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식업체의 배달앱 및 배달대행서비스의 이용이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분석 -지역별 영향의 차이를 중심으로-

        유희영 ( You Hee-young ),우아영 ( Woo A-young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3 부동산분석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0

        스마트폰 사용 증가, 1인 가구 증가 등의 사회적인 환경변화로 양적 · 질적으로 성장한 배달업 시장에 대한 연구가 2016년에 들어서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시작했다. 이후 배달업에 관련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최근까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판매자인 외식업주의 관점에서 배달맵 및 배달대 행서비스 이용했을 때 실질적인 매출액의 변화를 지역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본 연구에서 예상한 대로 배달서비스 요인인 배달업과 배달대행서비스의 이용이 외식업체의 매출액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지역별로도 그 이용도의 차이성을 검증 하였다. 수도권의 경우 배달서비스 요인이 높은 영향력을 보여 주었다. 속한 변수 모두가 평균적으로 매출액에 50%를 넘는 상승효과를 가져다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 역시 배달서비스요인이 모두 매출액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searchers started to pay attention on delivery app market around 2016, when the market was growing rapidly due to social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he increase in smartphone use and single-person household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delivery apps and delivery agency services on the sales of restaurants, particularly focused on characteristics of regions the restaurants are located in. The results indicate that delivery service factor, which are the use of delivery apps and delivery agency servic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ales of restaurants. In addition, analysis verified that there is difference in use of delivery apps and delivery agency services between different regions. In metropolitan area, delivery service factor showed high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ales. Every variable showed an increase of more than 50% in sales. Non-metropolitan area also showed that delivery service factor significantly raised the sales.

      • KCI등재

        외식업체 배달앱 이용과 매출액의 실증적 관계성에 대한 연구 -지역 및 상권별 이질성을 중심으로-

        유희영 ( You Hee-young ),우아영 ( Woo Ayoung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3 不動産學硏究 Vol.29 No.4

        오늘날 스마트폰 사용 및 1인 가구 증가와 같은 사회 · 인구학적 여건 변화에 따라 외식업 배달앱 시장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여건 변화에 대응하여 배달앱 시장의 성장 및 소비자 편익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판매자 측면에서 배달앱의 활용이 실질적으로 경영성과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실증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0년 외식업 경영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외식업주의 배달앱 이용과 점포별 매출액의 실증적 관계성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로버스트 표준오차 기반의 다중회귀분석을 차용하여 점포별 배달앱 이용과 매출액의 상관관계를 면밀히 실증한다. 또한, 활용 배달앱의 유형, 지역 및 상권별 효과의 이질성을 함께 실증하여 비교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식업 자영업자의 매출 증진 및 생존을 위한 영업 전략 수립의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re is growing attention on the restaurant delivery app market, which has been expanding rapidly in response to socio-economic changes such as increased smartphone usage and the ri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Despite many studies focusing on the various benefits of delivery app use for consumers, we have limited understanding of whether restaurant delivery app usage helps store owners increase their sales. Hence,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s between delivery app usage and restaurant sales in Korea. Using the 2020 Restaurant Business and Management Survey data, we employed multiple regression models with robust standard error estimation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 restaurant's delivery app usage and sales. Additionally, this study accounted for the types of delivery app and commercial submarkets to examine how these relationships are different by service types as well as regions and commercial areas. Our findings can help policymakers and restaurant owners better understand the impact of delivery app usage and develop business strategies to achieve commercial 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