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고 싶은 섬」의 갯벌과 토양환경 특성(Ⅴ) - 안마도, 선도 중심으로 -

        유휘선 ( Yoo Hwi-sun ),양정고 ( Yang Jung-go ),박송인 ( Park Song-in ),박혜지 ( Park Hea-jin ),김수진 ( Kim Su-jin ),김경수 ( Kim Kyung-su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4

        섬은 관광, 생태, 문화 자원의 풍부하여 미래 성장 동력으로써 가치와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전라남도는 섬들의 비교우위자원을 집중 개발하여 「가고 싶은 섬」가꾸기 10개년 계획(2015 ~ 2024)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2020년 「가고 싶은 섬」으로 선정된 영광 안마도와 신안 선도가 선정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섬의 농ㆍ수산물의 우수성에 대한 과학적 자료 확보를 위해 기능성물질 게르마늄(Ge)과 셀레늄(Se) 함유량을 확인하고, 조사ㆍ분석한 결과 나타난 농수산물을 통해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자 수행하였다. 게르마늄과 셀레늄의 분석방법은 수소화 발생법을 이용하여 ICP-MS로 분석하였고 토양의 게르마늄의 함량분포는 안마도 1.997 mg/kg ∼ 7.620 mg/kg, 선도 4.997 mg/kg ∼ 22.652 mg/kg이며, 갯벌의 함량 분포는 안마도 4.905 mg/kg ∼ 9.719 mg/kg, 선도 2.621 mg/kg ∼ 15.127 mg/kg으로 분석되었다. 안마도는 갯벌이 토양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선도는 토양과 갯벌에서 유사한 함량을 보였다. 선도의 경우 국내 다른 지역보다 토양의 게르마늄 함량이 높았는데 이는 변성암으로 구성된 지질학적 특성으로 판단된다. 토양의 셀레늄 함량분포는 토안마도 0.119 mg/kg ∼ 0.488 mg/kg, 선도 0.184 mg/kg ∼ 0.482 mg/kg이며 갯벌은 안마도 0.226 mg/kg ∼ 0.326 mg/kg, 선도 0.093 mg/kg ∼ 0.220 mg/kg으로 분석되었다. 농수산물 중의 게르마늄 성분은 안마도 쑥에서 29.399 μg/kg으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안마도 파래 25.333 μg/kg, 선도 고시래기 23.556 μg/kg 순으로 나타났다. 토양 및 갯벌과 농·수산물의 게르마늄 함량을 비교한 결과 쑥, 파래, 굴, 꼬시래기 같은 수산물에서 높은 축적성을 나타내었다. 셀레늄은 안마도 바지락에서 483.628 μg/kg으로 가장 높았으며, 안마도 굴 388.279 μg/kg, 선도 게 218.447 μg/k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토양 및 갯벌과 농·수산물의 셀레늄 함량을 비교한 결과 농산물 보다 파래, 굴.게와 같은 수산물에서 높은 축적성을 나타내었다. 안마도의 모시풀은 게르마늄을 함유하고 있고 셀레늄도 식물에서 높은 함량이므로 관광 상품으로 가치가 있으며, 선도의 토양은 국내 다른 지역에 비해 게르마늄이 비교적 높은 함량이므로 재배방법의 개량을 통해 농작물의 게르마늄의 흡수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활용하여 관광 상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islands of Anmado and Sundo are rich in tourism, ecology, and cultural resources, and are growing in value and importance as a future growth engine. By intensively developing the comparative advantage resources of the islands, a 10-year plan (2015 ~ 2024) for the “Islands that people hope to visit” has been established and is being promoted. Anmado in Yeonggwang-gun and Sundo in Shinan-gun were selected as the “Islands that people hope to visit” in 2020.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tourism industry and the creation of added value through the excellence of the island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functional substances in mud flats, soil, and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Germanium and selenium in the soil, mud flats, and agricultural products were analyzed by ICP/MS using a hydrogen generation method. the mud flats showed a higher content than the soil in Anmado, and a similar content was analyzed in the soil and mud flat on Sundo. The ranges of germanium concentration were from 1.997 to 7.620 mg/kg in the soil on Anmado and 4.997 to 22.652 mg/kg in the soil on Sundo. In addition, the ranges of germanium concentration were from 4.905 to 9.719 mg/kg in the mud flats on Anmado and 2.621 to 15.127 mg/kg in the soil on Sundo. Sundo had a higher germanium content than other regions in Korea, which is judged to be due to the geology of metamorphic rocks. The ranges of selenium concentration were from 0.119 to 0.488 mg/kg in the soil on Anmado and 0.184 to 0.482 mg/kg in the soil on Sundo. While the ranges of selenium concentration were from 0.226 to 0.326 mg/kg in the mud flats on The Anmado and 0.093 to 0.220 mg/kg in the soil on Sundo. The germanium concentration in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were investigated the highest was shown in 29.399 μg/kg in wormwood from Anmado and second is 25.333 μg/kg in green laver/seaweed from Anmado.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germanium content of soil and mud flats with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it showed high accumulation in aquatic products such as wormwood, green laver, and oyster. The selenium concentration in agricultural products were investigated the highest was shown in 483.63 μg/kg in clams from Anmado and second is 388.279 μg/kg in oyster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elenium content of soil and tidal flats with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aquatic products such as green seaweed and oysters and crabs showed higher accumulation than agricultural products. The ramie of Anmado contains germanium and selenium is also high in the plant, so it is valuable as a tourist product. Since the soil of Seondo has a relatively high content of germanium compared to other regions in Korea, it is judged that tourism products can be developed by using a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absorption rate of germanium in crops through improvement of cultivation methods.

      • KCI등재

        「가고 싶은 섬」의 갯벌과 토양환경 특성(Ⅵ) - 금당도, 금호도 중심으로 -

        유휘선 ( Yoo Hwi-sun ),양정고 ( Yang Jung-go ),박송인 ( Park Song-in ),박혜진 ( Park Hea-jin ),김수진 ( Kim Su-jin ),김경수 ( Kim Kyung-su ) 한국도서(섬)학회 2022 韓國島嶼硏究 Vol.34 No.1

        섬은 해양자원과 역사·문화적 가치 및 영토적 중요한 자산으로 활용가능성이 높은 미래 성장의 원천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전라남도는 섬들의 비교우위 자원 개발 및 섬만의 콘텐츠 발굴을 위해 「가고 싶은 섬」가꾸기 10개년 계획(2015~2024)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특히 2021년은 섬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 · 연구, 정책수립 진흥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한국섬진흥원」이 목포에 개원하였다. 2021년 「가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의 일환으로 완도 금당도와 진도 금호도가 선정되어 섬의 비교우위 자원을 찾기 위한 연구를 추진하였으며 2015년부터 추진해온 결과를 검토해 본 결과, 섬 지역은 육지에 비해 인체에 유용한 게르마늄과 셀레늄 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완도 금당도와 진도 금호도를 중심으로 토양 및 농·수산물의 기능성물질인 게르마늄과 셀레늄의 함량을 분석하여 전남 섬의 우수 농수산물을 발굴하고 토양오염물질 분석을 통해 청정한 전남의 섬 이미지를 확인하여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자 수행하였다. 게르마늄과 셀레늄의 분석방법은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과 식품공전 및 과거논문자료를 바탕으로 ICP-MS와 ICP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 토양과 갯벌의 게르마늄 함량은 완도 금당도 1,795.6 μg/kg ∼ 3,103.3 μg/kg, 진도 금호도 1,797.3 μg/kg ∼ 2,914.4 μg/kg으로 나타났으며 금당도 평균값은 토양 2,470.9 μg/kg, 갯벌 2,124.6 μg/kg이며 금호도 평균값도 토양 2,521.7 μg/kg, 갯벌 1,797.3 μg/kg으로 두 섬 모두 토양과 갯벌에서의 함량이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양과 갯벌의 셀레늄 함량은 완도 금당도 79.1 μg/kg ∼ 517.6 μg/kg, 진도 금호도 214.4 μg/kg ∼ 978.2 μg/kg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함량은 금당도 토양 359.5 μg/kg, 갯벌 146.9 μg/kg, 금호도 토양 609.6 μg/kg, 갯벌 214.4 μg/kg으로 갯벌보다 토양의 함량이 더 높게 조사되었다. 농·수산물 중의 게르마늄 성분은 금호도 도라지(388.2 μg/kg)와 더덕(218.0 μg/kg)에서 함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금당도 고동(181.8 μg/kg)이 높게 분석되었다. 농·수산물 중의 셀레늄 함량은 금당도 가리비(2,735.7μg/kg)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고, 그 다음으로 금당도 굴(1,617.8 μg/kg), 금호도 꽃게(969.3 μg/kg) 순으로 분석되었다. 금당도와 금호도의 토양오염도 조사결과 토양오염우려기준(1지역) 이내로 청정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부가가치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금호도의 더덕과 도라지는 다른 작물에 비해 게르마늄 함량이 높고 금당도의 가리비의 경우 셀레늄 함량이 높으며 또한 게르마늄 또한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한 우수 농수산물 개발을 통해 섬 홍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Islands can be said to be a source of future growth with high potential for use as marine resource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and territorial important assets. Accordingly, Jeollanamdo has established and is promoting the 10-year plan (2015-2024) for cultivating the “Islands that people hope to visit” in order to develop resources for comparative advantage and to discover contents unique in the islands. In particular, the Korea Island Promotion Agency was opened in Mokpo to conduct systematic research and research on the islands and to promote policy establishment in 2021. Geumdangdo in Wando and Geumhodo in Jindo were selected as part of the “Islands that people hope to visit” project in 2021, and research was carried out to find the comparative advantages of the island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results that have been promoted since 2015, it was found that the island area is rich in germanium and selenium components useful to the human body. In this study, the content of germanium and selenium, which are functional substances in soil and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and the image of a clean Jeonnam island was developed through soil contamination analysis. This was carried out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dded value by confirming the impression of a clean island in Jeollanamdo. The analysis method of germanium and selenium was analyzed using ICP-MS and ICP based on the soil contamination process test standards, food standards and past thesis data. The germanium content in soil and tidal flats was analyzed 1,795.6 μg/kg ∼ 3,103.3 μg/kg in Geumdangdo and 1,797.3 μg/kg ∼ 2,914.4 μg/kg in Geumhodo. Soils and tidal flat sediments have 2,470.9 and 2,124.6 μg/kg in Geumdangdo and 2,521.7 μg/kg and 1,797.3 μg/kg in Geumhodo with germanium contents, respectively. Selenium content in soil and tidal flats was analyzed as 79.1 μg/kg ∼ 517.6 μg/kg in Geumdangdo and 214.4 μg/kg ∼ 978.2 μg/kg in Geumhodo. The average content were analyzed as 359.5 μg/kg in Geumdangdo soil and 146.9 μg/kg in tidal flats, and the average values ​​of Geumhodo were 609.6 μg/kg in soil and 214.4 μg/kg in tidal flats. It was analyzed that the soil conten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idal flat. The germanium component in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was analyzed as high in Geumhodo bellflower(388.2 μg/kg) and deodeok (218.0 μg/kg), followed by Geumdangdo gastropods(181.8 μg/k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oil pollution in Geumdangdo and Gumhodo, the clean environment is maintained within the soil pollution concern standard (region 1), and it is judged that added value can be created using this. Geumhodo deodeok and bellflower have higher germanium content than other agricultural products. Geumdangdo Scallop has high selenium content and also contains germanium.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can be used to promote the islands through the development of excellent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using the aforementioned resources.

      • 고농도 유기성 음폐수 처리 및 자원화를 위한 N-HTAD System 개발

        고대중,유휘선,이용운,이병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1

        우리나라의 음식물류폐기물은 수분함량이 80~85% 정도로 높고 부패되기 쉬운 유기성 물질로서 수집과 운반과정에서 악취 및 침출수 유출로 인해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으며, 특히 음식물자원화 공정에서 고농도의 유기성 폐수(이하 “음폐수”라 함)가 다량 발생되고 있다. 현재 음식물자원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음폐수는 공공수역 방류를 위해 자체처리 또는 하수처리장 등 환경기초시설과의 연계처리가 필요하나, 방류수 수질기준 준수부담으로 인해 음폐수를 자체처리한 후에 그 처리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연계 이송시켜 처리하는 방법이 육상처리법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처리비용 부담 및 처리시설 부족 등으로 육상처리보다 해양배출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2013년부터 런던협약 ‘96 의정서의 발효에 따라 해양배출의 제약사항이 강화되었고, 이에 따라 가축분뇨 및 하수오니, 음식물류폐기물 등이 순차적으로 해양배출이 금지되어 앞으로 이들 폐기물의 육상처리가 불가피해진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정부에서는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발생폐수 육상처리 및 에너지화 종합대책(2008~2012)”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실증설비가 없어 업체와 정부가 확실한 공법과 수행 가능한 사업비 예측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외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음식물류폐기물을 고형폐기물로 혐기성 소화 처리하는 방법을 도입하여 국내에 적용하고 있지만 음식물류폐기물 성상이 상이하여 부적절한 전처리, 혐기성 소화에 대한 이해 부족, 유기물부하, 낮은 메탄회수율, 소화조 운영 경험미숙 등의 기술적 한계로 인한 운영상 어려움을 격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해양배출 금지라는 측면과 더불어 기술・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음폐수를 바이오가스로 전환․자원화하기 위한 혐기성 공정의 개발이 시급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순환형 고온 혐기성 소화공정(N-HTAD, High circulating type Thermophilic Anaerobic Digestion System)” 이라 불리우는 고농도 유기성 음폐수의 처리공정을 개발하였으며, 공정구성은 음폐수 유입 → 음폐수집수조 → 음폐수집진기 → 산생성조 → 메탄생성조 → 가압부상조 → 연계처리조 → 방류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실증시설(음폐수 처리 설계용량 258.4㎥/일)의 실험을 통해 N-HTAD System의 음폐수 처리특성 및 효율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음폐수 일일 평균 투입수량은 261.8㎥였고, 이에 따른 VS 평균 부하량은 11,906kgVS/일, VS 평균 제거율은 86.6%로써 이때 바이오가스 생산효율은 1.15㎥/kg투입VS와 1.18㎥/kg제거VS로 나타났다. 2. 본 처리공정에서는 33.6~63.4㎥/㎥음폐수(평균 50.4㎥/㎥음폐수, 표준편차 6.3㎥/㎥음폐수)의 범위로 바이오가스가 발생되었고, 메탄(CH4)함량은 64.1~69.6%(평균 66.9%, 표준편차 1.4%)로서 시스템이 매우 안정적으로 운전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3. 약 12개월의 실증실험 기간 동안에 산생성조와 메탄생성조의 pH는 각각 5.0~5.8 및 7.2~7.7이고 온도는 각각 55±2℃및 54±2℃로써 자동계측․제어장치를 통해 이들 운전인자들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었다.

      • 고농도 유기성 음폐수 처리 및 자원화를 위한 N-HTAD System 개발

        고대중,유휘선,이용운,이병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

        우리나라의 음식물류폐기물은 수분함량이 80~85% 정도로 높고 부패되기 쉬운 유기성 물질로서 수집과 운반과정에서 악취 및 침출수 유출로 인해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으며, 특히 음식물자원화 공정에서 고농도의 유기성 폐수(이하 “음폐수”라 함)가 다량 발생되고 있다. 현재 음식물자원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음폐수는 공공수역 방류를 위해 자체처리 또는 하수처리장 등 환경기초시설과의 연계처리가 필요하나, 방류수 수질기준 준수부담으로 인해 음폐수를 자체처리한 후에 그 처리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연계 이송시켜 처리하는 방법이 육상처리법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처리비용 부담 및 처리시설 부족 등으로 육상처리보다 해양배출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2013년부터 런던협약 『‘96 의정서』의 발효에 따라 해양배출의 제약사항이 강화되었고, 이에 따라 가축분뇨 및 하수오니, 음식물류폐기물 등이 순차적으로 해양배출이 금지되어 앞으로 이들 폐기물의 육상처리가 불가피해진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정부에서는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발생폐수 육상처리 및 에너지화 종합대책(2008~2012)”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실증설비가 없어 업체와 정부가 확실한 공법과 수행 가능한 사업비 예측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외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음식물류폐기물을 고형폐기물로 혐기성 소화 처리하는 방법을 도입하여 국내에 적용하고 있지만 음식물류폐기물 성상이 상이하여 부적절한 전처리, 혐기성 소화에 대한 이해 부족, 유기물부하, 낮은 메탄회수율, 소화조 운영 경험미숙 등의 기술적 한계로 인한 운영상 어려움을 격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해양배출 금지라는 측면과 더불어 기술ㆍ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음폐수를 바이오가스로 전환ㆍ자원화하기 위한 혐기성 공정의 개발이 시급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순환형 고온 혐기성 소화공정(N-HTAD, High circulating type Thermophilic Anaerobic Digestion System)” 이라 불리우는 고농도 유기성 음폐수의 처리공정을 개발하였으며, 공정구성은 음폐수 유입→ 음폐수집수조 → 음폐수집진기 → 산생성조 → 메탄생성조 → 가압부상조 → 연계처리조 → 방류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실증시설(음폐수 처리 설계용량 258.4㎥/일)의 실험을 통해 N-HTAD System의 음폐수 처리특성 및 효율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음폐수 일일 평균 투입수량은 261.8㎥였고, 이에 따른 VS 평균 부하량은 11,906kgVS/일, VS 평균 제거율은 86.6%로써 이때 바이오가스 생산효율은 1.15㎥/kg투입VS와 1.18㎥/kg제거VS로 나타났다. 2. 본 처리공정에서는 33.6~63.4㎥/㎥음폐수(평균 50.4㎥/㎥음폐수, 표준편차 6.3㎥/㎥음폐수)의 범위로 바이오가스가 발생되었고, 메탄(CH4)함량은 64.1~69.6%(평균 66.9%, 표준편차 1.4%)로서 시스템이 매우 안정적으로 운전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3. 약 12개월의 실증실험 기간 동안에 산생성조와 메탄생성조의 pH는 각각 5.0~5.8 및 7.2~7.7이고 온도는 각각 55±2℃및 54±2℃로써 자동계측ㆍ제어장치를 통해 이들 운전인자들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었다.

      • KCI등재

        「가고 싶은 섬」의 갯벌과 토양환경 특성(Ⅵ) - 탄도, 우이도 중심으로 -

        송승리,김행범,문희,박송인,유휘선,이덕안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3

        2016년부터 전라남도에서 브랜드 시책으로 추진 중인 「가고 싶은 섬」비교우위 자원인 갯벌과 토양, 농·수산물을 대상으로 유용성물질인 게르마늄, 셀레늄 및 미네랄 함량을 확인하고 토양오염실태를 조사하여 섬 지역 토양의 인위적인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토양 환경 청정성에 대한 과학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올수산물의 유용성 성분 결과를 활용하여 섬 지역 관광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탄도의 지질은 중생대 쥐라기의 흑운모화강암과 엽리상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층풍화로 인해 생성된 황토가 섬 전체를 덮고 있다. 우이도의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유문암 및 유문암질 응회암과 신생대 제4기 충적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탄도와 우이도에서 생산되는 토양(36개 시료), 갯벌(30개 시료), 농수산물(11개 시료)의 특성과 기능성 성분 함량을 조사 하였다. 기능성 성분을 고려한 게르마늄과 셀레늄의 함량을 분석 하였다. 게르마늄 토양과 갯벌의 평균 농도는 탄도에서 각각 7.193mg/kg, 9.190mg/kg, 우도에서 7.076mg/kg, 7.551mg/kg이었다. 토양과 갯벌의 셀레늄 평균 농도는 탄도에서 각각 2.441mg/kg, 2.533mg/kg, 우도에서 3.073mg/kg, 2.235mg/kg이었다. 농수산물(15.83∼72.23㎍/kg)의 게르마늄 농도는 탄도에서 참깨(72.23㎍/kg) > 작은 문어(61.89㎍/kg) > 흑두(50.29㎍/kg), 고사리(47.59㎍/kg)를 나타냈다. 우이도 마늘(47.16㎍/kg)과 농수산물(23.21∼598.24㎍/kg)의 셀레늄 농도는 탄도 참깨(598.24㎍/kg) > 탄도 소문어(137.97 ㎍/kg) > 우이도 고사리(23.21㎍/kg)를 나타냈다. 농수산물의 미네랄 함량은 탄도 참깨(칼슘 965.322mg/100g), 탄도 흑두(칼륨 8213.058mg/100g), 우이도 양파(철 30.139mg/100g)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농촌 진흥청에서 권장하는 식품성분표를 고려하면 이러한 식품은 여러 가지 미네랄의 좋은 공급원입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토양의 토양오염물질에 대한 증거나 연관성은 없었고, 또한 수산물에서 중금속으로 인한 위험을 찾을 수 없었다. The island region's soil by checking the contents of useful substances germanium, selenium and minerals for the comparative advantage resources of the ``Islands that People Hope to Visit'' in Jeollanam-do as a brand policy since 2016, as well as for agricultural and aquatic produ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scientific data on the cleanliness of the soil environment by examining the anthropogenic effects of the island, and to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s of the island's tourism industry by utilizing the results of the usefulness of all marine products. The geology of the trajectory is composed of biotite granite and foliar granite from the Mesozoic Jurassic period, and the loess produced by deep weathering covers the entire island. The geology of Wooido is composed of the Mesozoic Cretaceous rhyolite and rhyolite tuff and the Cenozoic 4th alluvial layer. In this study, soil(36 samples), tidal flats(30 samples), and in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11 samples) produced in Muan Tando and Sinan Wooido And the content of functional ingredients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Germanium and Selenium which are considered as functional components were analyzed. Mean Germanium concentrations in soil and mud flats were 7.193mg/kg, 9.190mg/kg in Tando and 7.076mg/kg, 7.551mg/kg in Wooido, respectively. Mean Selenium concentrations in soil and mud flats were 2.441mg/kg, 2.533mg/kg in Tando and 3.073mg/kg, 2.235mg/kg in Wooido, respectively. Mean Germanium concentrations of agro-fishery products(15.83∼72.23 ㎍/kg) showed Sesame(72.23㎍/kg) > Small octopus(61.89㎍/kg) > Blackbean(50.29㎍/kg) in Tando and Bracken(47.59㎍/kg) > Garlic(47.16㎍/kg) in Wooido. The Selenium concentrations of agro-fishery products(23.21∼598.24㎍/kg) showed Sesame from Tando(598.24㎍/kg) > Small octopus from Tando(137.97㎍/kg) > Bracken from Wooido(23.21㎍/kg). The mineral contents of agro-fishery products were observed with high values of Sesame from Tando(Calcium 965.322mg/100g), Blackbeans from Tando(Potassium 8213.058mg /100g), and in Onions from Wooido(Iron 30.139mg/100g). Considering the food composition table recommend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ose foods are good sources of several miner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re is no evidence or concern for pollutants in soil. In addition, traces of heavy metals in fishery products were undet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