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해양레저관광에 의한 어촌의 젠트리피케이션 전개 양상과 지역주민 태도 - 양양 서핑 관광지를 사례로 -

        유예지,김주락 대한지리학회 2024 대한지리학회지 Vol.59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ourism gentrification patterns in fishing villages with distinct conditions from urban context. The research focused on Ingu and Jukdo Beach in Yangyang-gun, Gangwonstate, and conducted statistical data analysis, landscap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local resident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beach area has experienced an increase in tourists and commercial facilities invested by people from out of town, a rise in land prices, and a deterioration in residents' living conditions, confirming the major features of tourism gentrification. On the other hand, distinctive features that set it apart from the typical tourism gentrification occurring in cities were also identified. First, the uniformity of the landscape, often considered a problem in urban gentrification, was not significantly compromised due to the surfing culture. Secondly, a substantial gap was identified between the cultures of tourists and residents, with residents experiencing not only discomfort but also cultural shock.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surfing tourism, which is primarily focused on recreational sports activities rather than fishing village tourism, and the seasonality of marine tourism have spatially and temporally limited the direct negative impact of tourists on residents. Thirdly, the displacement of indigenous people has not been noticeable. This is attributed 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ce of idle land along the beach, contributing to the separation of tourists' commercial districts and local residents' living areas, as well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n aged population, a strong attachment to the hometown, and strong ties among residen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pands the spatial scope of tourism gentrification research to fishing villages and suggests implication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활동기반 교통수요 모델링을 위한 투어기반 통행분석 및 보정방안

        유예지,강희찬,유승모,오태호 한국ITS학회 2023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2 No.6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is shaping the future of personalized travel, encouraging personalized travel, and traffic impact could be influenced by individualized travel behavior during the transition of driving entity from human to machine. In order to evaluate traffic impact,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total number of trip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individual travel characteristics. The Activity-based model(ABM), which allows for the reflection of individual travel characteristics, deals with all travel sequences of an individual.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vel and travel must be important for assessing traffic impact using ABM. However, the ABM has a limitation in the data hunger model. It is difficult to adjust in the actual demand forecasting. Therefore, we utilized a Tour-based model that can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vels based on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instead. After that, vehicle registration and population data were used for correction. The result showed that, compared to the KTDB one, the traffic generation exhibited a 13% increase in total trips and approximately 9% reduction in working trips, valid within an acceptable margin of error. As a result, it can be used as a generation correction method based on Tour, which can reflect individual travel characteristics, prior to building an activity-based model to predict demand due to the introduction of autonomous vehicles in terms of road operation,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 KCI우수등재

        HCM 7th을 고려한 커넥티드 자율주행 교차로 용량 분석: 제주 혁신도시 사례연구

        유예지,김인희 대한교통학회 2022 대한교통학회지 Vol.40 No.6

        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하면서, 최근 차량에는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이 차량에 탑재되어 운전을 보조하고 사고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 자율주행 차량의 기술발전 및 도입으로 인해 다가올 미래에는 사람이 차량을 운전하지 않을 것이며 이에 따라 도로 위의 주행 행태도 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자율주행이 실제 도로에 도입되기 이전에 예상할 수 있는 도로용량변화에 대처하는 것은 교통흐름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일반차량과 혼재된 상황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혼재시 발행할 수 있는 여러 상황을 사전에 인지해야 한다. 교통부문에서 자율주행의 도입 시 교통류, 제한속도, 전용차선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교통 용량을 분석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을 예측해서 분석하는 것은 어려운일이다. 또한, 자율주행에 관한 연구는 아직 기술의 문제, 인명피해, 재물 등의 심각한 손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실제 도로에서 분석이 이루어지기 어려워 일정 공간의 테스트베드 또는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하지만 그간 자율주행 차량 도입에 따른 명확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아 정확한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해소하고자 최근 새롭게 발표된 미국의 도로용량편람 7판을 적용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시장 점유율, 중차량의 비율, 교통량에 따라 변화하는 용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율주행 차량의 점유율이 높아질수록 용량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모든 차량이 자율주행 차량으로 구성되었을 때, 일반차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보다 최대 68.30%의 용량증대 효과가 분석되었다. 자율주행 차량의 도입은 도로용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미래에 미칠 수있는 정책적, 제도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소셜미디어 관광 담론의 특징과 키치 관광과의 관계: 부산 장림포구(부네치아)와 흰여울문화마을을 사례로

        유예지 한국관광학회 2023 관광학연구 Vol.47 No.6

        디지털 환경의 발달로 관광산업에서 소셜미디어의 영향력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소셜미디어를 통해 생산되는관광 담론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의 관광 담론을 고찰하여 이러한 담론에 의해 확산되고있는 관광의 특성을 ‘키치’(kitsch) 개념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의 키치에 관한 부정적인 시각에서 벗어나이를 하나의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바라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부산 장림포구와 흰여울문화마을을 사례로 블로그 포스트의 관광 담론을 분석하였으며,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서는 통계적 방법의 텍스트마이닝과 해석적 측면의 질적내용분석을실시하고, 사진이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소셜미디어에서 두 사례지역은 그곳이 지닌 장소정체성이나 문화⋅역사적 의미보다는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경관의 이미지가 강조되고 있으며 ‘부산의 베네치아’, ‘부산의산토리니’로 불리면서 이국적 풍경의 장소로 재현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블로거들은 미학적인 경관을 이용하여 ‘인증샷’을 촬영하는 방법을 가르쳐주고, 이 인증샷 장소는 그곳을 대표하는 기호로 상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셜미디어에서 생성되는 담론은 관광지 본래의 장소 정체성에 대한 이해보다는 미학적인 이미지를 통한 심미주의적 감성 소비를이끌고, ‘인생샷’ 촬영에 열중하는 과시적 관광을 유도하며, 이국적인 풍경을 통한 대리만족적 경험을 권유하는 내러티브를 형성하고 있어 키치 관광과 영합하는 측면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확산되는 관광의특성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개념화를 시도하고, 오늘날 키치 관광이 확대 지속되는 이유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지닌다. The impact of social media on the travel and tourism sector has been growing over time as the digital environment has developed. The tourism literature has, however, hardly ever looked into the tourism discourses created on social media.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nvestigate the type of tourism that is being promoted through social media discourse and to conceptualise aspects of that tourism using the term "kitsch." In order to avoid the common negative associations with kitsch, it also aims to view it as a sociocultural phenomenon. Both quantitative (text mining)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s were used to examine the tourism discourse on social media. According to research, social media portrays Busan as an attractive or exotic location by referring to it as "Venezia of Busan" and "Santorini of Busan," instead of emphasising the identity of the location. Bloggers also demonstrate how to take a "proof-shot" using stunning scenery, and these "proof-shot" locations end up as landmarks for the location. Thus, through signs and images, aesthetic emotional consumption, conspicuous tourism behaviour, and vicarious satisfaction-all characteristics of kitsch tourism-the discourse created on social media creates a narrative that encourages play-oriented tourism. This study is important because it conceptualises the aspects of social media-disseminated tourism and explains why kitsch tourism is still popular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