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민족 歷史空間의 이해와 江海都市論 모델

        윤명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1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23

        필자는 동아시아 역사상과 체계를 해석하는 몇 개의 모델을 설정하여 활용하고 있다. 동아지중해 모델 속에서 자연환경뿐 만 아니라 역사적인 존재로서 바다 및 육지는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통일적으로 작동하고 있다. 그런데 육지와 바다를 이어주는 제 3의 존재가 江이다. 하나의 역사터인 만주와 한반도는 해양과 관련하여 지리적, 지형적 생태적 역사적인 특성상 강이 많을 뿐 만 아니라 역할 면에서도 비중이 높았다. 특히 도시가 생성되는데 절대적인 조건이 되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한민족의 국가들은 地政學的 地經學的 地文化的 측면에서 海陸的인 성격을 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국가발전전략을 수립하고자 할 때 수도의 위치와 역할은 강 하구와 바다가 만나는 접점인 ‘江海都市’에 설치하는 것이 유효성이 높다. 실제적으로 한민족의 역사에서 대부분의 수도 및 중요도시들은 강하구 및 해양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왕검성을 비롯하여 安市城(海城) 平壤城(平壤) 泗泌城(夫餘) 羅州 등은 물론이고, 특히 漢城으로 역사에 등장한 서울지역은 한강 하구에 성립한 전형적인 강해도시에 해당한다. 세계사에서 비중높은 위상에 있는 대도시들 가운데에도 강해도시들이 수없이 많다. 본고의 작업은 자연환경을 위주로 하면서 큰 틀을 구축하는 작업이므로 구체적인 역사상의 검토는 소략하였다. In the study, a few models are applied to interpret the East-Asian historical aspects and systems. The sea and the land have an organic relationship and operate in a unified manner. The river is a mediator that connects the sea and the land. Ecologically and historically, there were many rivers in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that were of great importance. It was one of the essential conditions in which a city was established. it is desirable that nations are conditioned with the oceanic characteristics in geo-political, geo-economical, and geo-cultural ways. Especially, it increases effectiveness when the capital city is built in 'The city of river and sea(江海都市)' where the mouth of the river and the sea intersects. In our history, most of the capital cities and big citi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mouth of the river and the sea, for example, Ansi-city(안시성), Pyungyang-city(평양성), Sabi-city(사비성), and Naju-city(羅州). Seoul is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city of river and sea(江海都市).

      • 鳳宇 權泰勳 선생의 생애와 사상

        윤명철 한국정신과학학회 1998 韓國精神科學學會誌 Vol.2 No.2

        1980 년대 중반 '丹' 이란 책을 통하여 등장한 이후 90년 이상 수련한 수련가로서 대종교 총전교로서 암울했던 시대에 황백전환, 백두산족의 웅비라는 비전을 제시한 예언가로서 한국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던 봉우전생의 ‘생애와 사상’ 그 사회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의 사상을 선도 사상, 민족주의, 문명비판론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80년대 중요한 흐름 중에 하나였던 (丹(仙)運動에 끼친 선생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BIM 툴을 적용한 AEC 캐드교육 효율성 비교 연구

        윤명철,고성룡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9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1 No.2

        This study compared educational efficiencies among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tool, AEC CAD tool and freehand sketching to make architectural drawings and presentations. With four factors, that is, presentability, correctional ability, connectivity and legibility, presentational abilities to use each drawing-making tool are analyzed and also compared each data file size and finishing time. With the result of the study, BIM tool is better to make drawings and to present architectural idea than existing AEC CAD tool, and will helpful to develop design abilities as an CAD educational metho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漂流의 발생과 역할에 대한 탐구 -동아시아 해역을 배경으로-

        윤명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08 동아시아고대학 Vol.18 No.-

        東아시아 역사는 육지와 해양을 하나의 틀 속에서 유기적인 관계로 파악해야 한다. 즉 海陸史觀이란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다. 동아시아는 선사시대부터 해양활동이 활발했으며, 그 능력에 따라 지역 또는 국가의 발전이 영향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표류현상이 발생했다. 표류란 바다와 강 등에서 특별한 이유로 배가 방향을 잃고 위험한 상태에서 움직이는 상황을 의미한다. 해양문화와 역사상을 이해하려면 농경민의 인식과 생활방식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해류 조류 바람은 해양활동과 문화가 만들어지는 틀과 성격에 강력한 영향을 끼친다. 특히 표류는 자연환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해양교류는 육지교류에 규모가 작고 비조직적이다. 뿐만 아니라 不規則的이고 連續的이지 못하다. 특히 표류는 더욱 그러하다. 표류는 한국의 남해안인 대한해협, 동해, 황해 그리고 동중국해의 전 해역에서 발생했다. 그러나 항해조건이 나쁜 동해에서 많이 발생했다. 표류의 기능을 정치, 문화, 경제, 항로문제와 연관시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표류는 航路의 발견과 계발을 촉진시킨다. 선사시대에는 주로 이러한 역할을 했다. 둘째, 표류는 漂着 해역 및 지역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계기가 됐다. 고대국가가 완성되면서 조직적으로 활용하였다. 셋째, 표류는 민간인의 移住(settlement)를 낳고 이어 植民活動(colony)으로 발전하는 경향이 있다. 고대 한국지역에서 일본열도 진출할 때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다. 넷째, 표류와 표착은 진출과 정복이라는 정치적인 목적을 달성하는 계기로 활용됐다. 다섯째, 표류와 표착은 국제질서의 변화를 가져오는 변수의 역할도 하였다. 漂流는 정상적인 항해에 비해서 일상적이지 못했고, 역사와 문화현상에 대한 파급력도 약했다. 하지만 부정적인 측면 외에 역사적으로 긍정적인 역할도 했다. 때문에 시대에 따라서는 국가가 표류현상에 대하여 일정한 관리를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표류의 현상과 기록은 전근대시대의 航路와 航海의 메카니즘을 파악하는 데 유효한 자료를 제공했다. The history of East Asia should be examined based on organic relationships in a single framework of the land and the seas. Namely, it is necessary to adopt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based on the seas and land. East Asia has showed vital ocean activities since the prehistoric age and they have influenced regional or nation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apacity. During the process, the phenomenon of drift occurred. Drift means the situation that a ship on the sea or river was in danger, losing control caused by specific reasons. In order to understand ocean cultures and history,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the recognition and lifestyle of farmers. An ocean current, a tide, and wind have a strong effect on the framework and characteristics in which ocean activities and cultures develop. Especially, drift is directly influenced by natural environment. Ocean trades are relatively smaller and less unorganized than land trades. Furthermore, they are irregular and discontinuous. Especially, drift is much irregular and discontinuous. Drift occurred in South Coast of Korea includes the Straits of Korea, the East Sea, and the Yellow Sea and all ocean areas in East China Sea. Especially, it occurred frequently in the East Sea which had a horrible voyage condition.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function of drift related with politics, cultures, economy, route issues, the roles of drift are shown bellow. Firstly, drift speeds up the discovery of new routes and development. That was a major role in the prehistoric age. Secondly, drift paved the way for obtain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discovery of drifting ashore and regions. It was applied systematically as ancient nations were established. Thirdly, drift allows people to build settlement and tends to develop to colony. Such phenomena occurred while advancing from ancient Korean regions into the Japanese Islands. Fourthly, drift and drifting ashore were applied as a moment to achieve political purposes such as advance and conquest. Lastly, drift and drifting ashore played a role of a variable to change an international order. Drift was less usual than ordinary voyage and had little influence on history and cultural phenomena. However, In spite of negative aspects, drift played positive roles. With regard to times, it can be observed that a nation manages the phenomena of drift. The phenomena and records of drift provided useful data to examine routes and voyage in the previous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