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서연(書筵) 연구

        육수화 한국교육학회 2005 敎育學硏究 Vol.43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iculum and methods of Sŏyŏn(書筵) education in the late Chosŏn period. Because the Confucianism of the Chosŏn dynasty was formed on the basis of Neo-Confucianism(朱子學), the curriculum of Sŏyŏn(書筵) education was made up on the basis of Chu hsi's studying method of reading books. But it is notable that for the education of the emperor, historical books were as important as the Confucian classics. The method of education was divided into Bŏb-Kang(法講), which was regular, and So-Dae(召對) which was for supplementary study. The main textbooks for teaching in the case of Bŏb-Kang(法講) were the Confucian classics, and the ones in the case of So-Dae(召對) were the history books(史書). Because the recipient of Sŏyŏn(書筵) education was the crown prince(東宮), the educational programs of Sŏyŏn(書筵) were carried out to maintain the power and status of Chosŏn kings. 본 연구는 조선후기 서연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을 규명한 것이다. 조선유학은 朱子學을 근간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서연의 교육과정뿐만이 아니라 일반의 교육과정에 있어서도 小學 등의 초학과정을 마치면 四書五經을 단계적으로 이수하는 朱子讀書法에 의거하여 이루어졌다. 그러나 일반의 교육과정과는 달리 서연의 경우 제왕학으로써 경서 못지않게 역사서의 비중이 높았다는 점이 특징이다. 교육방법은 크게 정규적으로 이루어지는 法講과 수시로 이루어지는 召對로 나뉜다. 교재는 법강의 경우에는 經書를, 소대의 경우에는 史書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서연은 왕위계승자인 東宮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었기 때문에, 왕권 및 왕실의 위상과 상호 비례하여 이루어졌다.

      • KCI등재

        전통문화와 인공지능의 융합 - 인공지능 기반 한문 고서 번역 -

        육수화,권경열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are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 of the open technology that supports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s written in Chinese” project such as extraction of corpus, AI translation and human evaluation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AI translation of the classics in the future. The extraction of corpus this time focused on improving the accuracy of AI-based automatic translation of geography books. Corpus is a sentence that presents original Chinese text and the corresponding translated text 1:1 in parallel.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inforcement learning has improved the accuracy of AI-based translation compared to the past and increased the accuracy of AI-based machine translation to over 80% in this project. The extraction of at least 1 million corpora is required in order to perform AI-based machine translation specialized in geography books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extraction of high quality corpus is required in more diverse fields including poetry, education, protocols and diplomacy in addition to geography.

      • KCI등재

        조선시대 왕실의 유아교육

        육수화 동양고전학회 2008 東洋古典硏究 Vol.32 No.-

        조선시대 왕실문화는 유교문화의 정수였고, 왕실교육은 유교교육의 최고봉이었다. 修己治人을 실현하는 선비이자 內聖外王을 구현하는 치자로서, 유교의 이상적인 모델이자, 백성들의 모범이 되어야만 했던 것이 바로 조선의 왕이다. 때문에 왕위계승자들의 교육은 일반 사대부들보다 더욱 엄격하고 치열한 교육과정을 이수해야만 했고, 왕실구성원이었던 왕실자손들의 교육 또한 소홀히 할 수 없었다. 태교는 태아의 건강과 좋은 기질의 형성을 위해 산모가 갖추어야 할 마음가짐과 몸가짐이다. 이는 애초 산모가 보고 느낀 것을 태아도 태내에서 감응한다는 한의학적 학설에 바탕을 둔 것인데, 유교적 수양론과 결부되면서 교육의 시작이요, 성품형성의 근원으로 여겨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게 되었다. 원자와 원손의 교육과정은 왕위계승교육의 일환으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아주 체계적으로 구축되었다. 대개 3세 이전에는 輔養廳을 설치하여 보육을 담당하게 하였고, 이들이 글을 읽기 시작할 무렵이 되면 講學廳을 설치하여 조기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이들을 제외한 다른 왕실자손들의 경우, 보양청은 설치되지 않지만 통상 6세가 되면, 종친부 주관으로 대군과 왕자군의 경우에는 講學廳을, 왕손의 경우에는 敎學廳을 설치하여 조기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조선왕실 유아교육은 왕위계승자와 왕실자손들 모두 {孝經}⋅{小學}과 같은 초학단계를 마치면, {大學}⋅{論語}⋅[孟子}⋅{中庸}의 단계적 학습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교육과정 자체는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원자의 사부는 정 2품, 원손의 사부는 종 2품이며, 대군과 왕자군의 사부는 종 9품, 왕손의 교부 또한 종 9품으로 규정함으로써 그 위상에 있어서는 현격히 차등을 두어 시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make clear the education process, from antenatal training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Joseon Royal Family. Centered on the successors to the throne and reviewed also the education of other Royal Family members, this study carried out comparative analysis on them. Antenatal training is pregnant woman's essential physical and mental attitude. It is indispensable to the health and good nature of unborn baby. Antenatal training had been based on the theory of Oriental medical science that fetus can sympathize what mother see and feel. Such theory, combined with Confucian self-culture theory, had taken very important position in Confucianism. Not to speak of Royal Family, noble family regarded antenatal training very essential as beginning of education and root of nature formation. For firstborn son and firstborn grandson, Boyangcheong (輔養廳, special nursery agency) was set up before their age became three, but not for other sons and grandsons of Royal Family. When firstborn son or firstborn grandson grew up to read letters, Ganghakcheong (講學廳) was set up for their early education. Other sons of king also learned in their early ages at Ganghakcheong while other grandsons of king learned at Gyohakcheong (敎學廳). Education courses were almost same between successors and non-successors but there were wide difference in the ranks of their tutors; firstborn son's tutor marked 2nd Jeong(正) class, firstborn grandson's tutor marked 2nd Jong(從) class and other royal sons' tutors were just 9th Jong(從) class.

      • KCI등재

        조선왕실의 조기교육 기관 연구

        육수화 한국교육사학회 2007 한국교육사학 Vol.29 No.1

        본 연구는 조선왕실의 조기교육기관인 보양청(輔養廳)과 강학청(講學廳)의 설치경위와 교육과정에 대해 규명한 것이다. 조선왕실에서의 왕위계승자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되었다. 보양청은 원자나 원손이 탄생하면, 대개 3세 이전에 설치하였는데, 다른 왕실자손들을 위해서는 설치하지 않았다. 이들이 글을 읽기 시작할 무렵이 되면 강학청을 설치하였는데, 초학교재로는 『孝經』·『小學』·『童蒙先習』 등이 주로 선정되었다. 여타 왕실자손들도 통상 6세가 되면, 대군과 왕자군의 경우에는 강학청(講學廳)을, 왕손의 경우에는 교학청(敎學廳)을 설치하여 조기교육이 이루어졌다. 왕위계승자들의 교육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진데 반해, 왕실자손들의 교육은 종친부 차원에서 이루어졌으며, 그 위상에 있어서도 왕위계승자들과는 현격한 차등을 두었다. 本論文對作爲朝鮮王室早期敎育機關的輔養廳和講學廳的設置經緯及敎育課程進行了闡述. 以朝鮮王室的王位繼承人爲對象的敎育, 是在國家的層面上系統性的進行的. 輔養廳是在元子, 元孫3歲以前設置的, 但幷不爲其他的王室子孫設置. 在他們能구開始讀書識字時設置講學廳, 初級的敎材主要選定爲『孝經』,『小學』,『童蒙先學』等. 其他的王室子孫一般在6歲的時候, 大君和王子君的情況設置講學廳, 王孫的情況設置敎學廳來實施早期敎育. 王位繼承人的敎育是在國家的層面上進行的, 相反其他王室子孫的敎育是在宗親府的層面上實現的, 這和王位繼承人之間存在著懸殊的差異.

      • KCI등재

        조선시대 왕위계승교육의 변화양상

        육수화 동양고전학회 2011 東洋古典硏究 Vol.44 No.-

        조선의 왕은 일반 사대부들보다 더욱 엄격하고 치열한 교육과정을 이수해야만 했고, 왕실과 국가는 왕위계승에 부족함이 없는 후계자를 양성하기 위한 최고의 교육환경과 교육체계를 구축하였다. 성장과정에 따라 적합한 교육기관을 설치하였고, 또한 그에 상응하는 의례를 거행하였다. 왕위계승자들은 성장과정에 따라 교육기관을 달리 설치하였다. 3세를 전후하여 보육기관인 보양청이 설치되고, 5세를 전후하여 조기교육기관인 강학청이 설치되며, 왕세손시절엔 세손강서원에서, 왕세자시절엔 세자시강원에서 각각 교육을 전담하였다. 이는 조선시대 왕위계승교육이 얼마나 체계적으로 진행되었는지를 방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왕위계승자의 교육과정은 주자의 공부론에 입각하여, 단계적이고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대략적으로는 소학을 이수한 이후에 사서삼경과 사서를 순차적으로 이수하였다. 조선후기 서연이 조선전기와 달라진 점이 있다면, 성리학의 발전과 함께 조선에서 지어진 책이나 편찬한 책들이 교재로 활용되었다는 것이다. 왕위계승자들의 책봉의식은 ‘종통의 승계’를 상징하는 의식이었고, 입학례는 ‘도통의 승계’를 상징하는 의식이었다. 왕위계승자로서 권위를 부여하고, 다음 세대를 이끌어갈 지도자로서의 소명의식을 내면화시켜 나가는 잠재적 교육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왕실교육기관은 태종대에 기반이 조성되었으며, 세종대에 이르러 교육제도가 정착되었다. 정교일치를 표방한 유교사회에서 종통과 학통에 대한 정통성 확보는 왕권강화와 왕실위상에 상당히 중요한 전제조건이 된다. 조선후기에는 왕권과 왕실의 위상이 약화되고 격하되어 왕실교육의 강화를 통해 왕통의 정통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갑오개혁 이후 다시 약화되어 왕실교육기관은 축소 개편되었다. 이는 왕위계승교육은 왕실의 위상과 궤를 함께하는 것임을 반영하는 것이라 하겠다. Joseon was a Confucian dynasty. It was ruled by Kings of the Royal family that had secured the orthodoxy of clan rules under Confucian ideas. Royal family was the main prop of Confucian culture and Kings were leaders who leaded society and culture from the top. Therefore, Kings should complete more strict and intense education than noblemen. The Royal family and the government should have to establish prim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systems to foster successors qualified for the throne. This study examined concretely what educational courses did they complete and how were the educational systems established, through the education for throne succession in the late Joseon. The reason why the successors in the late Joseon were selected as subjects is to certify how could they, who kept relatively weak orthodoxy of clan rules compared with their ancestors in the early Joseon, secure the required mental ability and morality to show leadership as a monarch. This study focused on educational institutes and educational ceremonies. Study on educational institutes could clarify the purposes of educational institutes that were installed along the growth of throne successors and the educational courses that successors completed by each period. On the other hand, study on educational ceremonies could make it clear how were throne successors given with authority and did they internalize the duty of sense as the leader to lead next generation. In addition, by tracing the form with which politics and education had combined each other through ceremonies, it could be learned that the ceremonies of Joseon Dynasty had have a unique 'educational function'. Education is the crystallization of the ideas and culture of those days and at the same time the cornerstone on which new ideas and culture can be created. In the Confucian society where the union of politics and education were claimed, politics and education had an indivisible relation. Also, power and education were in organic relation.

      • KCI등재

        조선시대 왕세자의 교육기관

        육수화 한국교육학회 2004 敎育學硏究 Vol.42 No.2

        In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Wang-Se-Ja 王世子 in Choson Dynasty. The education for Wang-Se-Ja can be explained effectively according to two periods: before and after Check-Bong 冊封(investiture). Before Check-Bong, an institution called Bo-Yang-Chung 輔養廳 was established, and it took a role for both protecting and rearing Wang-Se-Ja 王世子. When he grew up enough to be able to read books, an institution called Kang-Hak-Chung 講學廳 was established for the education for his youth. After Check-Bong 冊封, an institution called Se-Ja-Si-Kang-Won 世子侍講院 was established and served full-scal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his eventual succession of the throne. Meanwhile, there was also an institution called Se-Ja-Ik-Wee-Sa 世子翊衛司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him. Choson dynasty also had institutions for educating Se-Son who belongs to royal families, but is not Wang-Se-Ja, because from time to time it happened that Se-Son succeeded the throne of the King, instead of Wang-Se-Ja. Se-Son-Kang-Seo-Won 世孫講書院 and Se-Son-Wee-Jong-Sa 世孫衛從司 are such institutions. However, the status of these institutions were different from that of institutions for Wang-Se-Ja. Se-Ja-Si-Kang-Won 世子侍講院 is not a standing institution, yet was equipped with systematic organization. It seems to reflect the superior status of Se-Ja-Si-Kang-Won 世子侍講院 to the institutions for educating Se-Son. 본 연구는 조선시대 왕세자의 단계별 교육기관과 그 직제의 변천과정을 추적하면서, 시강원의 직제변천이 갖는 교육사적 의미를 규명하였다. 왕세자의 교육기관은 책봉 전과 책봉 후로 대별된다. 책봉 전에는 보양청(輔養廳)을 설치하여 그 보호와 양육을 담당하게 하였고, 글을 읽기 시작하면 강학청(講學廳)을 설치하여 조기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책봉 후에는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을 통해 왕위계승을 위한 본격적인 교육이 이루어졌는데, 그 배위기관인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도 아울러 설치하였다. 서연(書筵)을 담당한 세자시강원은 상설기구가 아닌 임시기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기 왕위계승자의 교육을 담당한 기관으로서의 위상을 반영하듯 벼슬아치와 구실아치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있었다.

      • KCI등재

        문헌을 통해 본 투호례의 수용과 변화양상 - 조선왕실의 투호례를 중심으로 -

        육수화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6 민족문화논총 Vol.64 No.-

        This study aims to trace back to Korea's acceptance of Tuhorye and its developments through various literatures. Tuhorye originated from an aristocratic culture, which the nobility in China enjoyed, and embraces not only its characteristics as a field of teaching manners and etiquette, but some aspects of play. South Korea has records which show the popularity of Tuho back i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a testament to its recognition as a form of play, rather than something to be taught for good manners. King Yejong of Goryeo formalized it to make it more popular and widespread, but eventually failed to achieve the goal. It was during the Joseon Dynasty when Tuho became fully popular as a rite throughout all classes, ranging from the royal family to the nobility, as it focused on the aspects of teaching manners, such as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s and cultivation of moral virtues. King Sejong of Joseon recognized Tuho as a tool for physical and mental improvements and fostering of virtues, and thought highly of its usefulness enough to make it integrated into the education of the crown prince. King Seongjong formalized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Tuho, used for banquets, and legalized an advancement of the official rank by one notch for those, who outperformed in a test on the recita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literary composition and Tuho for the royal family and their spouses. Tuhorye belonged only to members of the royal family for their stronger unity and harmony. However, its role had been expanded in the period of King Sejo to serve as a venue for the ruler and the ruled to form and maintain their harmonious relationships, with high-ranking officials starting to participate as well. This seems to be a turning point for Tuhorye to expand its scope and be incorporated into the cultures of the nobility. Later, Tuhorye was performed at the royal court during giyeonghoi, a ceremony prepared for the old high-ranking officials to pay respect to their old age, or girohoi, a meeting with retired officials. 이 연구는 다양한 문헌을 통해 우리나라 투호례의 수용과 변화양상을 추적해 보고자하는 목적을 두었다. 투호례는 중국의 귀족들이 향유하던 귀족문화로 예교적 성격을 띤 것이지만 유희적인 요소도 아우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에 이미 투호가 유행하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예교적인 성격보다는 유희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 예종대에 이르러 투호를 의례화 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보급하려 하였으나, 실제로는 그 성과를 이루지 못하였다. 투호가 심신의 수양과 덕성의 함양이라는 예교적 성격을 띠면서 왕실은 물론 사대부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의례로 온전히 보급된 것은 조선시대에 이르러서야 가능하게 되었다. 세종은 일찍이 투호를 심신수양과 덕성함양을 위한 도구로 인식하고 그 효용성을 높이 평가하여 왕세자의 교육에도 활용하였다. 성종은 연회 때 투호하는 방법과 절차 등을 의례화 하였고, 종친들과 의빈들을 대상으로 강경과 제술 그리고 투호를 시험하여 우등한 사람에게 한 자급씩 품계를 올려주는 것을 법제화 하기도 하였다. 처음 투호례는 종친 간의 화목을 위한 왕실구성원들의 전유물이었다. 그러나 세조대에 이르러 군신 간의 화합을 위한 장으로 확대되면서 고위 관료들 또한 왕실의 투호례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것이 투호례가 사대부의 문화로 확대될 수 있는 전기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투호례는 조정에서 연로한 고관들을 위해 베푸는 기영회나 기로회에서도 시행되었다.

      • KCI등재

        정조의 성장과정을 통해 본 조선후기 왕위계승교육

        육수화 동양고전학회 2009 東洋古典硏究 Vol.37 No.-

        정조는 1752년(영조 28) 9월 22일에 탄강하여, 8세에 왕세손 책봉례, 10세에 입학례와 관례를 치르고, 11세에 아버지 사도세자가 薨逝하자 왕세손이면서 東宮으로 進封 되었고, 24세에 왕위계승자의 실무교육이라고 할 수 있는 대리청정 수행을 거쳐 25세에 등극하였다. 조선왕실의 왕위계승교육은 성장과정에 따라 기관의 명칭과 위상을 달리하며, 국가적인 차원에서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되었다. 곧 보양청(보육기관)→강학청(조기교육기관)→세손강서원(왕세손교육기관)→세자시강원(왕세자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거쳐 왕으로 등극하게 된다. 이러한 교육과정 외에도 책례⋅입학례⋅관례 등과 같은 의례를 거행하게 되는데, 이는 왕위계승자들에게 권위를 부여하고, 다음 세대를 이끌어갈 지도자로서의 소명의식을 내면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책례는 왕위계승자를 미리 결정함으로써 정국의 혼란을 막으려는 정치적 의도도 있었지만, 그보다도 일찍부터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예비 왕으로서 갖추어야 할 교양과 덕목을 쌓아 군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려는 교육적 의미가 더욱 컸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등극 전에 이루어지는 대리청정은 왕위계승을 위한 실무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후기에 이르면 전기에 비해 왕위계승에 있어서 종법적 정통성이 상대적으로 미약하였으므로, 군왕으로서의 강력한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신료들을 제압할 수 있는 지적능력이 요구되었다. 때문에 특히 영⋅정조대에는 왕실교육을 확대 강화함으로써 왕실의 위상제고와 왕권강화에 주력하였으며, 의례정비를 통해 국가기강과 통치질서를 확고히 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Joseon was a Confucian dynasty. It was ruled by Kings of the Royal family that had secured the orthodoxy of clan rules under Confucian ideas. Royal family was the main prop of Confucian culture and Kings were leaders who leaded society and culture from the top. Therefore, Kings should complete more strict and intense education than noblemen. The Royal family and the government should have to establish prim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systems to foster successors qualified for the throne. This study focused on educational institutes and educational ceremonies. Study on educational institutes could clarify the purposes of educational institutes that were installed along the growth of throne successors and the educational courses that successors completed by each period. On the other hand, study on educational ceremonies could make it clear how were throne successors given with authority and did they internalize the duty of sense as the leader to lead next generation. In addition, by tracing the form with which politics and education had combined each other through ceremonies, it could be learned that the ceremonies of Joseon Dynasty had have a unique 'educational function'.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大君과 王子君 그리고 王孫의 교육연구

        육수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장서각 Vol.0 No.15

        In this paper I examins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son of the king's principle wife(Daegun, 大君), son of the king's concabine wife(Wangjagun, 王子君) and Crown Prince's son(Wangson, 王孫).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eachers for Daegun, Wangjagun were called Gnghakcheong(講學廳) and Sabu(師傅) respectively. Gyohakcheong(敎學廳) and Gyobu(敎傅) were for Wangson. The education for Crown Prince and Grandson-Heir Apparent was performed systematically as a means of governmental strategy. The education for Wangson was only conducted by Bureau of Royal Descendants(Jongch'inbu, 宗親府). The curriculum for royal families included Dongmong seonseup(童蒙先習), Sohak(小學), Hyogyeong(孝經) and other confucianism classics. This curriculum was similar with that of Crown Prince and Grandson-Heir Apparent. When compared to the curriculum for other Royal descendents, the history was the most important subject for the teaching of Crown Prince and Grandson-Heir Apparent. 본 연구는 조선후기 왕실 자손들의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의례과정을 규명한 것이다. 그 대상은 왕의 적자인 大君과 서자인 王子君, 그리고 왕세자의 적자인 嫡王孫과 서자인 庶王孫 등이다. 대군과 왕자군의 교육기관은 講學廳이라 하고, 왕손의 교육기관은 敎學廳이라 하였으며, 대군과 왕자군의 스승은 師傅라 하고, 왕손의 스승은 敎傅라 하여 그 廳號와 稱號를 구별하여 사용하였다. 왕위계승자인 왕세자와 왕세손 등의 교육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데 반해 이들의 교육은 종친부 주관으로 이루어졌다.교육과정은 기본적으로 동몽선습 소학 효경 등의 초학과정을 이수하면 사서삼경으로 이어져 왕위계승자들의 교육과정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왕세자와 왕세손의 경우 왕위계승자임을 염두에 두어 교육이 이루어졌다. 때문에 帝王學을 위한 방편으로써 역사서도 아울러 강조되었다는 점에서 이들의 교육과정과 차이가 있었다. 또한 왕세자의 사부는 정1품, 왕세손의 사부는 종1품인데 비해, 대군과 왕자군의 사부와 왕손의 교부는 모두 종9품으로 왕위계승자들과는 현격한 차등을 두었다. 차이를 인정하기 보다는 차별을 강조하는 유교적 전통은 각종 의례과정에서 더욱 부각되는데, 그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철저히 위상을 달리하여 이루어졌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