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수범람모의를 위한 내외수 연계모형 개발

        유재홍,김형준,조용식,Yu, Jae-Hong,Kim, Hyung-Jun,Cho, Yong-Sik 한국방재학회 200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5 No.4

        본 연구에서는 홍수범람을 모의하기 위하여 하천모형과 우수관망모형을 결합하였다. 하천의 범람을 모의하는 하천모형은 2차원 Saint Venant 방정식을 유한차분기법으로 차분화하여 수치모형을 구성하였다. ILLUDAS를 기반으로 하는 우수관망모형은 관망의 통수능과 홍수량을 비교하여 제내지에서의 침수현상을 해석한다. 내외수연계모형을 실제 홍수범람사상에 적용하여 제내지와 제외지에서 일어나는 홍수범람현상을 적절히 모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 numerical model combined by a river model and an inland model developed to simulated a flood event. The river model describing an inundation in a river solves the two-dimensional Saint Venant equations with a finite difference method. The inland model based on the ILLUDAS describes the conveyance capacity of a storm sewer system. The combined model is applied to a real situation. The model simulates reasonably the real flood event occurred in a river and inland simultaneously.

      • KCI등재

        스티글레르의 기술 비판

        유재홍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용봉인문논총 Vol.- No.60

        Stiegler places technics at the heart of his thinking. He underlines that technics is a pharmakon, that is, it contains both toxic and curative potential. The era of digital technologies coincides with that of the Anthropocene. The biosphere and biodiversity and human thought are threatened by entropic effects. In disruption caused by the digital technology, the social organizations are dismantled, and the individuals are out of the processes of collective individuation that form the social systems. With the reign of the automated algorithm, man is in danger of being deprived of his knowledge (know-how, savoir-vivre, savoir-concevoir). The capitalist model of consumption in the digital milieu regulates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modes of existence at every level on life's way. To be more precise, this regulation destroys the volition of individuals and groups. It is almost certain that the reconstitution of a long-term horizon is compromised in such a world in advance. How to escape from the disorders generated by the effects of digital technology? Stiegler tells us that we must reclaim the power of intellectual and spiritual thought. He also tells us that the life of the mind must be resurrected in the era of the Antropocene. Intellectual deproletarianization of the human mind. will make it possible to fight against the entropic effects of massive standardization. and also to recover his creativity, to restore meaning and hope in his existence. Intelligence is therefore what elevates us above our own stupidity. It will be necessary to put the algorithm at the service of disautomation, that is, at the service of intelligence, With it, man will be able to acquire the ability to defer the law of entropy. To produce negentropy is to produce diversification and novelty. The negentropic way will make it possible to eliminate the disorders caused by the disruption and to overcome the ecological catastrophe announced by the Anthropocene. 스티글레르에게 기술은 인간동물을 구성하는 특성의 전부가 된다. 인간은 곧 기술적 존재이다. 기술은 인간의 생물학적 조건을 변경시킬 정도로 절대적인 지위를 획득하고 있다. 물론 기술 환경의 가속화는 자본주의적 생산양식 체계와 무관하지 않다. 이 체계가 궁극적으로 이르고자 하는 이윤의 극대화는 기술혁신을 의미하고, 그것을 극명하게 드러내는 것이 오늘날의 데이터 경제이다. 이러한 디지털 기술의 시대는 인류세라는 암울한 상황과 맞물려 전 세계에 재앙의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인류세는 종말을 향한 엔트로피 양의 보편적인 증가를 의미한다. 스티글레르에 따르면 인류세는 세 가지의 층위 ―생물권(biosphère), 생물다양성(biodiversité)과 디지털 기술 속의 인간―에서 일어나고 있다. 새로운 사유(지식)에 의한 새로운 사회 모형의 제시가 이처럼 요청된 적이 없었다. 스티글레르는 지식의 외재화를 보편화하는 디지털 기술에 전례 없는 파르마콘적 특징 -치료성과 해악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무의식적 에너지의 조작을 통해 소비자본주의가 생산해왔던 충동적이고 규격화된 인간은 디지털 기술 시대에 이르러서 자신의 의식의 흐름 ―파지(rétention), 주의력, 예지(protention) ―을 박탈당할 위기에 놓인다. 인간은 자연스럽게 사유의 존재에서 ‘바보짓’(bêtise)의 대상으로 전락한다. 스티글레르가 ‘디스럽션’(disruption)과 ‘프롤레타리아화’(prolétariation)라고 명명하는 기술의 해악성은 개인과 집단이 고유한 욕망을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한다. 알고리즘 거버넌스는 경제성이라는 미명 하에 사회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복종을 어렵지 않게 이끌어내고 있다. 그러므로 디지털 기술의 파르마콘적 특성에 대항해서 새로운 삶의 방식을 발명해야 한다. 이는 오직 되찾은 지성의 힘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이 힘은 새로운 정치적·경제적·산업적 모형의 구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사유의 힘은 ‘방향을 전환하는 힘’(bifurcation)이다. 사유는 예상 밖의 갈래 길을 만드는 능력이다. 부엔트로피를 생산하는 이러한 능력들의 총체만이 새로운 기술 환경과 생태적 재앙에 맞설 수 있는 길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공동저작 시스템에서의 동시성 제어와 쓰기 권한 제어

        유재홍,성미영,Yoo, Jae-Hong,Sung, Mee-Yo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 정보처리논문지 Vol.7 No.2

        이 논문에서는 공동제작 시스템에서의 동시성 제어와 쓰기 권한 제어를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공동젖작시스템의 문서는 논리 객체들로 구성된 트리 구조와 트리 구조의 단말에 연결된 내용 조작들로 표현된다. 이러한 문서의 논리구조를 다루는 공동저작 시스템의 동시성 제어 기법을 우리는 계층적으로 구성된 객체들에 대해 각 계층별로 잠금을 요청할 수 있는 다중 잠금(multiple granularity locking) 기법을 확장하는 접근을 채택하였다. 계층적으로 구성된 객체들에 대한 연산을 세분화하여 잠금 호환 테이블(locking compatibility table)을 정의하고, 이 테이블을 기반으로 잠금을 허락하는 확장된 다중 장금(extended multiple granularity locking)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여러 사용자들의 공유 객체에 대한 동시 접근을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그룹/비그룹(Group/Non-Group) 개념을 적용하여 비그룹 사용자들의 쓰기를 방지함으로써 매우 합리적으로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쓰기 권한 기법을 제안한다. This paper presents the efficient mechanisms for concurrency control and writing authority control in collaborative writing system are represented by the tree structures which consist of the logical objects and the content objects connected to the terminal objects of trees. For concurrency control, we adopted the approach to extend the multiple-granularity-locking-scheme. This scheme allows us to lock any objects at each level of the hierarchy. We also defined the locking compatibility table by analysing the operations applicable to any objects at each level of the hierarchy. We finally suggest the extended-multiple-granularity-locking mechanism which uses the locking compatibilility table for deciding to lock an object. This scheme gives the benefit to maximize the possibility of concurrent accessing to the shared objects. In addition, we suggest a mechanism for writing authority control which prohibits the Non-Group users from modifying the shared objects based on the concept of Group/Non-Group The proposed mechanism allows us to protect copyright very reasonab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