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단지성의 관점으로 본 고대근동의 종교적 지식과 종교전문가들

        윤동녕 한국구약학회 2022 구약논단 Vol.28 No.4

        집단지성(集團知性, collective intelligence)이란 다수가 경쟁과 협업을 통해 얻는 집단적 능력을 말한다. 최근 인터넷이나 SNS를 통해 집단지성이 정치, 외교, 경제적 영역에서 큰 힘을 발휘하고 있다. 이러한 집단의 능력은 공유지식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위키피디아나 네이버 지식인, 유튜브의 강의 및 정보 영상 등은 과거 백과사전이나 학교가 담당했던 역할을 상당 부분 대신하고 있다. 그래서 집단지성은 과거 오랫동안 일부 지식인층만 소유했던 지식을 더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게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집단지성은 지식을 빨리 유통, 축적, 발전시키는데 공헌했을 뿐 아니라, 백과사전이나 연구소에서만 다루던 일부 특수한 전문 지식들을 대중화시키는데 공헌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고대근동의 종교 전문가들이 생산하고 유통한 종교적 지식을 집단지성이라는 관점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고대근동에는 오늘날의 인터넷이나 SNS와 같은 정보와 지식의 유통망이 없었다. 하지만 바빌로니아나 아시리아는 광대한 제국을 효율적으로 다스리기 위해 많은 지식과 정보를 생산하고 유통시켰다. 이 과정에 종교 전문가들은 자신의 전문분야의 지식을 최우선으로 정책에 반영시키기 위해 경쟁하고 반목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왕과 제국의 안정이라는 목표를 위해서는 상호 협력하였으며, 때로 전문영역을 융합하여 개별 전문 영역으로는 풀 수 없는 문제들을 해결하였다. 특별히 왕과 제국의 미래에 걸쳐있는 암운을 제거하고 대안적 미래를 창출하기 위해 종교전문가들은 협력하였다. 고대근동의 종교적 지식과 이를 생산한 종교전문가는 오늘날의 말로 하면 정보 기술과 고등교육을 받은 지식근로자이다. 오늘날 지식과 지식 근로자가 노동시장의 핵심 집단이 되어가고 있다. 고대근동의 종교전문가들도 제국의 핵심 집단이었다. 이들이 규합한 정보는 정치, 경제, 문화를 지탱하는 주요 자료가 되었다. 따라서 집단지성으로서의 고대근동의 종교적 지식은 단순한 종교적 체계가 아니라 고대근동의 과학적 체계의 일부임을 잘 보여 주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고대근동과 이스라엘의 예언에 나타난 왕과 예언자의 관계연구 - 신앗시리아의 예언과 나단의 예언(삼하 7:4-17)을 중심으

        윤동녕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2 장신논단 Vol.44 No.4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and prophets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Israel, especially represented in the Neo-Assyrian prophetic corpus and Nathan’s prophecy in 2 Samuel 7. Neo-Assyrian prophecies and Nathan’s oracle share some common literary elements such as “divine introduction formula,”“historical retrospection,” “encouragement,” and “promise of divine assistance and support.” The Neo-Assyrian prophecies were aimed at the king, even though they were proclaimed in the presence of the Assyrians. Therefore prophecies were usually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king and the stability of the kingdom. Esarhaddon and Ashurbanipal, the great kings of Assyria, gathered prophecies and stored them in the royal library to reuse them to support royal authority and rulership. In this regard, we can find some similarities between Neo-Assyrian prophecies and Nathan’s oracle in 2Samuel 7. Nathan’s oracle also proclaims the safety of King David and the stability of his kingship promising everlasting dynasty and the construction of the temple by one of David’s descendents. 2 Samuel 7 does not directly refer to the Nathan’s activities as relating to the king; however, we can say that he was a prophet who demonstrated his concerns on the well-being of the king and the stability of the kingdom by announcing divine messages which can be compared to the Neo-Assyrian prophecies. 본 논문은 고대근동과 이스라엘의 예언에 나타난 왕과 예언자의 관계연구로서그 일례로 신앗시리아의 예언과 구약의 나단의 예언을 비교하였다. 신앗시리아의예언들은 문학형식상 “신의 자기소개,” “역사적 회고,” “격려문구,” “신의 동행과보호에 대한 약속”과 같은 공통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신앗시리아의 예언의 주요 내용은 왕의 안녕과 제국의 평안이다. 예언은 대중 앞에서 선포되었지만 예언의대상은 주로 왕이었다. 당시 왕이었던 에살핫돈과 앗수르바니팔은 예언을 점술신탁이나 간점신탁과 같은 전문신탁과 함께 왕궁의 도서관에 보관하였다. 그리고 왕의 정통성을 확보하거나 왕의 교육을 위해서 보관된 예언들을 사용하였다. 이러한점에서 나단의 예언은 신앗시리아의 예언과 여러 가지 유사점이 있다. 우선 문학적형식면에서 나단의 예언은 신앗시리아의 예언과 유사점이 있다. 또한 나단의 신탁은 다윗 왕과 그의 왕조의 안녕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나단의 신탁은 영원한 다윗 왕조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을 선포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나단의 신탁은 그 내용과 형식에 있어 신앗시리아 예언과 유사점이 있다. 본문은 예언자 나단의 이력이나 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하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신앗시리아의 제왕신탁과 유사한 예언을 선포함으로서 그가 왕의 안녕과 왕권의 안정에 관심이 많은 예언자임을 간접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 KCI등재

        민수기 22-24장에 표현된 발람의 역할 연구

        윤동녕 한국구약학회 2013 구약논단 Vol.19 No.4

        Balaam is described as a religious specialist in the Book of Numbers 22-24. “A religious specialist,” as Turner defines and elaborates, “is one who devotes himself to a particular branch of religion or, viewed organizationally, of a religious system.”Balaam primarily acts as a diviner who transmits divine oracles to Balak, King of Moab. The Bible does not directly state the process of divination which is performed by Balaam; the indirect evidences indicate that the divinatory process consisted of binary questioning such as “Yes” or “No.” The divinatory function of Balaam can be compared to that of a Mesopotamian “bārû” or Israelite “priest”; however, the Bible does not label him as either. Besides diviner, Balaam is also portrayed as a prophet who receives divine messages and relays them to a third party. Yet, just as in the case of him not being called a diviner, Balaam is not labeled as the religious title “prophet.” However, the technical terms used to describe Balaam gives evidence that he acted as a prophet. He is portrayed as a seer who can watch visions overwhelmed by the spirit of God. In this regard, the biblical Balaam’s role can be compared to that of the Balaam described in the inscriptions found at Deir Alla. Like the Balaam in Numbers, the Balaam in Deir Alla saw nocturnal visions and delivered them to the king in the morning. In conclusion, we can simply say that Balaam intermediated divine oracles by playing the role of diviner, prophet, or both. Like other diviners in the ancient Near East, he used various skills to ask, receive, and interpret divine will and to recite it to the clients. 본 논문은 민수기 22-24장에 등장하는 발람의 역할과 기능을 사회학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발람은 신탁 전문가와 예언자의 역할을 한 전문 종교인으로 기술되어 있다. 필자는 발람이 비록 이방인이었지만 최소한 민수기 22-24장에서는 하나님의 말씀을 충실하게 전하려 했던 전문 종교인으로 묘사되고 있음을 밝힌다.

      • KCI등재

        에스겔서에 사용된 ‘허탄한 묵시’(하존 샤브)의 의미와 기능 연구 -에스겔서 13장을 중심으로-

        윤동녕 한국구약학회 2014 구약논단 Vol.20 No.3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function and meaning of false vision in the Book of Ezekiel. The Book of Ezekiel describes Ezekiel as performing prophetic role among exiles in Babylonia. The multi cultural and polytheistic Babylonian environment gave Ezekiel new prophetic challenge, because the Israelites exiles were being rapidly assimilated with Babylonian culture and religion. So some male prophets even in the tragic exile claimed that they saw the vision of peace, whereas the peace did not exist. In addition, some female announced prophesy out of their own imagination. They sew magic charms on all their wrists and made veils of various lengths for their heads to deceive the people. Ezekiel criticized their false prophecy by using various vocabularies, comparing them with false divination, and emphasizing uselessness of their visions. However, Ezekiel’s prophetic authority was not completely conceded among exiles, because his prophetic channels such as dreams and visions could not simply discerned from hallucination. In fact, some Babylonian diviners also adopted dreams and visions in ecstatic state to receive divine will. So Ezekiel was required to prove the authority and authenticity of his visions. He employs a unique phrase “aw>v" !Azx]”(hazon shav) in order to support the authority of visions that he saw. For Ezekiel the phrase “aw>v" !Azx]” was the tool for arguing with false prophecy and pointing out the fallacies of new prophetic movement led by female prophets, while depending the authority of his prophecy. 본 논문은 에스겔서에 기록된 “허탄한 묵시”의 의미와 기능을 연구한다. 에스겔은 바벨론의 포로민들에게 예언을 선포한다. 바벨론의 다문화적 다종교적 상황은 에스겔에게 새로운 예언자적 역할을 기대케 한다. 왜냐하면 포로민들은 바벨론의 문화와 종교에 급속하게 동화되어 갔기 때문이다. 어떤 남성 예언자들은 포로라는 비극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이 보지도 못한 평강의 묵시를 선포하였다. 또한 어떤 여성들은 자신의 뜻대로 예언을 선포했다. 그들은 손목에 부적을 달고 머리에 베일을 쓰고 백성들을 속였다. 에스겔은 이들은 거짓 예언의 문제점을 지적하기 위해 다양한 용어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예언을 거짓 점궤와 비교하고, 또 그들이 본 묵시의 헛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포로민들은 에스겔의 예언자적 권위에 완전히 동의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가 예언을 받는 수단인 꿈과 환상은 환각과 구분하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바벨론의 점술사들의 신의 뜻을 구하기 위해 황홀경 상태에서 꿈과 환상을 사용하였다. 에스겔은 자신이 본 환상의 권위와 진실성을 증명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그는 “허탄한 묵시”라는 특유의 문구를 사용하여 자신이 본 환상의 권위를 변호하였다. 에스겔은 “허탄한 묵시”라는 문구를 거짓 예언과 논쟁하는 데만 사용한 것이 아니라, 여 예언자들에 의해 시도된 새로운 유형의 예언운동의 오류를 지적하고 자신의 예언의 권위를 수호하는데 사용하였다.

      • KCI등재

        The “Woman in the Window” Motif In Iconography and the Question of the Hebrew Goddess

        윤동녕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5 장신논단 Vol.47 No.3

        The motif of the “woman in the window” deals with an ivory woman who is frontally, full faced looking through a window. Concerning the identity of the woman, it has been generally told that she represents either the goddess Astarte or her votary (priestess) at the window, leaning out and alluring men to serve the goddess by sexual union. The x-marked frontlet which she wears fastened with a cord round her head proves her function as a temple prostitute. However, not all the ivories have this type of ornament. The x-marked frontlet is only shown in ivories from Arslan-Tash. Even in some cases of Arslan-Tash, the x-shaped mark does not appear. The x-mark symbol seems to be a characteristic ornament which can be found only in the costumes at Arslan-Tash, because ivories found in Khorsabad are characteristically shaped as a rectangular ornament with four fringes. The mark seems to indicate the social location of which the woman belongs to, because women without an x-mark wear braided hair and look like old ladies. It is interesting to observe the differences between ivories of Arslan- Tash, Khorsabad and Samaria. The Samarian woman in the window does not wear any ornament and make up her eyes in the Egyptian style. She does not show a slight smile and does not intend to allure someone. Rather, she is gazing over the window, as if being angered by something and warning others not to approach her. We cannot find any implication of love or sexual tenderness.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the woman in the window represents either a deity, or a noble lady such as a mother of a general (mother of Sisera), a princess (Michal) or a queen (Jezebel).

      • KCI등재

        제왕 신탁가로서의 훌다의 역할과 기능

        윤동녕 한국구약학회 2022 구약논단 Vol.28 No.3

        훌다는 제사장 힐기야처럼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종교인이 아니었으나, 성전에서 발견된 율법책의 내용을 하나님께 물으라는 왕의 요청을 받았다. 훌다는 한편으로는 힐기야가 주재한 제사장 신탁을 검증하여, 율법책이 유다의 멸망을 예고하고 있음을 확증한다. 그는 이 과정에서 왕의 요청을 하나님께 묻고 그 답을 얻는 신탁가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훌다의 대답이 신탁의 결과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훌다는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예언을 선포할 뿐이다. 훌다는 또한 요시야 왕의 운명에 대해서도 예언을 선포한다. 요시야 왕도 유다와 비슷한 운명에 처하겠지만, 훌다는 요시야 왕이 조상에게로 돌아갈 때 평안히 묘실로 들어가겠다는 예언을 선포한다. 요시야 왕에 대한 예언은 힐기야의 신탁과 차이가 있다. 힐기야의 신탁은 요시야 왕의 비극적 죽음을 예고했지만, 훌다의 예언은 죽음 이후의 평화로운 장례를 선포함으로써 왕의 권위와 통치권의 안정을 도모한다. 이러한 점에서 훌다의 예언은 주전 18세기의 마리 왕국과 주전 7세기의 신아시리아의 제왕신탁과 유사점이 있다. 마리와 신아시리아의 제왕신탁은 왕의 안전과 제국의 안정에 큰 관심을 두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구원신탁이었으며, 예언자는 왕의 비판적 지지자였다. 훌다는 마리와 신아시리아의 예언자나 여예언자처럼 왕궁 내에서 활동하지는 않았지만 예언의 주목표는 왕이었다. 훌다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신탁가인 바루처럼 신탁을 검증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왕의 예언자로서 왕과 왕권을 수호하는 제왕신탁을 선포함으로써 요시야 왕이 시행하는 개혁의 지지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

      • KCI등재

        요나의 예언에 나타난 고대근동 예언적 요소

        윤동녕 한국구약학회 2023 구약논단 Vol.29 No.3

        요나서에 기록된 짧은 예언과 전기적 이야기는 마리의 예언 형식과 유사하다. 이러한 형식적 유사성은 요나서가 고대 히브리 예언문학의 원형을 보존하고 있음을 추론케 한다. 요나의 심판예언은 니느웨 백성에게 불운한 징조로 받아들여져서 오히려 그들을 구원하는 기능을 한다. 요나의 구원기능은 여로보암 왕의 통치를 기술하고 있는 열왕기에 보다 잘 묘사되어 있다. 요나는 국토가 회복되겠다는 예언을 통해 여로보암이 하나님의 지지를 받고 있는 왕임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Jonah’s prophecy and his activities as being described in the Books of Jonah and Kings. Jonah’s prophecy recorded in the Book of Jonah is very short. The format of this short prophecy is similar to that of the ancient Mari prophecies. A Mari prophecy consists of a short prophecy and longer narratives that provides more context for the prophecy. This structure of the Mari prophecy suggests that the literary form of the book of Jonah is not the result of later editing, but rather preserves the original form of ancient Hebrew prophecy. Jonah pronounces judgment on the people of Nineveh. The people of Nineveh, however, take Jonah’s prophecy as an omen of future misfortune, so they don coarse sackcloth and declare a fast to avoid it. Their behavior seems to be part of a shroud ritual to ward off bad omens. As a result, Jonah is able to warn the people of Nineveh and save them from the coming judgment. Jonah’s deliverance is more clearly seen during the reign of Jeroboam, recorded in the book of Kings. Jeroboam was a wicked king, but Jonah proclaims a positive prophecy of territorial restoration. Like the prophets of Neo-Assyria, he functions as a royal prophet concerned with the welfare of the king and the stability of the kingd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