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influence of standardized testing pressure on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윤민종 한국교육개발원 2018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15 No.2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teachers from the 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y (ECLS-K), this study employ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sting pressure on teachers’ sense of empowerment and its further consequences on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professional commitment.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sting pressure appears to lower teachers’ sense of empowerment, and engenders further negative consequences on teachers’ sense of community and their profess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esting pressure may still deteriorate teachers’ working condition independent from the level of social support that is provided within the school. Furthermore, such negative impact of testing pressure was prominent on middle and lowest socio-economic status (SES) schools. This study suggests a need to reconsider the notion that the pressure created by testing policies may lead to successful changes on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 KCI등재

        교사의 관심이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결정 여부에 미치는 영향

        윤민종 한국교육사회학회 2016 교육사회학연구 Vol.26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eachers' interest in the students' aptitude and future career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plan based on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Propensity score analysis with fixed effect model was used to account for the potential selection bias and create a demographically comparable samples to estimate the effect of teachers' interest. Analysis of KEEP(2005) revealed that students who received teacher's interest were more likely to have decided their career plan at senior year in high school. This study adds to the growing body of evidence that teachers' interest in students' aptitude and future career pla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career decision of high school students.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대표성을 갖는 한국교육고용패널 데이터를 분석해 학생의 적성과 진로에 대한 교사의 관심이 학생들의 진로결정 여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교사의 관심이 학생의 진로결정 여부에 미치는 인과적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경향점수매칭 방법과 함께 고정효과 모형을 활용해 관측 자료를 분석할 때 발생하는 자기선택오류와 학교 간 차이를 통제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의 적성과 진로에 대한 교사의 관심은 고등학생의 대학 전공과 미래 직업 결정 여부를 증진시키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이 연구는 학생들의 적성과 진로에 대한 교사의 관심을 진작시킬 수 있는 교원지원 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논의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생애 초기 교육 격차: 만 3세 유아의 어휘력과 학습 태도가 아동의 언어 발달 및 학업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민종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4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vocabulary skills and approaches to learning exhibited at age 3 on children's reading and mathematics skills, and language development at the 1st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alysis of KIEP(2008) showed that children who showed a higher level of vocabulary skills and approaches to learning at age 3 exhibited a higher teacher rated reading and mathematics skills at 1st grade. Indeed, these children with a higher level of vocabulary and approaches to learning at age 3 tend to demonstrate a larger language development despite such gap was reduced over tim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study suggests a need for support before the start of school to compensate for a low level of school readiness by expanding the access of early education program. 이 연구는 만 3세 유아의 어휘력과 학습 태도가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언어 발달 및 국어와 수학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한국아동패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만 3세 유아의 어휘력과 학습 태도가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 크기는 약 .9-1.0표준편차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든 배경 변인이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때 만 3세에 높은 어휘력과 학습 태도를 보인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언어 능력이 약 1년~1.2년 앞선다는 것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유아기 기초 어휘력과 학습 태도 결여는 초등학교 진학 이후 학업 수행 능력 부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적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유아기 언어 능력과 학습 태도 점수가 가장 낮았던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이 평균 이하의 국어 능력을 갖출 확률은 53%, 수학의 경우 39%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불평등의 시작이 생애 초기 교육 격차에서 비롯될 수 있다는 이 연구의 결과는 유아 교육 제도의 공공성 강화 방안을 뒷받침 해주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One Year or Two? The impact of Head Start enrollment dur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윤민종 한국교육개발원 2016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13 No.1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Head Start duration on children’s language and mathematics skills based on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Head Start, Family and Children Experiences Survey (FACES, 2009). Analysis of the FACES (2009) revealed that children who attended Head Start for two years displayed substantial advantages both in language and math skills compared to one-year attendees by the time they left Head Start. These advantages were sustained until the end of kindergarten with a slight reduction of the effect sizes. This study adds to the growing body of evidence that a longer exposure from an earlier age to a public preschool program plays a significant role in improving the academic skills of children from economically disadvantaged families.

      • KCI등재

        사립 유치원과 국·공립 유치원 경험이 아동의 인지 발달 및 학업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민종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1

        Purpose: Using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rivate and public kindergarten experience on children’s learning outcomes. Method: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employed in order to create a comparable sample between children who attended private and public kindergarten.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design approximates random assignment to reveal what the learning outcomes of children at elementary school would have been, on average, if they had attended private kindergarten. Result: Analysis of PSKC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ho attended private and public kindergarten on learning outcomes. Such pattern of results was consistent across cities and the size of kindergarten. Valu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ivate kindergarten need to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이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립 유치원과 국·공립 유치원 교육 효과가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국·공립 유치원을 경험한 아동이 사립 유치원을 경험했을 때 보이게 되는 학업 및 인지 능력을 추정하여 유치원 설립 유형에 따른 인과 효과를 확인하였다. 인과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유치원 선택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기 선택 오류를 통제할 수 있는 경향 점수 매칭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 학생들의 인지 능력과 학업 수행 능력은 취학 전 사립 유치원과 국·공립 유치원 경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사립 유치원과 국·공립 유치원을 선택할 확률이 동일한 아동을 비교 했을 때 초등학생의 어휘력, 수리 능력, 공간 지각력, 도식화 능력, 언어 능력, 창의력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사가 평가한 초등학생의 국어와 수학 능력 역시 취학 전 국·공립 유치원 또는 사립 유치원 경험 여부와 관련이 없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유치원 규모와 지역에 따른 개별 분석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시장에서 제공되는 유아교육 서비스에 대한 회의적인 입장을 뒷받침 하는 이 연구 결과는 사립 유치원의 사회적 효용성에 대한 논의가 공론의 지평 위로 떠오를 필요가 있다는 점을 논의하고 있다.

      • KCI등재

        유아 교육 기관 효과: 어린이집 경험이 유아의 언어 발달에 미치는 효과

        윤민종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 Vol.45 No.4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re-K on children’s vocabulary skills. Specifically this study is designed to reveal what the vocabulary skills of children at age 4 would have been, on average, if they had attended Pre-K program at age 3.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conducted to create a comparable sample of children who experienced Pre-K program at age 3.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design approximates random assignment in order to draw a more a causal conclusion with non-equivalent groups by taking into account the confounding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K participation. Findings/Results: Analysis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data showed that children who had experienc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at age 3 were twice as likely to have basic expressive vocabulary and receptive vocabulary skills as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attend the early education program.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was unable to fin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e-K participation and vocabulary sco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dds to the growing body of evidence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opportunitie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basic literacy abilities of young age children. 이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아의 교육 기관 경험이 언어 능력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만 3세에 어린이집을 경험하지 않은 유아가 어린이집을 경험했을 때의 언어 능력을 추정하였다. 처치 집단에 선별될 확률과 종속 변인에 동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혼란 변수의 영향력을 제거하기 위해 이 연구는 경향점수 매칭 방법을 동원하였다.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분석한 결과 만 3세에 유아 교육 기관을 경험한 유아는 그렇지 않은 유아에 비해 기초 표현 어휘력과 수용 어휘력을 갖췄을 확률이 2배 가까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유아의 교육 기관 경험은 어휘력 점수는 향상 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애 초기 교육 기관 경험이 유아의 기초 언어 능력을 촉진할 수 있다는 이 연구 결과는 유아 교육 기회를 보편적으로 확대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중소병원 진료를 위한 Web 상에서의 ANY-PACS 구현

        윤민종,이준 조선대학교 전자정보통신연구소 1999 電子情報通信硏究所論文誌 Vol.2 No.1

        According to medical information improvement, Medical diagnosis system also brought a change for the one-dimensional signal as well as multi-dimensional medical information. But the most of hospitals still depend on X-ray film so we can find that several problems through the conventional film-based modalities. In this case, we have to considers film storage, consumption, and lost of film. To solve these problems,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introduces in hospital. The PACS is the digital information system in a hospital, which encompasses various imaging equipments, image viewing workstation, image database, and a high speed network. However, it is too expensive for Medium and Small hospitals to install and operate the full-PACS.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PC-based Any-PACS by providing the high resoluti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and medical image management techniques based on windows platform. Also, we constructed the client/server module system for a medium and small size hospitals and database connection through the WWW.

      • 대학비진학 청소년 역량개발 정책사업 추진방안 연구

        윤민종,김기헌,한도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일반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대학 비진학 청소년들의 실태를 파악하여 이들 청소년들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서 자립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위한 구체적인 비진학 청소년 역량 개발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대학 비진학 청소년 규모 변화 추이를 살펴 본 후 정책대상자로서의 대학 비진학 청소년 인구 규모를 추정하였으며, 2차 자료 분석과 심층면담조사를 실시해 대학 비진학 청소년들이 직면하는 어려움들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는 일반고를 졸업한 대학 비진학 청소년들을 정책대상으로 부각시키고, 향후 정책 추진과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결과 잠재적 대학 비진학 청소년들의 사회경제적 배경은 대학 진학을 계획하고 있는 청소년들에 비해 취약하며 이들은 부모와의 관계 및 향후 진로에 대한 의사소통 역시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일반고 청소년들의 대학 비진학 결정은 가정배경과 더불어 성적을 올리기 위한 나름의 시도들이 오랜 기간 동안 시도와 좌절의 악순환을 겪는 과정을 거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일반고 내 잠재적 비진학 청소년들은 대학 진학을 계획하고 있는 학생들에 비해 교사들로부터 관심을 받지 못할 뿐 아니라 진로교육 참여율(10명 중 1.6명) 역시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수의 고졸 비진학자들의 진로준비는 여가시간에 인터넷 검색이나 주변 인물들로 부터의 조언을 얻는 비공식적인 루트를 통해 이루어져 일반고 비진학 청소년들은 노동시장 진입을 위한 준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채 노동시장으로 이행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넷째, 고졸 비진학 청소년들은 노동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 아니라 현재 취업 중인 청소년들 역시 매우 열악한 근무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취업에 성공한 청소년들일지라도 대학 비진학 청소년들의 취업기회는 매우 제한되어 있어 자신이 기대하고 희망하는 직업과는 관련되지 않은 단기근로와 소모적인 형태의 근로를 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이들은 현재 직장에서 향후 발전가능성을 매우 낮게 인식하고 있어 장기적인 비전을 갖추기 힘든 상태에 놓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 비진학 청소년들이 마주하는 현실이 녹록치 않은 상황 속에서도 현재 대학 비진학 청소년, 특히 일반고 학생들에 초점을 맞춘 정책 사업이 뚜렷하지 않으며 사실상 정책의 사각지대로 남아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해 이 연구는 방과후 아카데미를 확대한 대학 비진학 청소년 역량 개발 프로그램 모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apacity development program for youth who do not plan to attend college. Analysis of various source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sets showed that youth who decide not to enroll college often suffer from the lack of adequate technical and behavioral competence and struggle to enter the competitive labor market. Furthermore, findings indicated that these youth do not possess sufficient economic and social resources that promote them to plan their future career and long-term life plan. As a result, substantial number of youth tend to stay unemployed or either find a temporary, low-skilled and low-paid, jobs.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ed an extension of after school program that can develop the necessary capacity for labor of high school students who do not plan to attend college. The current after school program is design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ereas our suggested program extends the participants eligibility to high school students and provide the opportunity to these youth to acquire necessary skills and competence to facilitate the entrance to the labor market. As a way to implement our suggested capacity development program, we discussed the necessary policy procedures and implication on the youth development policy in South Korea.

      • 청소년 참여예산제 실태 및 발전 방안 연구

        윤민종,정은진,정건희,이선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 참여예산제의 실태를 파악하여 청소년들의 정책 참여 통로를 확대하기 위한 발전 방안을 마려는 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 참여예산제를 확대·정착할 수 있는 정책방향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에서 실시 중인 청소년 참여예산제의 운영 내용 및 추진과정을 파악하고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청소년 참여예산제도에 대한 인식 및 정책 욕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 참여예산제의 정착 및 확산을 위해 요구되는 제도적 발전 방안과 함께 세부 추진과제를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6년 기준 청소년 참여예산제도는 전국 15개의 지자체에서 ‘청소년 참여예산학교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되고 있다. 청소년 참여예산학교에서는 지자체 예산 관련 및 참여와 관련된 기본 교육을 비롯해 정책 발굴 및 제안, 지역사회 조사, 청소년 의견 수렴, 해당 부서와의 사업 적절성 논의 등 청소년의 정책 제안이 실질적인 예산 편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합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둘째, 우리나라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약 6,000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 참여예산제 인지 여부 및 참여의향을 조사한 결과 약 3%의 청소년들이 청소년 참여예산제에 대해 알고 있었다. 청소년들의 참여의향을 조사한 결과 이 제도를 도입할 경우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의사가 없는 이유에 대해 다수의 청소년들은 ‘학업으로 인한 시간 부족’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셋째, 청소년 참여예산제도가 본연의 취지에 맞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청소년 참여예산제 도입과 운영을 위한 법적 근거, 청소년의 예산편성권을 보장할 수 있는 예산 확보 및 민관협력체계 구축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제도적 지원 체계 확보 여부에 따라 제도의 운영 성과(청소년 정책 제안 반영 건 수 및 예산 반영 규모)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1)청소년 참여예산제도의 도입 활성화 방안, 2)지속가능한 운영 체계 구축 방안, 3)평가제도 구축과 관련된 정책을 제안하였으며, 이들 3개 영역(도입, 운영, 평가)에 해당하는 총 16개의 세부 추진과제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actual situation of the youth participation budget system in Korea and to develop a plan for expanding the policy participation channels for adolesc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tents and process of the youth participation budget system implemented by the local autonomous entities (hereafter referred to as local governments) a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bout the youth participation budget system. Based on these findings, I proposed specific plans for the project in addition to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plan required for the settlement and expansion of the youth participation budget system. Specific findings are suggested below. First, in 2016, the youth participation budget system is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called Youth participation budget school in 15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Youth Participation Budget Schools provide basic education related to municipal budget and participation, policy discovery and proposal, community survey, youth opinion gathering, discussion of business relevance with the department. Second, about 6,000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were surveyed about their participation in the youth participation program an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About 3% of the adolescents knew about the youth participation budget system.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willingness of young people to participate, it was found that less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would participate if they introduced this system. Many youths cited lack of time due to study as the main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Third, in order for the youth participation budget system to be operated in accordance with its intentions, it is required that the legal basis for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youth participation budget system, budget securing to guarantee the youth budgeting right, and establishment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system are requi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the number of cases of the youth policy proposal and the size of the budget reflectance) differ according to whether the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is secu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policies to promote the introduction of youth participation budget system, 2)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operating system, 3) establishment of evaluation system of the project.

      • KCI등재

        다문화 학생의 교육 불평등: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다문화 학생과 비다문화 학생의 교육 격차에 미치는 영향

        윤민종,강충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9 다문화교육연구 Vol.12 No.4

        Using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BELS), this study examines the achievement gap between immigrant and native students and determines whether socio-economic differences can explain such academic disparity. Out of the total sample of 3,107 elementary school students, 3.7%(115) were students from immigrant families, and 95.3%(2,992) percent were students from native families.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4th and 5th grade students from immigrant family were about 0.4 to 0.6 standard deviation behind across all subjects compared to native students. Even after assuming that students have the same approaches to learning, spend same hours in reading, and test anxiety level, including parental educational support, students from immigrant families appeared to demonstrate lower academic performance compared to native students. The achievement gap between these students has disappeared, however, once socioeconomic differences including educational expenditure, and family structure was taken into account. This study, which empirically confirmed that the causes of educational inequality between immigrant and native students are due to socioeconomic inequality, discusses the need to expand economic subsidy as a way to improve the educational results of children from socially disadvantaged families. 이 연구는 부산교육종단연구를 활용하여 다문화 초등학생과 비다문화 초등학생의 국어, 수학, 영어성취도가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중회귀 분석 결과 다문화 초등학생과 비다문화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는 모든 과목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그 격차는 약 0.4표준편차에서 0.6표준편차에 이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 학생과 비다문화 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생의 수업태도, 독서 시간을 비롯한 부모의 교육 지원이 다문화 학생과 비다문화 학생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경우 학업 성취도 격차는 약 60% 가까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문화 학생이 더 많은 독서 시간과 수업 태도를 개선하고 부모의 교육 지원이 동일하다고 가정할지라도 다문화 학생은 비다문화 학생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분석 모형에서 사회경제적 배경을 비롯한 가족 구성과 교육비를 투입한 결과 다문화 학생과 비다문화 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는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 학생과 비다문화 학생의 교육 불평등의 원인이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기인한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이 연구는 취약 계층의 교육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보편적 복지의 확대가 요구된다는 점을 논의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