more clearly mentioned that he is a descendant of Yin than before as death approached. Nevertheless, if disciples of Confucius constantly misspell his name as “ni(尼)” as seungni(僧尼), they go largely against his will. Not only that, but misinterpretations regarding Yin and Yi, including the content of “the Master was wishing to go and live among the nine Yis(子欲居九夷),” “wherever a gentleman lives, will there be anything low?(君子居之 何陋之有?)” and “Yidi with rulers are not like the states of Xia without them(夷狄之有君 不如諸夏之亡也),” done by biased scholars, need to be reconsidered in the direction of accepting and respecting Yin and Yi. 공자는 “子欲居九夷”, “夷狄之有君 不如諸夏之亡也”, “殷有三仁焉”, “殷因於夏禮” 등등 殷과 東夷에 대한 언급을 했지만, 자신이 은 출신이고 동이족이라는 말을 하지는 않았다. 다만 죽음에 임박해서 자공에게 꿈 이야기를 통해서 殷 출신임을 밝히고 그에 맞는 장례를 치러줄 것을 암시하였다. 공자는 백대의 스승이고 만세의 성인이라고 하며, 유학을 집대성한 대학자이다. 그런 그가 ‘자신의 출신을 밝히지 못할 이유는 어디에 있었을까?’하는 것이 이 논고의 쟁점이다. 혹자는 당시가 殷을 멸한 周의 세상이므로, 시대적 환경이 은의 후예임을 밝히기 어렵다고 하나, 필자는 공자가 부친의 가문을 잇지 못하고 천대받으며 자란 사실에 주목했다. 『공자가어』 등에 의하면 공자의 형은 첩의 소생인데다 足疾이 있었으므로, 그의 부친이 60이 넘은 늙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후사를 보고자 안씨에게 청혼을 했다고 한다. 그렇게 간절히 원해서 사회의 주목을 받으며 태어났다면 당연히 嫡長子로서 가문을 이어받아야 하는데, 공자는 선친의 산소자리도 모르고, 적장자의 字號인 伯字도 쓰지 못했으며, 선친의 채지인 郰(또는 聊)읍을 형에게 양보해야만 했다. 뿐만 아니라 ‘東家丘’나 ‘鄹人之子’와 같은 대부의 嫡長子라면 받을 수 없는 호칭으로 불리며 자랐다. 반면에 공자의 형 孟皮는 첩의 소생이고 足疾이 있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는데도 伯尼라는 적장자의 字를 씀으로써 가문을 이어받고, 그의 아들 忠(子蔑)에게까지 세습시킨 것이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공자가 숙량흘의 자식으로 인정받지 못했다는 것이다. 모친을 선친과 합장하고, 형의 딸을 南容에게 시집가는 것을 주선하는 것은 공자가 성장해서의 일이다. 그렇다면 공자 자신이 공씨의 후예인지조차 의심받는 분위기에서, 자신이 공씨의 후예이고 나아가 殷의 후예임을 드러내놓고 밝히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그래서 그의 字에 尼가 아닌 (夷, 仁)를 넣음으로써 은연중에 東夷족이라는 뜻을 밝힌 것이고, 죽음에 임박해서는 더욱더 확실히 은의 후예임을 밝힌 것이다. 그런데도 공자의 학문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한결같이 僧尼의 尼로 잘못 쓴다면 이는 공자의 뜻에 크게 어긋난 일이 될 것이다. 나아가 공자의 뜻을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子欲居九夷, 子居之 何陋之有? 夷狄之有君 不如諸夏之亡也” 등의 내용을 비롯해서 殷과 夷에 대해서 후학자들이 편견을 갖고 잘못 풀이한 것도 殷과 夷를 인정하고 존경하는 내용으로 다시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