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하수체 난소축을 중심으로 음성되먹기이기환의 기능장해

        유한기(HK Y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6 No.7

        본 논문은 뇌하수체-난소의 축을 중심으로 의소성 홀몬 형성이 정상적인 되먹이기 기전을 어떻게 방해하는가를 설명하였다. 갑상선과 부신선의 장애가 뇌하수체-난소의 기능에 변화를 초래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갑상선과 부신선 사이의 정상적인 상호관계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Prolactin도 시상하부와 난소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부신선의 androgen의 분비량을 조절함으로서 뇌하수체-난소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androstenedione으로 부터 estrone의 선외과량 생산이 PCO증후군에서 gonadotropin분비의 이상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홀몬의 전환율과 연령 체중사이의 상호관계가 있다는 사실과는 달리 각 조직내에서 일어나는 방향화율을 결정하는 요인들과 이들 조직에서 형성된 estrogen이 얼만큼이나 혈액내로 유입되어 영향을 미치는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만약 androgen이 정상 여성에서 estrogen의 되먹이기 영향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 gonadotropin의 분비를 조절하는 시상하부 세포에 의한 androgen의 방향화율은 그 효과정도를 결정해 줄 것이다.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축에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요인들이 더 많이 규명된다면 난소기능의 여러장애들을 더 명확히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진단

        유한기(HK Y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2

        1.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의 진단에는 환자의 과거력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면 고혈압성 임신중독증 영양결핍증 산모의 작은첵격 자궁기형 제대이상등이 있을 때는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의 발생빈도가 높다2. 자궁저부의 정확한 측정은 대단히 간편하고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의 산전진단에 예측도가 대단히 높다 3. 제태연령이 정확한 산모에서 기능적 형태학적 측정이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의 확인에 더 정확하다 4. 2-3주동안 아두대힝경성장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늦거나 정지하면 자궁내 태반기능부전증으로 인한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을 생각해야 한다 5. 아두대횡경 초음파검사는 가급적 26전 즉 임신 초기부터 측정하는 것이 좋고 부득이 중간에 오는 임산부는 2-3주 간격으로 연속적인 아두대횡경을 측정함으로써 정확한 진단 및 발생시기를 알수있다 6. 자궁내 가장 큰 양수 주머니가 1cm 이하이면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을 의심한다 7. 따라서 자궁내 태아발육지연을 정확히 진다하여 적절한 처치 및 분만함으로써 주산기환율 및 사망율을 감소시킬수있다.

      • KCI등재

        여성의 정상 월경주기 동안 혈중 뇌하수체홀몬과 난소홀몬의 분비양상

        유한기(HK Y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11

        정상 월경주기동안 여성의 혈중 성선자극홀몬 (LH 및 FSH)과 난소 홀몬(Estradiol progesterone)의 양을 방사면역측정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방법론에서 정의된 정상 배란성 월경주기에 의하면 9명의 대상자 모두가 정상 월경주기를 가지고 배란을 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2.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9명의 대상자에서 난포기동안 FSH 및 LH의 평균 level은 각각 9.7mIU/ml, 21.0mIU/ml였고 배란기때는 FSH,LH의 level이 24.6mIU/ml, 151.3mIU/ml를 나타내어 최고치를 보였다. 황체기에서는 FSH 및 LH의 level이 각각 6.4mIU/ml, 14.6mIU/ml로 월경주기동안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3.난포기동안 Estradiol은 LH surge가 일어나기 5일전부터 급격히 상승하여 LH surge전일에 평균 level이 218.4mIU/ml로 최고치에 달하였으며 LH surge이후 급격히 감소하다가 3일후부터 다시 상승하기 시작하여 9일까지 증가상태를 유지하며 평균농도는 86.3 mIU/ml이었다. 4.Progesterone은 난포기 동안 미량으로 존재하나 LH surge이후 5일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10까지 계속 유지하였고 이 때 평균 level은 16.4 mIU/ml이었다. 그 후 월경 시작때까지 계속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5.본 연구에서 비록 대상자의 수는 적었지만 정상 월경주기동안 난포기 후기 때의 estradiol의 증가가 LH-FSH의 surge를 유발하고 estradiol 및 progesterone의 적절한 분비가 적합한 황채기를 유지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Serum levels of FSH,LH,estradiol and progesterone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from nine normally menstruating women. THe following criteria were used to define a normal ovulatory cycle : 1) midcycle LH peak, 2) luteal phase of 12~16 days duraion, and 3) plasma progsterone above 5ng/ml 5~8 days after the LH peak. Nine cycles studied were considered normal. During the follicular phase of the cycle, the tonic secretion of FSH showed an initial rise followed by a progressive fall toward the midcycle. FSH rose sharply at midcycle with a mean peak value of 24.6mIU/ml. In contrast, LH secretion showed a steady increase, except at midcycle, when a sharp surge occurred. The rapid increas of LH secretion was during the late follicular phase with a mean peak value of 151.3mIU/ml. Following the midcycle LH and FSH surge, LH and FSH were sharply decreased and remained at lower level during the luteal phase than during the follicular phase. Plasma estradiol was gradually increased during the follicular phase reaching a maximum peak of 218.4pg/ml prior to midcycle LH surge. Following the midcycle peak levels of estradiol were sharply dropped and rise again from 4th day showing mean 86.3pg/ml during the midluteal peak. Plasma progesterone levels rose rapidly reaching maximal concentration (mean 16.4ng/ml) five days after LH surge and remained elevated from day 5 to day 20 post LH surge. Thereafter, progesterone levels fell rapidly resulting in onset of the next menses. This was accompanied by a significant elevation of the FSH and LH levels from their low concentraction observerd during the late luteal phase.

      • KCI등재

        임신중 약물 사용에 대한 문제점

        유한기(HK Y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7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9 No.1

        임신중 약물사용은 흔히 모체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정상부인에서는 별로 유해한 작용의 출현없이 사용되던 약물이라도 임신중에는 예기치않았던 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 특히 복용한 약물이 태반으로부터 자유로히 제대를 통해서 태아에 들어갈 수 있는 약물이라면 태아의 정상발육 내지는 생명에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1960년 초기에 Thalidomide의 비극적인 사건은 일반적으로 인간에 아무런 해가 없다고 인정됐던 약물까지도 선천성기형아를 유발하여 사회적 물의를 일으킴으로서 주의를 끌게 되었다. 그 결과로 약물치료시 임신이라는 특수한 조건을 감안하여 임산부 뿐만 아니라 모든 가임여성에게도 주의를 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따라서 약물의 약리작용 및 부작용에 대한 정확한 인식없이 임신중에 약물남용은 임산부에 있어서 모체 및 태아에 이중의 불행을 초래하기 때문에 약물사용은 전문적인 의사의 지시에 의해서만 행해져야 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본논고는 기형학의 기본원칙을 관찰하고 임신중 약물사용에 대한 여러가지 문제점을 문헌고찰을 하여 요약하고자 한다. 결언 1) 약물은 임신중에 다르게 취급하게 되고 모체와 태아 및 태반내에 복잡한 상오관계가 있 음을 강조한다. 2) 수년간 관찰된 부작용의 대부분은 발생 가능성에 대한 지식의 결핍으로 아무도 예측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전적으로 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비현실적이지만 약물의 수와 중독성을 제안하기 위한 경계가 필요하다. 3) 일반적으로 약물 사용하기 전에 적합한 약물검사 선천성 기형환자의 등록, 기형학분야, 기타 부작용에 대한 연구, 그리고 보다 발전된 약리학이 더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4) 임신 초기에 약물투여시 기형유발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임신 첫 3개월간은 가능하면 모 든 약물복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5) 의사의 끊임없는 관찰과 보고서가 하나의 효과적인 체계의 주석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임신중 합병된 간질환 8예

        유한기(HK Yoo),이정우(JW Lee),박세교(SK Park),김종일(JI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7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6 No.5

        Eight cases of liver diseases during pregnancy were experienced at Severance Hospital from 1961 to 1972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reported the incidence, etiology, signs, symptoms and treatment of the liver diseases during pregnancy.

      • KCI등재

        자궁조영술에 의한 자궁강내에 있어서의 자궁내 장치에 관한 연구

        안동원(DW Ahn),유한기(HK Yoo),박세교(SK Park),곽현모(HM Kwa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6 No.7

        1) 자궁조영술에 의해 관찰된 자궁강 내의 자궁내장치의 위치는 총 80예중 정상위치가 65예, 비정상위치가 15예로서 하방 이동위치가 5예였고, 형태만곡이 10예였다. 2) 부작용의 빈도는 정상위치군에서 보다 비정상위치군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루프의 탄력성은 루프의 무게가 무거운 것일수록 강하였으나 착용기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았다. The history of intrauterine contraceptive devices (IUD) reaches back over several decades. However, IUD was unsatisfactory for contraception until the late 1950`s. Since jack lippes used a linear polyethylene loop in 1959, various good results have been reported by the use of other IUDs. The new plastic IUDs have been use widely over the world but it is not clear as to the mechanism of contraception or of the side effects. The study of hysterographic examination with IUD has been undertaken to observe the position of IUDs (Lippes loop) in the uterine cavity and some relationships between the position and the side effects(symptoms). Eighty cases of IUD wearers were selected randomly in the Family Planning Clinic of SEverance hospital and hysterographic examination was performed with 10% hypaque solution. The elasticities and compositions of fresh loops as controls and of long used loops removed after hysterography as tudy material were analyzed at the National Institued of heal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UDs with normal position were found in 65 cases and with abnormal position 15 cases in hysterography. Among the IUDs with abnormal position, distrotion, of its shape appeared most frequently. The symptoms seemed to occur more frequently in abnormal positions than in normal positions. 2. The weight of the loop was not changed by the duration of wearing, and the ratio between barium sulfate and polyethylene content remained constant. In general, the heavier loops were the more elastic.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duration of wearing and the elasticity of the IUD. Further study is needed to porve conclusively whether malposition of the IUD cases side effects of not.

      • KCI등재

        모성 산욕이환율에 관한 임상적 고찰

        김종일(JI Kim),유한기(HK Yoo),김재욱(JU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7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6 No.4

        1971년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만 1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총 2748명의 산모중 이환되었던 200예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환율의 발생빈도는 5.64%였고 이중 질식분만예에서는 3.60%였다. 2. 연령분포별로는 20세 이하군과 35세이상군에서 현격한 증가를 보였다. 3. 입원당시 파막유무에 따른 이환율은 파막된 예에서 14.1%로 정상군에 비해서 2배의 이환율의 증가를 보였다. 4. 질식분만시 분만방식에 따른 이환율은 겸자분만과 같은 수술적 방법에 의한 경우가 비교적 높은 이환율을 보였다. 5. 질식분만시 적응증에 따른 이환율은 태아절박사와 같은 응급수술을 요하는 예에서 현격히 증가했고 태반조기박리와 전치태반과 같이 출혈을 동반한 경우에는 높은 빈도를 보였다. 6. 임신중독증시에 정상군에 비해 높았고 특히 전자간중증시에 높은 이환율을 보였다. 7. 입원단시 이환예의 빈혈빈도는 20.5%였고 분만 제3일째 빈혈빈도는 46%로 이환예의 높은 빈혈빈도를 보였다. 8. 태반자연만출시 이환율은 3.5%, 태반용수박리시에는 29%로 증가하였다. 9. 이환예의 발열원인중 자궁내막염이 20.0%로 제일 많았고 회음부절개술면의 감염이 15.5%, 수술창면의 감염이 5.5%였다. Standard morbidity of American Committee of Maternal Welfare is a temperature of 100.4 F. on any two postpartum days following the first 24 hours through the tenth postnatal days. A clinical analysis has been made on 200 cases of maternal morbidity based on 2,748 deliveries at the Da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f Severance Hospital from Jan. 1, 1971 to Dec. 31, 1971.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over all maternal morbidity rate was 5.6%. 2. Morbidity rate was increased in group of less than 20 year old and more than 35 year old. 3. Morbidity rate of ruptured fetal membrance on admission was 14.1%. 4. Morbidity rate was increased in operative vaginal delivery as compare to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5. Morbidity rate was markedly increased in emergency C-section such as fetal distress and hemorrhagic diseases as placenta previa or abruptio placentae. 6. Morbidity rate was increased in toxemia of pregnancy especially in pre-eclampsia severe form. 7. Antepartum anemia was present in 20.5% of the morbidity cases. 8. Morbidity rate was increased 8 times in mannual removal of placenta than normal spontaneous expulsion of placenta. 9. Main causes of morbidity were endometritis, episiotomy wound infection and operative wound infection.

      • KCI등재

        유착태반

        박세교(SK Park),유한기(HK Yoo),신호영(HY Shin),안동원(DW Ahn) 대한산부인과학회 197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6 No.3

        Seven cases of palcental adhesion which were treated at Severance Hospital during last 11 years were summarized clinically with review of references. 1) Incidence of placental adhesion was 1 : 1,925 deliveries. Six out of seven cases were placenta accreta and the rest one was placenta increta histopathologically. 2) All cases were multiparous, and one was a case of previous cesarean secion, one combined with placenta previa and one appeared in case of spontaneous abortion on mid trimester. 3) All cases were treated with total hysterectomy following failure of treatment with manual separation or curettage of placenta. Those placentas were attached to posterior wall of the uterus except for one to anterior wall. 4) Postoperative infection appeared in two cases as postoperative complication.

      • KCI등재

        임신중 매독

        장은실(ES Chang),김석애(SA Kim),유한기(HK Yoo),강신명(SM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8 No.11

        The incidence of syphilis had been markedly decrea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penicillin in the treatment of syphilis in 1943. Since 1958, however there has been an unmistakable upward trend in many parts of the world. As syphilis in pregnancy is injurious to mother nad fetus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or treat syphilis in pregnancy. To detect syphilis in the early stage of pregnancy, antenatal care including the serological test for syphilis in pregnant women is necessary. During a period of 3 years and 8 months from May 1969 to December 1972, 7435 women were delivered at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Among them 6742 pregnant women were examined, of whom 81 (1.20%) had positive V.D.R.L and R.P.C.F. test. Only 4 (4.94%) among the 81 syphilitic patients took antenatal care, and remaining almost all the syphilitic patients found to be syphilis just before orat delivery. Whenever and wherever antenatal serological tests for syphils are carried out routinely, the incidence of congenital syphilis and obsteric complication such as abortion prematurity and stillbirth fall and remain low. Of the 81 syphilitic patients 17 and 16 patients delivered premature babies and stillbirths respectively and 6 perinatal deaths were developed.

      • KCI등재

        폐경여성에서 난포호르몬과 황체호르몬의 연속투여후 자궁출혈 및 혈청 지질단백치의 변화 에 관한 연구

        황경원(KW Hwang),이방원(BW Lee),유한기(HK Yoo),우복희(BH W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2

        1989년 1월부터 1989년 9월사이에 이화여자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폐경여성 19례 를 대상으로 28일을 1주기로하여 연속적으로 투여한 군과 제 1일에서 제25일까지 주기적으 로 투옇나 군에서 3개월간 복용후 자궁출혈 경향 및 혈청 estradiol, FSH지질 및 지질단백치 의 변동을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호르몬대치요법후 혈청 estradiol치의 변동은 치료군 1, 2에서 각각 74.39+-47.29pg/ml , 88.16+-74.64 pg/ml 로 증가하였으나 두 치료군간의 치료후 변동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 2. 호르몬 대치요법 후 혈청 FSH의 변동은 치료군 I, II에서 각각 -50.35+-31.75mIU/ml ,-72.21+-41.02mIU/ml 로 치료전보다 감소하였으나 두 치료군간의 치료후 변동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다. 3. 호르몬대치요법 후 치료군 I 에서는 50%에서 무월경을 보였으나 치료군 II에 27.2%에서 무월경을 보였다. 4. 호르몬대치요법 후 혈청 cholesterol치의 변동은 치료군 I에서 -20.50+-6.46mg/dl , -15.55+-7.86mg/dl 로 치료전보다 감소하였으나 두 치료군간의 치료후 변동간에는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 5. 호르몬대치요법 후 혈청 triglyceride 치의 변동은 치료군 I에서 -6.25+-6.32mg/dl 로 치료전 보다 감소하였고 치료군 II에서 0.91+-6.91 mg/dl 로 치료전보다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 의성은 없었으며 두 치료군간의 치료후 변동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호르몬대치요법 후 혈청 HDL치의 변동은 치료군 I에서 -1.75+-3.77 mg/dl 로 치료전 보다 감소하였고, 치료군 II에서 7.18+-4.86 mg/dl로 치료전보다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 었으며, 두 치료군간의 치료후 변동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7. 혈청 LDL치의 변동은 치료군 I에서 -17.5+-4.73 mg/dl 치료군 II에서 -22.90+-5.45 mg/dl 로 치료전보다 감소하였고 두치료 군간의 치료후 변동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 The change of plasma estradiol after hormone replacement thepapy in group I and group II were increase by 74.39+-47.29pg/ml and 88.16+-74.64 pg/ml but difference of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2. The changes of plasma FSH after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n group I and group II were decreased by -50.35+-31.75mIU/ml and -72.21+-41.02mIU/ml but difference of change between two group not statisticallysignificantly 3. Amenorrhea were found to 50% of patients in group I during and after hormone replacement therapy while 27.2% of patients in group II. 4. The chagne of plasma cholesterol after hormone replacement therpay in group I and group II were decreaed by -20.50+-6.46mg/dl and -15.55+-7.86mg/dl but difference of change between two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 5. The change of plasma triglyceride after hormone replacement therapy was decreased by -6.25+-6.32mg/dl in group I and was incrseased by 0.91+-6.91 mg/dl in group II , but difference of change between two group was not statisticallysignificantly 6. The change of plasma HDL after hormone replacement therpay was decreased by -1.75+-3.77 mg/dl in group I and was increased by 7.18+-4.86 mg/dl in group II, but difference of changes between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7. The changes of plasma LDL after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n group I and group II were decreased by -17.5+-4.73 mg/dl and -22.90+-5.45 mg/dl but difference of changes between two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