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교사 국가 기술 표준 제정을 위한 예비적 고찰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유인박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6

        The success of Korean cultur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the dissemination of the Korean language, depends on fostering excellent KFL(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eachers. Thus, one cannot overemphasiz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f KFL teachers. To nurture excellent KFL teachers,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d implement optimized educational programs and evaluation criteria. The basic task for developing optimal KFL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evaluation criteria is defining “National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for KFL Teachers”. Therefore, I found the need for more in-depth discussions in the academy on a preliminary “National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for KFL Teachers (draft)”. To enabler an enriched discussion on the topic,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National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for Teachers in other countries. I especially focus on the case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pecifically, this study selects fou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established by the National Board fo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o be reviewed. Their contents and development methods were also reviewed, promoting deriving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for KFL Teachers”. 우수한 한국어 교사의 육성은 성공적인 한국어교육, 한국 문화 및 한국어 보급 사업의 성패가 달려 있는 만큼 한국어 교사 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우수한 한국어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좋은 교육 프로그램과 평가 준거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과 평가 준거 마련을 위한 기초적인 작업은 한국어 교사의 기술 표준을 정립하는 것이다. 이러한 표준이 확립되면 예비 한국어 교사 양성 및 경력 한국어 교사 재교육, 한국어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기반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한국어 교사의 기술 표준 설정을 위한 학문적인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 국가 기술 표준(안)’에 대한 학계의 관심과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본격적으로 ‘한국어 교사 국가 기술 표준(안)’을 제정하기 전에 국외, 특히 미국에서 마련한 교사 국가 기술 표준들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이를 위하여 미국 NBPTS에서 제정한 네 가지 국가 기술 표준을 선정하여 그 내용과 제정 방법을 살펴본 후 한국어 교사 국가 기술 표준 제정에 줄 시사점을 도출하며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교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한국 국내 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유인박,김한근,시오야 모에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70 No.-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 by meta information and contents of 41 doctoral dissertations related to KFL teachers from year 2004 to 2023. The research trend studied by meta information are reviewed by year, nationality of researchers, and awarding institutions. The research trend analyzed by content are reviewed based on research methods, core concepts, and theories in accordance with each subject.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 study related to KFL teachers is categorized into research on KFL teacher education, KFL teacher psychology, KFL teacher behavior and classroom interaction, and KFL teacher policy. Furthermore, for the improvement of internaliz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KFL teacher-related research,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subjects, diversification of research topics, standardization of research methods, specification of research context, and theorization of research results.

      • KCI등재

        한국어 헤지 표현의 연구 동향 분석 - 한국어교육을 위한 연구 목적별 경향을 중심으로 -

        유인박,김한근 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 Vol.- No.176

        This paper argues that the research purpose, research method, and scale of the corpus in some of the early works in the field of Korean hedge expressions need to be reclaimed. It analyzes research trends in Korean hedge expressions and suggests further research directions for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For this purpose, 70 references on Korean hedge expressions since the year 2000 were collected using three techniques: an online bibliographic database search, the ancestry approach, and the descendancy approach. They were then analyzed through systematic review and the references were classified into nine academic categor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The type, research method, and scale of the corpus used in each reference category were reviewed. The authors provide an overview of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for each category and identify the problems encountered in existing references. Simultaneously, the authors highlight four issues to enable future researchers to avoid certain mistakes and make improvements in their approach.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헤지 표현 관련 연구들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 목적별 분석 틀을 설정하고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물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연구 동향 분석은 연구 목적과 연구 자료, 연구 방법을 기준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일차적으로 연구 목적별 관련 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한 이후 연구 자료와 연구 방법별로 경향을 재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총 70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헤지 표현의 기능을 분석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한국어 모어 화자의 헤지 표현 활용 양상 분석 연구, 한국어 모어 화자 및 외국어 모어 화자의 헤지 표현 활용 양상 비교 분석 연구, 한국어교육용 헤지 표현 제시 양상 분석 연구,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헤지 표현 활용 양상 비교 분석 연구, 한국어 헤지 표현의 통·번역 양상 대조 분석 연구, 한국어 학습자의 헤지 표현 활용 양상 분석 연구, 한국어 학습자의 헤지 표현 인지 양상 분석 연구, 한국어 헤지 표현 연구 동향 분석 연구 순으로 많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어 음독 과정에서의 자기 수정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화자의 오독 분석을 중심으로 -

        유인박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2 언어사실과 관점 Vol.55 No.-

        In the field of KFL/KSL education, studies on errors or correction of errorsoccurring in learners' speaking and writing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ut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miscue patterns in oral reading performance. This study was a longitudinal study conducted in four rounds. By using themiscues analysis, we analyzed the oral reading performance of a Chinese Koreanspeaker Mr. H, and analyzed the self-correction patterns and causes that occurduring the reading process. As a result, in the case of Mr. H, it is possible to self-correct more than half ofthe miscues while monitoring his own oral reading performance. Secondly, as aresult of the post-interview, the miscues that Mr. H can actively correct can be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phonetic miscues, grammatical miscues, semanticmiscues, and additive miscues. Thirdly, for Mr. H, most of the miscues withoutself-correction are unconscious misreading due to negligence, and this miscue hasa high character or phonetic similarity with the original text. Fourthly, mothertongue and personal reading habits can affect miscue and self-correction. Lastly,in this study, text genre and vocabulary difficulty, in theory, had no significanteffect on miscues. Although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generalize the results, it is expected to give implications on the experimentaldesign of the miscues analysis and the pattern and cause of miscue correction asseveral longitudinal studies. .

      • KCI등재

        한국어교육 분야 연구 동향 분석 논문에 대한 장르 분석적 연구 - 학술지 논문의 서론을 중심으로 -

        유인박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3

        Scholars have always paid attention to the content and conclusions of systematic review papers as secondary research. The genre analysis of paper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generally limited to primary research papers.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genre of systematic review pap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analyzing the genre of the introductions of systematic review papers written by exper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 new 3W model different from the existing introduction genre model is obtained. This model is based on a chain of questions-‘what-why-how’-that expands the logic. Since systematic reviews are considered secondary research, when expounding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uch research, many experts have proposed the anniversary time node to explain the essentiality of the study, and horizontally compare secondary research in other related fields to demonstrate the necessity of secondary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Not only is this the first paper to pay attention to the secondary research genr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it also holds high value in preparing basic data for academic writing education via the metacognitive examination of secondary research paper production.

      • SCOPUSKCI등재

        분리막 접촉기용 Poly(vinylidene fluoride) 중공사막 제조 및 투과특성

        유인 ( Park Yu In ),이기섭 ( Lee Gi Seob ),연순화 ( Yeon Sun Hwa ),서봉국 ( Seo Bong Gug ),임지원 ( Im Ji Won ),이규호 ( Lee Gyu Ho ) 한국공업화학회 2003 공업화학 Vol.14 No.6

        상전이 공정을 이용하여 분리막 접촉기용 비대칭 다공성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용매로는 dimethylacetamide (DMAc)를 사용하였으며 기공 형성제로는 LiCl를 사용하였다. 또한 중공사막 제조시 내부 응고제로는 물, 에탄올/물 및 DMAc/물 혼합액 등을 사용하였으며 외부 응고제로는 물을 사용하였다. 상전이 과정에서 기공 형성제 및 내부 응고제(비용매)가 막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제조된 PVDF 중공사막의 구조는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기공크기와 유효표면 기공율은 기체 측정법(Gas Permeation Method)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이 중 스킨의 비대칭구조로서 0.02~0.04 ㎛ 범위의 기공크기를 갖는 PVDF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PVDF 중공사막에 대해 물리적 흡수제로 물을 사용하여 기체 및 흡수제의 유속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분리효율을 알아보았다. 현재 분리막 접촉기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대칭 다공성 구조의 Polypropylene(PP) 중공사막과 본 연구를 통해 제조된 비대칭 다공성 PVDF 중공사막에 대해 이산화탄소 분리효율을 비교ㆍ분석한 결과 비대칭 다공성 PVDF중공사막 접촉기가 단위 표면적당 높은 이산화탄소 흡수효율을 나타내었다. Asymmetric porous polyvinylidene fluoride(PVDF) hollow fiber membranes for membrane contactor were prepared by a wet phase inversion method. In spinning these PVDF hollow fibers. dimethylacetamide (DMAc) and LiCl were used as a solvent and a pore-forming additive. respectively. Pure water, water/ethanol or water/DMAc mixture was used as an internal coagulant, while water was an external coagula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ase inversion process were studi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PVDF membrane, expecinlly the effect of pore-forming additive and internal coagulants (non-solvent) addition on the membrane structure. The cross- sectional structure of the prepared PVDF hollow fiber membranes was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Average pore size and effective surface porosity were determined using the gas permeation method. The pore size the prepared asymmetric PVDF hollow fiber membrane was in the ragne of 0.02-0.04 μm. The carbon dioxide separation performances with the change of flow rates of absorbent and mixed gas were studied, using the PVDF hollow fiber membrane water as a physical absorbent. The performances of the asymmetric porous WDF hollow fiber membrane and a symmetric commercialized one made from PP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asymmetric porous PVDF hollow fiber membrane showed higher separation efficiency of CO_(2) per unit surface areas than the symmetric porous PP hollow fiber membrane.

      • KCI등재

        후처리조건에 따른 한외여과용 폴리설포중공사막의 투과특성에 관한 연구

        유인,김정훈,이규호 한국막학회 1992 멤브레인 Vol.2 No.1

        The effects of after-treatment condition on the permeability of polysulfone hollow fiber membranes were investigated. It was well known that the permeability of and the rejection of hollow fiber membranes prepared by dry-wet spinning technique was highly affected by spinning conditions such as composition of spinning solution, inner and outer coagulant and spinning height. But these are also governed by after-treatment condition such as drying, hot water treatment and glycerine treatment. Since it was difficult to remove DMAc and NMP in membranes by washing with in cold water and even traces of such solvent affected the reproducibility of the membrane characteristics, the hot water-treatment should be required 건습식방법에 의해 제조된 중공사는 1차적으로는 방사원액 및 내외부응고제의 조성과 양 그리고 방사높이 드의 방사조건에 의해 막의 전체적인 구조 및 투과성능이 영향을 받지만 제조된 중공사의 건조과정이나 용매처리, 열처리등에 의해서도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실험실에서는 건습식방사법에 의해 한외여과용 폴리설폰중공사막을 제조하여 후처리조건을 변화시켜가면서 그 중공사막의 투과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건습식방사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설폰중공사는 건조시간이나 건조온도가 증가하면 막의 수축이 크게 일어나서 툭수헝이 크게 감소하고 역으로 용질배제율은 높아지며 한범 감소된 막의 투수성은 회복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중공사의 투과성능을 보존하기위해서는 100%글리세린으로 처리하여 막의 건조를 피해야한다는 사실과 20℃의 흐르는 water에서 수세하는 경우 단시간에 중공사의 잔여용매(NMP, DMAc)를 제거하기는 어려우며 이러한 잔여용매는 중공사막의 투과성능의 안정성 및 재연성을 크게 손상시키기 때문에 열수처리를 해주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100℃ 열수처리결과 단시간에 잔여용매의 제거가 가능하였으며 투과성능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