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CM 리튬 이온 배터리의 양극 표면 코팅물질에 따른 성능변화

        유진욱,표성규 한국표면공학회 2024 한국표면공학회지 Vol.57 No.2

        Nickel-cobalt-manganese (NCM) lithium-ion batteries(LIBs) are increasingly prominent in the energy storage system due to their high energy density and cost-effectiveness. However, they face significant challenges, such as rapid capacity fading and structural instability during high-voltage operation cycles. Addressing these issues, numerous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enhancement of electrochemical performance through the coating of NCM cathode materials with substances like metal oxides, lithium composites, and polymers. Coating these cathode materials serves several critical functions: it acts as a protection barrier against electrolyte decomposition, mitigates the dissolution of transition metals, enhances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electrode, and can even improve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cathode. Ultimately, these improvements lead to better cycle stability, increased efficiency, and enhanced overall battery life, which are crucial for the advancement of NCM-based lithium-ion batteries in high-demand applications. So, this paper will review various cathode coating materials and examine the roles each plays in improving battery performance.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 KCI등재

        약물의 in vitro 투과 실험을 위한 사람의 비강점막상피세포 단층막의 일차배양

        유진욱,김유선,이민기,노환중,이치호,김대덕 한국약제학회 2002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32 No.1

        The primary culture of human nasal epithelial cell monolayer was performed on a Transwell. The effect of various factors on the tight junction formation was observed in order to develop an in vitro experimental system for nasal transport studies. Human nasal epithelial cells, collected from human normal inferior turbinates, were plated onto diverse inserts. After 4 days, media of the apical surface was removed for air-liquid interface (ALI) cultur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as observ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 polyester membrane of 0.4 μm pore size was determined as the most effective insert based on the change in the transepithelial electric resistance (TEER) value as well as the ^14C-mannitol transport study. The ALI method was effective in developing the tight junction as observed in the further increase in the TEER value and reduction in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P_app) of ^14C-mannitol transport. Results of the transport study of a model drug, budesonide, showed that the primary culture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further developed and applied for in vitro nasal transport studies.

      • KCI등재
      • 스마트폰 기반의 보안 어플리케이션 설계

        유진욱(Jin-Wook Yoo),이홍민(Hong-min Lee),이상훈(Sang-Hun Lee),정세훈(Se-Hoon Jung),장슈아이시앙(Zhang Shuaixiang),최예규(Ye-Gyu Choi),임양원(Yang-Won Lim),임한규(Hankyu L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14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4 No.5

        현재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사생활 및 개인정보를 보호 받길 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기기의 마이크(Mic), 카메라(Camera),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보안 앱을 설계 하고자 한다 다양한 방법의 잠금장치를 설정하여 사용자들이 보다 더 안전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Recently, many people use smartphone. Smartphone users want to protect their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design the security application by using microphone, camera, touch screen of smart devices. We anticipate the safe use of smartphone by a variety of ways of the locks.

      • KCI등재

        등온 냉각액을 활용한 plug flow reactor 내의 과열점 제어를 위한 제어모델 개발

        유진욱 ( Jinwook Rhyu ),김연수 ( Yeonsoo Kim ),이종민 ( Jong Min Lee ) 한국화학공학회 2021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9 No.1

        Plug flow reactor (PFR) 내의 과열점(hot spot) 온도를 조절하는 것은 생성물의 수득률 및 순도, 안전성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더 현실에 가깝게 모델링 하기 위하여 PFR 내부의 냉각액 온도를 상태변수로 설정하고 방사방향의 열 및 물질전달을 고려하였다. 모델은 반응물의 농도 및 온도와 냉각액의 온도 총 3개의 상태변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등온 냉각액의 유량을 조작변수로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 방향의 열 및 물질전달을 고려한 제어식이 그렇지 않은 제어식보다 과열점의 온도를 set point 부근으로 더 효과적으로 유지한다는 것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제어식은 냉각액의 온도가 반응물 온도의 약 0.7배 부근일 때 St가 1.3 이상이고 A<sub>c</sub>/A가 2.0 이하인 조건에서 강건성을 유지하였다. 이 조건에서 반응기로 유입되는 반응물의 온도가 5% 범위에서 바뀔 때 본 연구에서 제안된 제안식을 이용하면 과열점의 온도를 set point의 1% 이내로 유지할 수 있다. To control hot spot in a plug flow reactor (PFR) is important for the yield and purity of products and safety. In this paper, coolant temperature is set as a state variable, and radial distributions of heat and mass are considered to model the PFR more realistic than without considering radial distributions. The model consists of three state variables, reactant concentration, reactant temperature, and the coolant temperature. The flow rate of the isothermal coolant is a manipulated variable. This paper shows that the controller considering the radial distributions of heat and mass is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ler without them. Assuming that u<sub>3,0</sub> is 0.7, the suggested control equation was robust when St is bigger than 1.3, and A<sub>c</sub>/A is smaller than 2.0. Under this condition, the hot spot temperature changed within the relative error of one percent when the temperature of input altered within the range of five percent.

      • KCI등재

        직관적 공간인지를 위한 웨이파인딩 서비스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대구지역 종합병원 로비공간을 중심으로-

        유진욱 ( Jinwook Ryu ),이은영 ( Eunyoung Lee ),이돈일 ( Donil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에 근대적인 병원이 지어지기 시작한 1950년대 이후 60여 년 동안 병원의 건축 계획에 있어서 기능, 규모, 운영, 서비스 등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병원이라는 공간의 의미는 치료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치유도 함께 포함하는 공간으로 나아가고 있고.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병원의 기본적인 통합 서비스 부분 중 하나인 웨이파인딩에 대한 관심은 아직까지 계속 연구되어지고 있다. 웨이파인딩 서비스는 종합병원들이 병원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서비스 부분이다. 병원을 처음 방문하는 이용자들이 복잡한 종합병원 내에서 수많은 사인시스템을 보고 이동한다. 하지만 병원 내 웨이파인딩 시스템 구축이 미비하고 길 찾기를 함에 있어 인지가 부족한 이용자들은 길 찾기를 반복,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되어 병원의 재방문율을 낮추고 병원이미지에 큰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에 종합병원에서 길찾기를 하면서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웨이파인딩 서비스 요소들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특성을 도출하여 평가해 보고자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웨이파인딩 관련논문 및 문헌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웨이파인딩 요소들을 알아보고 이를 재정립하여 웨이파인딩 서비스 특성을 도출한다. 그리고 대구지역에서 인지도가 높은 종합병원 5곳의 로비공간에서 환자·이용자들의 길 찾기를 분석하고 공간에서 보여지는 웨이파인딩 서비스 특성들의 점수를 체크하여 웨이파인딩 서비스 요소들의 순위가 어떻게 나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결과) 사례분석 결과 웨이파인딩 서비스 요소 중에서는 결절점 요소가 가장 높게 나오고, 사인체계와 랜드 마크 요소가 비슷하게 나왔고, 길 요소가 가장 낮게 나왔다. 웨이파인딩 서비스 특성에서는 가독성과 쾌적성이 높게 나왔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편리성과 안전성이 미흡하여 점수가 가장 낮게 나왔다. (결론) 대구지역 종합병원 5곳의 종합병원 로비공간에서 환자·이용자들이 직관적인 웨이파인딩을 함에 있어 앞서 도출된 웨이파인딩 서비스 요소로 분석하고 얻은 결과로는 전반적으로 사례분석 한 종합병원 로비에서는 미로처럼 되어버린 공간을 인지하여 결절점 부분에서 가장 많이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길 요소부분을 가장 소홀히 여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앞으로 웨이파인딩 서비스를 이행할 때 편리성과 안전성에 신경을 쓰고, 길 요소 부분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면 이용자·환자들의 길 찾기가 더욱 더 잘 되어 병원이미지 향상과 더불어 업무의 효율성도 함께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hospitals in the sixty years since the 1950s, when the first modern hospitals began to be built in Korea, including changes in function, size, operation, and service. The meaning of a hospital space has transformed from just a space for treatment only to a space that includes healing as well. As hospital services grow, so too does their need for effective way-finding, one of the basic necessary integrated services of hospitals. Way-finding, a part of services that general hospitals use strategically to establish a their identity, enables users visiting the hospital for the first time or infrequently to navigate. Usually this involves multiple sign systems in complex hospital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 way-finding system in the hospital, and the users who do not know how to do the route may have to spend a lot of time repeating the route search, which may reduce the return rate of the hospital and damage the image of the hospital.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find the way-finding service elements that users most need while searching for directions in general hospitals, and to evaluate their characteristics. (Method) As a research method, the study analyzed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way-finding to identify way-finding theories and elements, and redefine them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y-finding services. We analyzed the directions of patients and users in the lobby space of five general hospitals in the Daegu area and checked the scor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y-finding service in the space, ranking them against each other. (Results) The case analysis showed that the node index elements were the highest among the way-finding service elements that relied on the sign system; the landmark elements were similar; and the road elements were the lowest. The readability and comfort of the way-finding services characteristics were high. The overall scores were the lowest when they involved lack of convenience or safety. (Conclusions) Analyzing the way-finding service factor derived in the intuitive way-finding of patients and users in the general hospital lobby space of five general hospitals in Daegu area yielded the following the results. The study was most concerned with the nodal point by recognizing the space, but it neglected the part of the way. Future studies should pay attention to convenience and safety when implementing the way-finding service, and if there is a plan to improve the road element, users and patients will be better able to navigate, the hospital will improve its image, and everyone`s pedestrian travel will be more efficient.

      • KCI등재

        흰쥐에서 글리피지드가 로살탄의 약물동태에 미치는 영향

        유진욱(Jin Wook Yoo),최진석(Jin Seok Choi),최준식(Jun Shik Choi) 大韓藥學會 2011 약학회지 Vol.55 No.3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lipizide on the pharmacokinetics of losartan in rats. Losartan was administered intravenously (3 mg/kg) and orally (9 mg/kg)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glipizide (0.3 and 1 mg/kg) to rats.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losartan were significantly altered by the presence of glipizid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given losartan alone). Presence of glipizide significantly (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