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전이성 위암에서 paclitaxel, 5-FU, cisplatin(TEP) 복합요법의 효과에 대한 제2상 연구의 예비결과

        유영진,김성록 인제대학교 백병원 2002 仁濟醫學 Vol.23 No.4

        Objective : This study is aim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paclitaxel, 5-fluorouracil(5-FU) and cisplatin for metastatic gastric cancer. Methods and Materials :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were entered into this study. Paclitaxel at a dose of 135 ㎎/m2 on day 1, 5-FU 1 g/m2 from day 1 to day 4 and cisplatin 60㎎/m2 on day 1 were administered. This regimen was repeated every 3 weeks. Results : From July 2002 to December 2002, 15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mong them, 11 patients were assessable. 5(45%) patients had a partial response. Grade 3 or 4 neutropenia were observed in 29% of all the cycles and grade 3 or 4 thrombocytopenia were not observed. Grade 3 or 4 mucositis and nausea/vomiting were observed in 13% and 7% of all patients. Conclusion : The regimen of paclitaxel, 5-FU and cisplatin for metastatic gastric cancer is active and well-tolerated.

      • KCI등재

        Atypical Presentation of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in a Neonate with a Pulmonary Granuloma Mimicking a Tumor: A Case Report

        유영진,선주성,이장훈,정현주,고영화,정준호,김현지 대한영상의학회 2020 대한영상의학회지 Vol.81 No.4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CGD) is an uncommon primary immune deficiency caused by phagocytes defective in oxygen metabolite production. It results in recurrent bacterial or fungal infections. Herein, we present a case of CGD with a large pulmonary granuloma in a neonate and review the imaging findings. The patient was a 24-day-old neonate admitted to the hospital with fever. A round opacified lesion was identified on the chest radiograph. Subsequent CT and MRI revealed a round mass with heterogeneous enhancement in the right lower lobe. There were foci of diffusion restriction in the mass. Surgical biopsy of the mass revealed chronic granuloma. Finally, the neonate was diagnosed with CGD caused by mutation of the gp91phox gene. Herein, we present the clinical and imaging findings of this unusual case of CGD.

      • 빈혈의 임상적 접근

        유영진 인제대학교 백병원 2002 仁濟醫學 Vol.23 No.4

        Anemia is a common medical problem. Anemia is not a diagnosis in itself but an objective sign of a disease. Logical approach to anemia makes it possible to uncover underlying disorder and treat that. Anemia results in decrease of oxygen carrying capacity and produces cardiovascular symptoms, even if the compensating mechanisms can reduce symptoms of anemia. Initial approach to anemia includes medical history, physical exam and adjuvant laboratory tests. Clinically, anemia can be divided into microcytic, normocytic and macrocytic anemia by RBC mean corpuscular volume. Each entities contain variable causes of anemia. Management of anemia should be targeted to correct the underlying disorder as well as anemia itself. In Korea, the causes of anemia is limited and we can obtain many useful informations by a few tests.

      • 목이버섯 균의 생리적 생육특성과 종균제조 조건 구명

        유영진,최규환,김효진,정종성,최소라 한국버섯학회 2012 버섯 Vol.16 No.2

        목이는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있고 특히 한국, 일본, 중국, 일본 등지에서 다량의 야생버섯이 발견되고 있다. 목이버섯의 종류는 크게 목이목(Auriculariales) 목이과(Auriculariaceae) 목이속(Auricularia)에 속하는 목이(Auricularia auricula)와 털목이(Auricularia polytricha)가 있고, 흰목이목(Tremellales) 흰목이과(Tremellaceae) 흰목이속(Tremella)에 속하는 흰목이(Tremella fuciformis)가있다. 이들은 각종 활엽수의 고사목이나 반고사목에서 생장하고 있으며, 버섯의 모양이 사람의 귀와 같아서 중국에서는 목이(木耳), 우리나라에서는 목이 또는 흐르레기, 일본에서는 해파리 또는 기쿠라케(キクラゲ)라하며, 서구에서는 ear mushroom이라한다. 본 연구는 목이버섯에 대한 균사 생육조건으로 온도, 산도(pH)을 조사하였는데 목이버섯이 균사체 생육온도는 25℃, 산도(pH)은 6~7범위에서 균사체 생육이 양호하였고, 또한 목이버섯의 균사체 신장을 위한 무기염류, 탄소원과 질소원의 종류와 농도를 조사한 결과는 생감자추출물 2%에 KH2PO4 0.1%, MgSO4·7H2O 0.05%를 처리하고 탄소원은 흑설탕 1.5%, 질소원으로 콩가루 0.4%를 혼합한 배지에서 균사체 생육이 양호하였다. 목이버섯의 톱밥종균의 제조조건을 구명하기위하여 톱밥종류로 포플러, 참나무톱밥사용하고 또한 고형물인 영양원으로는 미강 및 밀기울을 사용하여 이들에 이들의 혼합비율에 따라 균사 생육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참나무톱밥의 경우는 밀기울보다 미강을 혼합한것이 균사 신장이 양호하였고, 이때 미강을 20%혼합하였을 때가 균사 신장 및 밀도가 양호하였고, 포플러톱밥은 참나무 톱밥과 다르게 밀기울을 처리한 것이 양호하였고 이때 혼합비율은 10%혼합처리가 균사생육이 양호하였다.

      • KCI등재

        Computer-Aided Diagnosis of Thyroid Nodules via Ultrasonography: Initial Clinical Experience

        유영진,하은주,Yoon Joo Cho,김혜린,한미란,So Young Kang 대한영상의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Radiology Vol.19 No.4

        Objective: To prospectively evaluat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computer-aided diagnosis (CAD) for detection of thyroid cancers via ultrasonography (U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50 consecutive patients with 117 thyroid nodules on US during the period between June 2016 and July 2016. A radiologist performed US examinations using real-time CAD integrated into a US scanner. We compared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radiologist, the CAD system, and the CAD-assisted radiologist for the detection of thyroid cancers. Result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and accuracy of the CAD system were 80.0, 88.1, 83.3, 85.5, and 84.6%, respectively,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radiologist (p > 0.05). The CAD-assisted radiologist showed improved diagnostic sensitivity compared with the radiologist alone (92.0% vs. 84.0%, p = 0.037), while the specificity and PPV were reduced (85.1% vs. 95.5%, p = 0.005 and 82.1% vs. 93.3%, p = 0.008). The radiologist assisted by the CAD system exhibited better diagnostic sensitivity and NPV than the CAD system alone (92.0% vs. 80.0%, p = 0.009 and 93.4% vs. 88.9%, p = 0.013), while the specificities and PPV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88.1% vs. 85.1%, p = 0.151 and 83.3% vs. 82.1%, p = 0.613, respectively). Conclusion: The CAD system may be an adjunct to radiological intervention in the diagnosis of thyroid cancer.

      • KCI등재

        꽃송이버섯 재배기술 개발

        유영진,조홍기,서상영,서경원,송영주,심민오 한국버섯학회 2009 한국버섯학회지 Vol.7 No.2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 )은 민주름버섯목 (Aphyllophoreles), 꽃송이버섯과(Sparassidaceae), 꽃송이 버섯속(Sparassis )에 속하는 버섯으로 한국을 비롯한 일본, 중국, 북아메리카,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등에 자생하는 버섯 이다. 우리나라는 주로 8~10월경 낙엽송, 전나무, 잣나무와 같은 침엽수의 지제부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세계적으 로는 12종이 알려져 있다. 자실체는 꽃잎이 모인 것 같은 형 태로 꽃양배추를 닮았고, 크기는 지름과 높이가 10~30㎝ 정 도 되는 반구형 덩어리이다. 자실체의 색깔은 생육환경에 따 라 다른데, 야생 상태의 버섯은 대개 엷은 황갈색이지만 인 공재배에서 자란 자실체는 습도가 높고 광선으로 인해 백색 을 띠기도 한다. 꽃송이버섯은 최근 한국과 일본에서 재배되 기 시작한 버섯으로 β(1,3)D-glucan의 함량이 다른 버섯에 비하여 훨씬 높으며, 항암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꽃 송이버섯에 대한 인공재배초기 일본에서는 꽃송이버섯 자실 체를 후쿠시마가 기술지도하여 니이카타현 등 3개소에서만 병재배 방법으로 생산되고 있었으나 동경대학교 오노교수의 임상사례가 발표되면서 항암효능에 대한 신뢰가 높아져 최 근에는 기전의 미나헬스 등 10여개의 대기업과 연구소에서 연구 및 생산, 제품판매에 참여하여 시장이 커지고 있다. 따 라서 본 연구는 자연버섯인 꽃송이버섯을 봉지단목재배, 병 재배 등 인공재배법 개발하여 생산체계를 확립하는데 기여 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또한 고기능성의 버섯을 개발 하여 농가의 소득을 높이고자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