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술연구 : 다차원척도법 (DS)을 이용한 사회적기업가 속성 차원에 관한 연구: 한국의 사회적기업 전문가의 관점을 중심으로

        유한나 ( Han Na Yoo ),민동권 ( Dong Kwon Mi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2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사회적기업 전문가들의 사회적기업가 속성 차원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특별히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평가자의 인식 차원을 확인하기 위해 다차원척도법 (MDS, Multi-Dimensional Scaling)욜 활용하였다. 우선, 선행연구 및 국내외 지원기관의 기준을 바탕으로 3차원의 사회적기업가 구성요인인 사회성, 혁신성, 사업성을 도출하고, 이를 각각 상, 하로 나누어 배합한 뒤 2 3=8인의 가상 에피소드를 설정하였다. 그 후, 국내 사회적기업 관련 학계 및 실무 종사자 34명을 대상으로 가상 에피소드를 사회적기업가의 관점에서 평가하게 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전문가들은 사회적기업가를 사회성, 혁신성, 사업성의 3가지 차원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가 정신에 대한 국내 전문가들 간의 인식을 확인하고 견해차를 좁히는 것과, 진정성을 가진 사회적기업가의 선발 및 지원, 균형잡힌 사회적기업가의 교육과 배출에 있어 시사점을 준다. Nowadays, the interests of Social Enterprise is gradually increasing, However, because of two important purpose-social purpose and corporate thinking-, social enterprises have a lot of difficultie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Social Entrepreneurship Attributes by using the method of MDS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To test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conducted SPSS 18 using data and information gathered from specialist of social enterprise in Korea. Before the research, we drew 3 attributes of Social entrepreneurship-Sociality, Innovation, Market Orientation-from advanced research, and developed 8 social entrepreneur episodes. Results from analysis revealed that, relation between responses and 3 dimensions significant partially.

      • 심장 볼륨의 임계값 설정에 따른 일회 박출량과 심장구축률 변화에 관한 연구

        유한나(Han-Na Yoo),이은주(Eun-Ju Lee),김영란(Yeong-Ran Kim),박상협(Sang-Hyub Park)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22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가장 정확하게 심장의 용적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본원의 역치 값 기반의 Volume cut method를 이용하여 역치 값 변화에 따른 SV값과 EF 값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20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본원에서 심장 볼륨 측정 CT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15세 미만의 환자 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데이터를 통해 역치 값 가중치에 따른 SV와 EF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기존 Threshold 값에서 가중치를 적용하여 측정한 심실의 용적은 10%보다 적용 값의 비율이 커지는 100%에 가까울수록 심실의 용적이 작아졌으며, Volume 값을 100% 적용 시 그 값을 토대로 산출한 LV의 SV 값은 평균 43%의 변화를 보였으며, RV의 SV 값은 평균 40.1%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EF는 결정된 Threshold로 구한 EF 값 이외에 모든 EF 변화 값(EF 10%~EF 1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심장 볼륨 측정 CT 후처리 과정에서 선행되는 Threshold 값의 설정은 결과 값에 큰 영향을 주며 그로 인한 진단 및 치료 방향이 달라질 수 있기에 정확한 구획 구분의 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reshold-based volume cut method designed to measure the volume of the heart most accur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hanges in stroke volume (SV) and ejection fraction (EF) values according to the threshold change. Among the patients under the age of 15 who underwent the heart volumetric computed tomography (CT) examination in this hospital for one year from January to December 2020, 68 patients under the age of 15 were targeted. The SV and the EF according to the threshold value weight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through the data. The volume of the ventricle measured by applying weights from the existing threshold value became smaller as the ratio of the applied value increased from 10%. When 100% of the volume value was applied, the SV value of left ventricle calculated based on the value showed an average change of 43%, and the SV value of right ventricle showed an average change of 40.1%. EF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EF change values (EF 10% to EF 100%) in addition to the EF value obtained by the determined threshold. The setting of the threshold value that precedes the post-processing of cardiac volume C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result value. As a result, diagnosis and treatment directions may vary, so it is considered that accurate segmentation criteria are needed.

      • KCI등재

        영화 시상식에 나타난 토탈 코디네이션의 형태와 색채 분석

        유한나(Han-na Yoo),최경실(Gyoung-sil Choi)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토탈 코디네이션에 대한 미적 평가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영화 시상식 레드카펫의 베스트 드레서와 워스트 드레서를 대상으로 사진을 수집한 후, 선행 논문의 조형성에 의한 유형 분류를 참조하여 우아미, 청순미, 관능미로 분류하고, 각각의 유형별로 베스트 드레서와 워스트 드레서의 형태변인과 색채변인상의 선호-비선호 요인을 분석하였다. 형태변인 분석은 의상의 실루엣과 메이크업 형태, 헤어스타일 분석으로 구성하였고, 색채변인 분석은 의상색, 립스틱색, 모발색의 상호간 색상 조화와 비렌의 색삼각형을 이용한 톤 조화, 그리고 착용자의 퍼스널 컬러(Blue Base, Yellow Base)와 토탈 코디네이션에서 사용된 색의 유형 일치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 시상식에서의 토탈 코디네이션은 유형에 따라 아름답다고 인식하는 특정한 형태와 색채가 있다. 둘째, 의상, 메이크업, 헤어 상호간의 색채 조화와 부조화는 베스트 드레서와 워스트 드레서를 구분하는 요인이다. 셋째, 착용자의 퍼스널 컬러와 토탈 코디네이션에서 사용된 색의 유형 일치 유무 역시 베스트 드레서와 워스트 드레서를 구분하는 요인이다. 넷째, 각각의 유형별 베스트 드레서를 분석한 결과, 동일색상과 유사색상 배색이 많고, 비렌의 색삼각형을 이용한 톤 분석에서 대부분 조화로운 색조관계가 나타났으며, 퍼스널 컬러는 착용자의 베이스 컬러와 코디네이션에 사용한 컬러의 유형이 대부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워스트 드레서의 경우, 동일색상, 유사색상과 함께 대조색상과 반대색상이 나타났고, 비렌의 색삼각형을 이용한 톤 분석은 대체로 조화관계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퍼스널 컬러에 있어서도 대체로 적절하지 못한 베이스컬러를 사용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 유형에 적절한 형태와 색채의 사용, 색채 조화, 퍼스널 컬러 유형의 일치 유무에 따라 토탈 코디네이션의 미(美)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영화 시상식의 조형미에 따른 유형별 형태와 색채를 제안하여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토탈 코디네이션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 of cognition in the beauty of Total Coordination. The pictures of Best and Worst dresser at Film Awards were collected, and sorted according to types of Elegant beauty, Innocent beauty and Voluptuous beauty. Shape and Color variables about Best and Worst dresser of each type were categorized. For the Shape analysis, silhouette of clothing, make-up shape and hair style were considered. For Color analysis, hue harmony, tone harmony and type-matching of Personal Color were consider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there are specific Shape and Color for beauty-cognition for each type of total coordination at Film Awards. Second, color harmony between clothing, makeup, and hair is the key factor between best-worst dressers. Third, the matching of personal color and the color of the total coordination is the key factor between best-worst dressers. Forth, best dressers show monochromatic and analogous harmony and have harmonic pattern of tone in Birren Color Triangle. Also the type of personal color and the color of the total coordination are generally matched. Finally, worst dressers show monochromatic, analogous and complementary harmony and have disharmonic pattern of tone in Birren Color Triangle. Also the type of personal color and the color of the total coordination aren"t generally matched. All these findings considered, proper using of Shape and Color of each types, harmony of color, and type-matching of Personal Color are very important determining the beauty. In conclusion, these research suggests the practically applicable base of total coordination.

      • KCI등재

        사회적경제 조직의 부문 간 협력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지역 특성별 차이 규명

        유한나 ( Yoo Han-na ),한상일 ( Han Sang-il ) (사)한국협동조합학회 2021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9 No.3

        사회적경제 조직은 사회 문제 해결과 사회 욕구 해소를 위해 공공, 영리, 비영리 부문과 활발하게 협력한다. 그러나 부문 간 협력이 사회적경제 조직의 성과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 연구는 미흡하다. 또한 지역 내 협력을 통한 역동적이고 자생적인 생태계 형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협력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역적 특성의 차이에 주목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경제 조직의 부문 간 협력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 특성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전국 4,401개 사회적경제 조직에 대한 자료를 활용해 경로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지역 내 공공, 영리, 비영리 부문과의 협력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의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가 향상되었다. 또한 중소도시 소재 조직이 대도시 소재 조직에 비해, 비수도권 소재 조직이 수도권 소재 조직에 비해 부문 간 협력이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두드러졌다. 따라서 사회적경제 조직들은 경계 밖 주체들과 적극적인 협력을 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협력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SEOs) actively cooperate with other sectors to solve social problems. However, it still remains unclear whether cross-sector collaboration (CSC) influences the performance of SEOs. In addition, although SEOs must form a dynamic and self-sustaining ecosystem through cooperation in the community, few empirical studies have noted differences in community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SC on the performance of SEO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between CSC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of 4,401 SEOs of Korea, CSC with the public sector, for-profit sector, and non-profit sector in the community have improved the performance of SEOs. Moreover,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was identified, in particular, economic performance. Therefore, SEOs need to actively cooperate with actors outside their boundaries according to the com munity characteristics.

      • KCI등재

        실내 자유놀이 중에 나타나는 유아의 메타인지 분석

        유한나 ( Yoo Han Na ),엄정애 ( Ohm Jung A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6

        본 연구는 놀이 중에 나타나는 유아의 메타인지 행동 양상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사립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 38명이었으며, 놀이 중에 나타나는 유아의 메타인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C.Ind.Le(Cambridgeshire Independent Learning)코딩 체제’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영상 촬영을 병행하며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고, 수집한 자료는 INTERACT8 컴퓨터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아의 말과 행동을 초단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들은 놀이 시간 중 약 73%의 시간 동안 메타인지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이 놀이하는 동안 가장 많이 보인 메타인지 행동은 메타인지 조절이었다. 이중에서 실행 통제와 모니터링 행동을 하는 시간의 비율이 5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두 행동은 연결되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유아들이 두 번째로 많이 보인 메타인지 행동은 감정·동기 조절로, 이 중 감정·동기 모니터링을 나타내는 비중이 높았다. 가장 적게 나타낸 행동은 메타인지 지식이었으며, 이 중 전략지식의 비중이 높았다. 위와 같은 결과는 유아들에게도 메타인지 능력이 존재하며, 유아들이 놀이하는 동안에 하는 말과 행동 속에서 메타인지의 증거가 빈번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처럼 본 연구는 유아들이 놀이 중에 나타내는 메타인지를 행동의 빈도 및 시간과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유아의 인지적 능력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spects of young children’s metacognitive behavior manifested during indoor free play. Participants were 38 young children in the 3-5 age range who attended a private kindergarten in Seoul. The children’s metacognition demonstrated during play was measured using the Cambridgeshire Independent Learning (C.Ind.Le) Coding Scheme, which was specifically adapted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videotaping and observing children’s play; children’s speech and behavior were analyzed by units of seconds using INTERACT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ildren engaged in metacognitive behavior approximately in 73% of playtime.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metacognitive behavior in the children was metacognitive regulation. In terms of subtypes of metacognitive regulation, children engaged in executive control and monitoring for over 50% of time, and the two types of behavior tended to occur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Following the metacognitive regulation, emotional and motivational regulation was the second most frequent metacognitive behavior. Concerning its subtypes, the frequency of emotional and motivational monitoring was higher than that of emotional and motivational control. The least frequent type of metacognitive behavior was metacognitive knowledge. Among its subtypes, the knowledge of strategies was most frequently observed, followed by knowledge of persons, and then knowledge of task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metacognitive skills clearly exist in children, and children’s speech and behavior during play frequently show the evidence of metacognition. The primary merit of this study is that it expanded upon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children’s cognitive skills by demonstrating metacognition manifested during children’s play, using frequencies, duration, and cases of behavior.

      • KCI등재

        놀이 중에 나타나는 만 3-5세 유아의 메타인지 분석

        유한나(Yoo, Han Na) 한국육아지원학회 2020 육아지원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놀이 중에 나타나는 만 3∼5세 유아의 메타인지 행동 양상과 연령별 메타인지 행동 특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사립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 38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해서는 영상 촬영을 병행하며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C.Ind.Le 코딩 체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시 INTERACT8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메타인지 하위범주별 빈도, 지속시간, 시간 비율을 산출하고, 연령별 행동 특성을 보여줄 수 있는 사례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시간 중 만 3세 유아는 약 75%, 만 4세 유아는 약 66%, 만 5세 유아는 약 78%의 시간 동안 메타인지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가 나타내는 메타인지 행동은 연령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만 3세 유아가 가장 자주 하는 행동은 모니터링, 가장 긴 시간 동안 하는 행동은 실행 통제 행동이고, 만 4세 유아는 실행 통제 행동을, 만 5세 유아는 모니터링 행동을 가장 자주, 오랜 시간 동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만 3세 유아의 구성놀이에 대한 인지적 관점의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과 다양한 유형의 놀이에서 유아의 행동과 그 의미를 토대로 유아의 능력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eatures of young children’s metacognitive behaviors depending on their age during free playtime in a preschool. Study participants were 38 three-to-five-year-olds who attended a private kindergarten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by videotaping and observing their play; children’s speech and behaviors were coded based on the Cambridgeshire Independent Learning (C.Ind.Le) Coding Scheme and the frequencies, duration, ratios of the coded sub-dimensions (e.g. monitoring, executive control) were calculated using INTERACT8.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for the aspects of metacognitive behaviors by age, three-year olds displayed metacognitive behaviors for approximately 75% of the playtime; monitoring was most commonly observed, and executive control was observed for the longest duration. Four-year olds displayed metacognitive behaviors for approximately 66% of the playtime; executive control was observed most commonly and for the longest duration. Five-year olds displayed metacognitive behaviors for approximately 78% of playtime; monitoring was observed most commonly and for the longest duration.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metacognitive elements embedded in three-year-olds’ constructive play and various meanings of children’s play behaviors should be examined more deeply across diverse types of play to shed light on young children’s competencies.

      • KCI등재

        사회문제해결역량이 사회적기업과의 파트너십 형성에 미치는 영향

        유한나(Yoo, Han Na),민동권(Min, Dong Kwon)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1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1 No.1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부문 간 파트너십, 특히 사회적기업과의 파트너십이 증가하고 있다. 선행 연구는 사회적기업이 부족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파트너십을 수행한다는 데 주목하고 있으나 이는 사회적기업의 관점이므로 사회적기업 파트너십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사회적 기업과 관계를 맺는 영리 기업과 비영리 조직은 단지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서만 협력하지 않으며, 궁극적으로 협력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사업기회를 창출해 자조직의 성과를 직간접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파트너십 동기를 내부적 동기와 외부적 동기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사회문제해결역량 인식이 사회적기업과의 파트너십 형성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영리 기업과 비영리 조직 모두 ‘자조직의 사회문제해결역량’이 낮을수록 사회적기업 파트너십 형성 의도가 높았으며, ‘사회적기업의 사회문제해결역량’ 인식이 높을수록 사회적기업 파트너십 형성 의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사회문제해결역량의 개념을 규명하고 자원기반관점이론을 협력 조직의 관점에 적용해 사회적기업 파트너십을 탐구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Partnerships among sectors, in particular those with social enterprises (SE), have been increasing. Previous studies primarily focused on SEs establishing partnerships to offset their lack of resources. This study divides motivations for SE partnerships(SEPs) and analyzes how the recognition of social problem-solving capabilities (SPSC) affects the intention to establish partnerships with SEs. Consequently, in both for-profit and nonprofit organizations, the lower the “SPSC of self-organization,” the higher their intentions of forming partnerships with SEs. Moreover, higher recognition of the “SPSC of SE” leads to a higher intention of forming partnerships with SEs. Thus, this study clarifies the concept of the SPSC and implements a resource-based view to explore the SEP in detail.

      • AI 스피커 기반의 스마트홈에서 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테스크 플로우 가시화 툴킷 제안

        유한나(Han Na Yoo),이지현(Ji Hyun Lee)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최근 4 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핵심기능인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사물인터넷은 인공지능 스피커와 결합되어 스마트홈 환경에서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홈 환경에서는 AI 스피커가 다수의 사물인터넷 기기와 연결되기 때문에 복합적인 프로세스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AI 스피커 기반의 스마트 홈에서 전체적인 흐름과 각각의 디바이스 사용 흐름를 조망할 수 있는 테스크 플로우 가시화 툴킷을 제안하고자 한다. 툴킷은 AI 스피커와 홈 사물인터넷 기기간의 다양한 인터랙션 방식과 연결성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지원업체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프로세스를 가시화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사물인터넷 및 인공지능 서비스의 테스크 플로우가 키트 형태 제공되어, 디자이너는 쉽게 스마트홈의 프로세스를 가시화하며 그에 따른 서비스의 개선 및 제안에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사회적경제 공공구매 활성화 방안 : 유럽 주요국의 정책 비교

        유한나(Yoo, Han-na)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4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4 No.3

        사회적경제는 사람 중심 경제 조직으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중시한다. 그간 사회적경제의 공공시장 진입 지원 정책은 보호된 시장을 통한 자생성 확보라는 간접 지원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공공재 이론과 사회적 자본 이론의 관점에서 지역 내 공공성을 가진 재화의 효과적 제공 주체이자 지역 내 협력을 촉진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역할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유럽 연합 및 유럽 주요국의 사회적경제 공공구매 정책을 비교하여 특징을 분석하고, 한국 정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유럽 주요 국가들은 사회적경제 관련 법 내에 공공시장 진입 촉진 조항을 포함하거나, 공공조달 관련 법 내에 명시적으로 사회적경제 조직의 참여를 촉진하거나, 사회적, 환경적, 지역적 성과 기준을 도입해 이를 활성화하였다. 한국은 그간 사회적경제 대상의 공공구매 촉진을 위해 노력해왔으나, 향후 사회적경제 관련 법과 조달 관련 법 정비를 통해 정책 수행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단기적인 개별 기업의 재무 성과를 넘어 장기적인 지역 경제 활성화의 맥락에서 정책 효과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pares public procurement policies for the social economy (SE) in South Korea and major European countri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Koreas policy. The SE aims to create social value and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can strengthen social capital and improve public service delivery when integrated into public procurement. By examining these policies through the lenses of public goods theory and social capital theory, the study finds that European countries encourage SE participation by including relevant provisions in both SE laws and public procurement laws. In contrast, South Korea needs to ensure policy consistency and sustainability by enacting a Basic Law on SE, amending procurement laws, and evaluating policy effectiveness within the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