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정선,김종현 한국물리학회 2013 Current Applied Physics Vol.13 No.6
The effective rotational viscosity and polar anchoring coefficient of a nematic liquid crystal were determined using electro-optical response by changing the frequency of the electric field in the kilohertz range. Both quantities monotonically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and converged to a certain value at several tens of kilohertz. The effective rotational viscosity changes more than the order of magnitude in experimental range. On the other hand, the effective value of anchoring coefficient changes several times. We tried to explain the trends with the effect of an electric field induced by the motion of ionic impurity in liquid crystal.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영어 학습동기, 신념, 전략의 유형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
유정선 한국항공경영학회 2023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4년제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의 영어 학습동기, 학습신념, 학습전략의 유형이 학업성취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조사, 분석해보고자 설계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첫째, 학업성취도에 따른 상위․하위 그룹별 영어 학습동기, 학습신념, 학습전략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영어 학습동기, 학습신념,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의 인과관계는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본 조사는 2022년 4월 2-22일까지 충청남도 소재 4년제 A/B대학의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유효한 총233부를 데이터 코딩 후 SPSS 20.0의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상위․하위그룹의 차이검증에서, 학습동기의 ‘내적동기’와 외적동기의 ‘외부통제’ 그리고 학습전략의 ‘보상전략’과 ‘상위인지전략’은 통계적으로 유의수준에서 상위그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습신념에서 수준별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둘째, 학습동기의 하부요인들이 학습신념의 하부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학습전략의 하부요인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한편, 학습동기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적동기’는 학업성취에 정(+)의 영향을 미치나 ‘무의식적통제’는 오히려 학업성취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습신념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학습전략의 일부 요인들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증적 연구방안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ltiple relationship among English Learning Motivation, English Learning Beliefs, English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empirical method, and a questionnaire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The survey was summarized based on analyzing the questionnaire surveys of 233 collected in April in 2022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tilizing SPSS 20.0.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Firstly, it shows there exit some of effective differences regarding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English Learning Strategies between higher and lower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Secondly, English Learning Motivation positively affects English Learning Beliefs and English Learning Strategies. Finally,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English Learning Strategies effectively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It shows no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Learning Belief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enhanc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Some of effective factors of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needs to be emphasized and utilized in the English curriculum and extra English curriculum. Based on the empirical study, not only some contribution and limitation of this research, but also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have been suggested.
규제개선을 통한 글로벌 교육서비스산업 시장 창조의 경제적 효과
유정선,변양규 한국규제학회 2013 규제연구 Vol.22 No.S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to facilitate the educational service industry in Korea through the deregul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foreign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study particularly aims at suggesting policy guidelines to reduce the disproportionate regulatory burdens on the educational service industry to create new markets as well as analyzing their economic impacts. The study emphasizes providing foreign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incentives by amending unnecessarily tightened regulations such as prohibition of profit repartriation. The study suggests “No Regulation Free Investment Zone” to be establish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promotion will be an effective measure to absorb the overheated demand for studying abroad while relieve the concerns over introducing a market-oriented system in the educational service industry. Also, the study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fully function as a bridge linking foreig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investors rather than itself directly providing financial support to foreign educational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study’s estimates, the alleviation of regulation would create 93,000 jobs and the effect on production inducement worth 8.5 trillion won by 2020. 본 연구는 교육서비스산업의 새로운 시장을 창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외국교육기관 및 해외유학생 국내유치를 위한 규제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교육서비스산업 현장 면담을 통해 효율적인 규제개선 과제를 발굴하였고, 이를 통한 경제적 파급효과의 규모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영리법인에 대한 과실 송금 허용, 외국교육기관들에 대한 하부 시행안 및 세부 규정 등 불필요한 규제의 개선을 통해 해외 교육기관이 국내에 투자할 유인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또한 본 연구는 실험적 성격이 강한 ‘서비스산업 무규제 투자자유구역’의 수도권 설립을 제안하였다. 이는 교육산업에 영리추구라는 경제원리가도입되면 공공성이 훼손될 것이란 우려를 최소화하면서 해외수요의 국내유치 효과를 실험할 수 있는 좋은 장치가 될 것이다. 그 외에도 정부는 해외 교육기관에 직접적인 재정지원을 하기 보다는 해외교육기관과 투자자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에 충실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의 추정에 의하면 규제개선을 통해 해외 교육기관의 국내 투자유인이 증가하고, 정부의 유치 전략이 효율적으로 추진될 경우 2020년까지 교육 서비스업에 약 8조 5천억 원의 생산유발효과가 발생하고 9만 3천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정선,Hyeon-Min Johng,Tae-Jong Yoon,Hak-Soo Shin,Byung-Cheon Lee,Changhoon Lee,Byung Soo Ahn,Dae-In Kang,Jin-Kyu Lee,Kwang-Sup Soh 한국물리학회 2007 Current Applied Physics Vol.7 No.4
We describe thein vivouorescence imaging method of novel threadlike tissues (Bonghan ducts) inside the lymphatic vessels of ratswith uorescent magnetic nanoparticles. This threadlike structure was not visible by a stereomicroscope because of its transparency. Itsthickness was about 20l lymph nodes and applying static magnetic elds on the lymphatic vessels, we were able to obtain thein vivouorescence imaging of thethreadlike structures under the uorescence reectance imaging system. The specimen was analyzed with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s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s which exhibited the preferential absorption of the nanoparticles by the threadlike struc-tures compared with the lymphatic walls. This preferential absorption was due to the loose extracellular matrix of the threadlikestructures. These results show new applications of nanoparticles forin vivoimaging of hardly detectable tissues using uorescence reec-tance imaging and magnetophoretic control.
20세기 초 자탄가에 재현된 친정 방문과 자기표현의 의미
유정선 이화어문학회 2023 이화어문논집 Vol.61 No.-
This study focuses on works that deal with the subject of visiting parents' homes among Jatanga, were crea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from the 1900s to the 1930s. In the works, the process of ‘growing up, marriage, living in-laws’ is recited according to Jatanga customs, and then the life leading up to a visiting one’s parents is recreated. Accordingly, the first half of the work is generally composed of ‘growth process and married life’, and is standardized content, taking on the nature of praise. Nevertheless, the emotional loneliness and hardship of living as a married woman are revealed, and this is encoded and expressed through a sense of the season or symbolic imagery. The second half of the work consists of a visit to one's parents' home, and the main content is meeting and playing with parents, siblings, relatives, and friends. The content that is treated with great importance is play. Writers enjoy pleasant entertainment and celebrate freedom. Self-esteem is also confirmed through emotional communication and family awareness. In this way, organizing the work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author's own life cycle and placing the visit to the parents' home within it calls for looking at the meaning of the visit to the parents' ho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tire life. The second half of the work is placed in opposition to the first half, suggesting the weight of hardships and vices hidden beneath the coded scenery of the first half. In this respect, the reenactment aspect of the second half is placed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previous life, and contains the meaning of actively expressing the desires that have been suppressed. 본 연구는 자탄가 중 친정 방문의 소재를 다룬 작품들로, 20세기 초인 1900~1930년대에 창작된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대상 작품들에서는 자탄가의 관습에 따라 ‘성장과정- 혼인 및 시집살이’의 과정을 읊은 후에 친정 방문으로 이어지는 삶을 재현한다. 이에 따라 공통적으로 작품의 전반부는 ‘성장 과정 및 혼인생활’로 구성되며, 정형화된 내용으로 상찬(賞讚)의 성격을 띤다. 그럼에도 시집살이 중 감정적으로 외롭고 힘듦을 드러내는데, 그것은 계절감이나 상징적인 심상을 통해 약호화(略號化)되어 표현된다. 작품의 후반부는 친정 방문으로 이루어지며, 부모 형제를 비롯하여 친지‧친구들과의 만남, 그리고 놀음이 주요한 내용이다. 이중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내용은 놀음이다. 작가들은 유쾌한 유흥을 즐기며 자유로움을 구가한다. 또한 정서적 소통과 가문의식을 통해서 자기존중의식을 확인한다. 이와 같이 작가 자신의 생애 주기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구성하고 그 안에 친정 방문을 배치한 것은 삶 전체의 시각에서 친정 방문이 갖는 의미를 조망할 것을 요청한다. 작품 전체에서 볼 때 전반부와 후반부는 작품의 정조와 화자의 태도 면에서 낙차가 크다. 후반부는 전반부의 대척점에 놓임으로써 앞부분의 약호화한 풍경 아래 숨겨진 고충과 부덕의 무게를 암시한다. 이 점에서 후반부의 재현 양상은 이전의 삶과 긴밀한 연관성 속에 배치되고 있으며, 그간 눌러왔던 욕망을 적극적으로 표현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유정선,박은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0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일어나는 문제상황이 포함된 수업사례에 응답한 내용을 기초로 유아교사들의 문제해결능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수업사례 분석을 통해서 본 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이 경력수준과 수업사례에서 제시된 문제상황을 사전에 경험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3차의 선정과정을 통하여 3개의 사례가 수집되었고 40명의 교사들이 각기 7개의 질문에 응답하였다. 수업사례 분석을 통해서 본 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은 모든 범주에서 교사의 경력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문제상황과 유사한 경우를 사전에 경험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는 문제상황이 발생하는 빈도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교사들의 경력에 따른 교사교육의 차별성에 대한 필요와 유아교사 교육에서 수업사례활용의 필요성에 대한시사점이 제시되었다.
유정선,엄정애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1
서울시 사립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실외놀이 실태와 교사의 인식에 대하여 만5세반 유치원교사 총 200명에게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서울시의 좁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실외놀이 공간을 보유하고 있는 유치원이 많았으며 환경을 개선하여 옥상을 활용하는 경우가 다른 지역보다 많아 실외놀이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외놀이는 매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는 있으나 다양한 실내활동으로 인해 주 2-3회 운영하고 있었으며 교사는 실외놀이활동에서 안전에 대한 감독자의 역할을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외놀이에 대한 교육적 효과는 신체발달과 함께 사회성 발달과 자연학습, 정서적 안정감 증진에 대해 기대하고 있으며 유치원 일과 중에서 실외놀이를 가능하면 계획하려고 노력하는 교사가 과반수를 넘었다. 그러나 실외놀이를 운영함에 있어 어려운 점으로는 프로그램 부족, 안전사고위험, 시간부족, 공간과 시설 부족 등을 지적하고 있어 해결해야할 과제가 아직 많이 남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outdoor play conducted at the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at. The subjects are 200 teachers in charge of 5-year old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had their outdoor play spaces inspite of narrow space. Some of them used the rooftop for outdoor play improving on the circumstance, which is prevalent than the other region, it shows high understanding.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have a outdoor play time almost everyday but they had two or three times, because of various indoor program. And they mostly answered they looked after their kindergarteners' safety in a outdoor play time. They recognized that outdoor play can offer the chance of physical development, social development and nature study, so they planned and tried to run outdoor play in a positive attitude. As their bottlenecks, they answered a lack of programs and play time, dangerousness of acci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