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쉼터 입소 가출청소년의 사회적 배제와 우울·불안과의 관계연구

        육혜련 ( Yuk Hea-rye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쉼터 입소 가출청소년의 사회적 배제 경험이 가출청소년의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 것으로 이를 위한 조사대상자는 청소년쉼터 중 단기·중장기쉼터에 입소하여 생활하고 있는 가출청소년 4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조사대상자의 사회적 배제와 우울·불안 수준은 우려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배제는 총 가출 기간, 현 쉼터 이용기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가출기간이 장기화 될수록, 현 쉼터 이용기간이 짧을수록 사회적 배제 수준이 높았다. 또한 우울·불안은 성별, 연령, 현 쉼터 이용기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여자 청소년일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현 쉼터 이용기간이 짧을수록 우울·불안 수준이 높았다. 셋째, 사회적 배제 (전체)가 높아질수록 가출청소년의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배제 하위영역별로는 경제영역, 사회제도영역, 노동영역에서 사회적 배제를 경험 할수록 가출청소년의 우울·불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출청소년의 건강한 적응을 위해서는 가출청소년의 사회적 배제 문제는 다차원적으로 접근해야 하며, 사회적 배제 예방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가출청소년의 우 울·불안을 극복하고 건강한 정신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책의 수립과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실천현장에 적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가출청소년의 사회적 배제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청소년쉼터에서의 입소기간에 대해 개별적, 전문적, 통합적인 접근이 강화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social exclusion and the psychosocial maladjustment(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runaway youths. In this research, the runaway youths who stayed in the youth shelters for short, middle and long terms were investigated in total 473 persons. From the research results, we found the followings: First, the degree of social exclusion,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runaway youths was not serious. Second, social exclus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ommunities was more pronounced with the longer period of runaway and the shorter stay in the runaway youth shelters. And the depression and the anxiety of runaway youth were related with the sex, age, and staying period of runaway youth shelters: Female, older age, and shorter staying in the runaway youth shelters had more depression and anxiety. Third, in the various fields of social exclusion such as economy, society, and labor,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runaway youths were enhanced by the experiences of social exclusions. Therefore, for the well adjustment of the runaway youths to the society, the social problems would be tackled multi directional. For the prevention of the social exclusion problems, various policies could be developed. Moreover, several tactics and programs have to be developed and applied to youth shelters in order to overcome the depression and the anxiety for the good mental health of the runaway youths. Lastly, the period of stay in the youth shelters affecting social exclusion and mental health for the runaway youths could be studied personally, professionally, and integratedly.

      • KCI등재

        성매매방지기관 실무자의 사례관리 경험에 대한 연구

        육혜련 ( Hea Ryeon Yuk ),남미애 ( Mi Ae Nam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1

        본 연구는 성매매방지기관 실무자들의 사례관리에 대한 실천경험의 이해를 바탕으로 성매매라는 특수성이 고려된 사례관리 실천방법의 적용에 대한 이슈들을 파악하고자 한 것으로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참여자는 전국의 성매매방지기관 중 성매매피해상담소, 일반지원시설, 자활지원센터, 청소년시설 유형별 각각 3개의 기관을 선정하였고, 각 기관에서 사례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 및 소장(기관에 따라서는 센터장으로 불림) 총 12명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성매매방지기관 실무자들의 사례관리 경험에 대한 주요 이슈들은 3개의 영역에서 5개의 주제와 12개의 범주로 구분하였다. 5개의 주제로는 ``특별하지 않은 일상적이고 꾸준한 업무``, ``부담감과 설레임의 공존함``, ``애이불비(哀而不悲)``, ``현장경험을 통해 배워가는 나만의 노하우``,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래의 희망으로 나를 채우다`` 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현장의 이해에 기반한 사례관리의 전문적인 교육의 장 확대, 정부차원의 의료와 법률에 대한 서비스 맞춤 방안 마련, 일자리 창출 및 맞춤 직업교육의 강화, 지역 전문기관과의 다양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적극적인 네트워킹, 전문적인 슈퍼비전 체계의 확립 등 성매매방지기관에서 사례관리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과 실천의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brought about by applying the case management of prostitution in practice, considering its special characteristics. The study is based on the actual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the hands-on workers toward its case management, who are working at the organization for preventing prostitution. To do this, data collected for the research is analyzed by an inductive approache. Participants are selected in the Counseling Centers for Prostitution, General Supporting Facilities, Supporting Centers for Self-help, and Youth Facilities. Three organizations in each type of the centers or facilities are respectively chosen. Twelve participants are composed of six hands-on workers in charge of the case management and six managers supervising it(called the director of the Center in some Cent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main issues of their case management experiences are divided into 5 topics and then sub-divided into 12 ones in 3 areas. Each theme of the topics is ``Steady & ordinary, not special tasks``, ``Co-existence of a burden & thrilling``, ``Sad, but pretending to be serene``, ``Know-hows through practical experiences``, ``Nevertheless, fill my future with hopes``. On the basis of the result, some policies and instructions necessary to actively revitalize the case management are suggested: expanding professional training centers based on the field, preparing government level customized-services in medical treatments and laws, creating jobs & intensifying job training, setting up various cooperative systems with local organizations via active networking, establishing super-vision systems, and so on.

      • KCI등재

        가출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

        육혜련 ( Hea Ryeon Yuk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가출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 것으로 이를 위한 조사대상자는 청소년쉼터 중 단기쉼터와 중장기쉼터에 입소하여 생활하고 있는 가출청소년 5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조사대상자의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가출청소년에 대한 인식, 우울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친구지지, 교사지지, 쉼터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지지 중 가족지지는 친구지지나 교사지지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주요 변인 간에는 상이한 차이를 보였다. 우선 성별에 따른 주요 변인의 차이에서는 ‘여자’ 청소년 일수록 교사지지, 쉼터에 대한 만족도, 우울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령에서는 친구지지, 교사지지, 쉼터의 만족도, 가출청소년에 대한 인식, 우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정경제 수준은 자아존중감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다른 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가출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은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쉼터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와 같이 가출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통합적인 탐색은 향후 가출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및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의 새로운 인식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더 나아가 청소년복지정책과 실천을 위한 통합적 지원 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grasp eco-system factors that influence depression of runaway youths and 540 runaway youths who entered and lived in a short-term shelter and a medium & long-term shelter among youth shelters that are operated by government aid were investigated for th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an analysis method. From the research results, we found the followings: first,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of those teenagers, recognition on runaway youths, depression were lower than normal level, and that preference to friend`s support, teacher`s support and a youth shelter`s satisfaction was high. The social support got replies by dividing it into family, friends and teachers and it was found that they perceive family`s support lower than friend`s support and teacher`s support. Second, it showed difference among main variables according to features of demographic sociology. First of all, in difference of main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female relatively had higher preference to teacher`s support and a youth shelter`s satisfaction and higher depression. in ages, it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preference to friend`s support, teacher`s support and a youth shelter`s satisfaction, recognition on runaway youths and depression. The domestic economy level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only in self-esteem and none in other variables. Third, as for ecosystem factors that influence depression of runaway youths, self-esteem, family`s support and preference to a youth shelter`s satisfaction had a meaningful influence. As shown in the study result, integrated exploration into factors that have effects on depression of runaway youths emphasizes on necessity of new change of perception on policies for psychosocial adaptation and mental health promotion of runaway youths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an emphasis on importance of integrated support service for teenager welfare policies and its implementation.

      • KCI등재

        가출청소년의 성매매피해 경험에 대한 연구

        육혜련 ( Yuk Hea Ryeon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7 청소년복지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청소년시기 가출 경험이 있고, 가출 이후 성매매피해 경험이 있는 10명의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가출 이전, 가출 후 경험, 성매매 유입과정과 피해경험, 탈 성매매를 한 현재까지의 경험에 대해 그들만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한 그들의 목소리는 van Manen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근거하였다. 연구결과 가출청소년의 성매매피해 경험의 본질적 주제로는 `암흑 같은 길고 긴 터널을 지나 아슬아슬하지만 평범한 일상으로의 회귀`로 요약되었으며, 주요 이슈들은 3개의 영역에서 4개의 주제와 11개의 범주로 구분하였다. 4개의 주제로는 `그 모든 것의 시작`, `불법과 생존이 교차하는 그 곳`, `매 순간순간 찾아오는 인생의 위기`, `꿈이 시작되는 기쁨에 전염되다` 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매매피해 청소년의 보호와 지원을 위한 전담기구의 설치와 운영, 성매매피해 청소년들을 위한 일자리 창출과 교육의 필요성 강조, 성매매피해 청소년들의 건강지원 서비스 확대의 절실함, 청소년 성매매의 예방을 위한 협력네트워크의 구축과 활성화 강화의 책임있는 정책변화가 시급히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This study is on 10 teen females who have run away from home and have been sexually exploited while runa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ir experience before and after running away from home, the process to be exposed to sexual exploitation, and their experience before and after being sexually exploite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an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van Manen, 1990). Primary findings were classified into three parts which consisted of four subjects and eleven categories. 4 subjects represented `the starting point of everything`, `the intersection of being illegal and being survived`, `life crisis happening at unexpected moments`, and `being aware of their dreams by pleasur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ence of participants` sexual exploitation revealed that participant went through a long and dark tunnel, barely returning to the ordinary life. Also, they imply that the organization to protect and support sexually assaulted or exploited young runaway girls, job creation and education for them, expansion of health care services, and the shift of policies such as reinforcement of the organization network to protect against teen sexual exploitation are urgently necessary.

      • KCI등재

        ‘예비부모교육’이 대학생의 가족관계 변화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육혜련(Yuk Hea-ryeon) 경기연구원 2010 GRI 연구논총 Vol.12 No.3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ffect of Pre-parental education on university studen's family relationship and self-worth. To achieve this, we decided to select students at D University consultation department senior in Daejeon. Among them we selected 24 students who participated pre-parental education program and didn't absent during 5 times of l5hours for treatment group. Rest of 12 students for control group were selected to do before/after test. Also student's feedback and presentation is recorded and organized the resources during 5times of program. The main result of this research is compare who participated this pre-parental education program to who didn't, who participated has more meaningful result for emotional intimacy and self-worth after participated the program. To compare between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 used independent specimen T-test, and used SPSS statistics package program to analyze data.

      • KCI등재

        사회적 자본 찾기 프로그램이 비행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증진과 사회적 지지의 인지도 증진에 미치는 효과 -의료 소년원생을 대상으로-

        최은진 ( Eun Jin Choi ),육혜련 ( Hea Ryeon Yuk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소년법원의 보호처분을 받아 대전시에 소재한 소년보호기관(D소년원)의 의료보호를 받고 있는 의료 소년원생 16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 찾기 프로그램이 그들의 개인 내적 임파워먼트 증진과 사회적 지지의 인지도 증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참여를 원하는 의료 소년원생 중 8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매주 1회기 120분간 총 10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의료 소년원생 8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 후 개인내적 임파워먼트와 사회적지지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진행 과정 시 나타난 집단원의 행동 및 내면 변화 모습에 대한 연구자의 관찰 수기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피험자들은 사회적 지지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남으로써 본 프로그램이 의료 소년원생의 사회적 지지의 인지도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피험자들은 처음 프로그램 참여 시 모든 것에 대한 자신감 부족과, 자신을 도와줄 사회적 자원이 전혀 없다는 것의 두려움으로 사회 재복귀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으나 프로그램 진행과 함께 자신에게 정서적, 경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역사회의 많은 기관과 인적 자원, 그리고 자신의 강점 인지를 통해 사회 재복귀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자본 찾기 프로그램의 발전방향을 제시해 보면 현재 소년원에 입소되어 있는 비행 청소년을 위한 사회적 자본 찾기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해야 하며 실질적인 지역사회기관 방문을 통해 구체적인 사회적 자본을 찾을 수 있는 기회의 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사회적 자본 찾기 프로그램 교육시간의 확대로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 기관방문이 포함되어야 함은 물론, 현재 가족과 단절되었다고 인지하고 있는 비행 청소년들에게 가족관계의 회복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청소년 시기에 가장 필요로 하는 가족의 정서적 지지의 인식은 의료 소년원생의 사회 재복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청소년의 재 비행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In this research, for 16 persons of clinic juvenile delinquents who have the protection penalty from a juvenile court and stay in Daejeon juvenile reformatory,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program on internal empowerment and improvement of social support for above juvenile delinquents were investigated. In this investigation, 16 persons of clinic juvenile delinquents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One group(8 persons) was classified as an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 in social capital program, i.e. 10 times of 120 min program in a week. The other group(8 persons) was classified as a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social capital program. After participating above program, the progress of empowerment and improvement of social support was examined through monitoring the behavior and the change of the internal character of each group.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social support of clinic juvenile delinquents was improved by participating the program of discovery of social capital. At the beginning, the clinic juvenile delinquents had a fever for rehabilitation since they lacked in the self-confidence and did not have the social support. Through the progress of the program, they recovered the confidence for the rehabilitation since they recognized their merits and had an emotional and economical supports from the local societie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discovery program of social capital,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concrete social capitals should be discovered by visiting local social organizations. Furthermore, by expanding the education times in the program, the visit of local social organization can be included and the programs of the recovery of family relations should be developed, which provide the emotional support from the family. In this way, clinic juvenile delinquency could be rehabilit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