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인과 복강경 수술이 환자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

        유시현 ( Sie Hyun You ),윤주희 ( Joo Hee Yoon ),신은영 ( Eun Young Shin ),유영옥 ( Young Oak Lew ),김대훈 ( Dae Hoo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5

        목적: 수술과 창상은 다양한 사이토카인 생산에 변화를 야기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인과 질환자에게 시행된 복강경 수술이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부인과 질환으로 개복 수술을 받은 환자 20명과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환자들의 혈청 C-reactive protein (CRP)값, Interleukin-1β (IL-1β), Interleukin-6 (IL-6), Interleukin-8 (IL-8), Interleukin-10 (IL-10) 그리고 TNF-α 농도를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부가적으로 fibrinogen, transferrin, albumin, hemoglobin 그리고 hematocrit을 측정하였다. 그 측정값은 Mann-Whitney U test와 Kruskal-Wallis 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CRP, IL-6 그리고 IL-8 값이 개복 수술 환자군과 복강경 수술 환자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CRP와 IL-8값이 개복 수술 환자군에서 수술 후 24시간 뒤에 현저한 상승을 보였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5). 결론: 수술은 면역체계의 변화를 유발하며 이것은 사이토카인 반응을 통해 평가될 수 있다. 복강경 수술은 개복 수술에 비해 CRP와 IL-8의 활성을 적게 유발한다. Objective: Elective surgical approaches and trauma cause changes in the production of different cytokin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aparoscopic surgery on the immune system of patients with gynecologic diseases. Methods: We recruited the open surgery group (n=20) and laparoscopic surgery group (n=33). In a prospective study we examined the C-reactive protein (CRP) level, the production of the cytokines Interleukin-1β (IL-1β), Interleukin-6 (IL-6), Interleukin-8 (IL-8), Interleukin-10 (IL-10) and TNF-α concentrations by ELISA. In addition the fibrinogen, transferrin, albumin, hemoglobin and hematocrit were measured. Statistical analysis was made by Mann-Whitney U test and Kruskal-Wallis 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CRP, IL-6 and IL-8 between the open surgery group and laparoscopic surgery group after surgery. The CRP and IL-8 showed a more distinct increase in open surgery group 24 hours after surger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urgical approaches were significant (p<0.05). Conclusion: Elective surgical approaches cause changes in the immune system, which can be evaluated by the reaction of cytokines. Laparoscopic surgery cause less activation of the CRP and IL-8 than open surgery.

      • KCI등재

        폐경 여성에서의 생동일성 호르몬요법

        이석우 ( Suk Woo Lee ),유영옥 ( Young Oak You ) 대한폐경학회 2010 대한폐경학회지 Vol.16 No.1

        Bioidentical hormone therapy (BHT) refers to the use of hormones that are molecularly and chemically identical to endogenous hormones for purposes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The specific hormones used in BHT include estrone, estradiol, estriol, progesterone and testosterone. Since the result of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WHI) trial documented the increased risk of breast cancer, cardiovascular disease and stroke in users of conventional hormone therapy (CHT), use of CHT has declined and there has been increased interest in BHT. Bioidentical hormones have some distinctly different physiologic effects compared with synthetic hormones. Synthetic progestin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for breast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while natural progesterone is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 of breast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Estriol has some unique physiologic effects, which differentiate it from estrone and estradiol. Estriol is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breast cancer and would be expected to prevent breast cancer, but few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have been documented. Some clinical data demonstrate that BHT is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breast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and is more efficacious than synthetic hormones. However, there is little evidence in support of this claim. Moreover, estriol has not been approved by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safety and efficacy of BHT. (J Korean Soc Menopause 2010;16:6-15)

      • KCI등재

        한국 폐경여성에서 골밀도와 Osteoprotegerin 유전자 A163G, T950C 다형성 연구

        권동진 ( Dong Jin Kwon ),유영옥 ( Young Oak You ),김대훈 ( Dai Hoon Kim ),김재훈 ( Jae Hoon Kim ),박동춘 ( Dong Choon Park ),이희중 ( Hee Joong Lee ),김은중 ( Eun Jung Kim ),김진홍 ( Jin Hong Kim )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3

        골밀도가 감소하는 질환인 골다공증의 발생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요인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알려져 왔다. 특히 폐경기 여성에서 골다공증의 발생에는 파골세포에 의한골흡수가 증가하여 발생하는데 Osteoprotegerin(OPG) 유전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저자들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산부인과 폐경기 크리닉을 방문한 229명의 자연 폐경여성을 대상으로 요추, 대퇴골경부, Ward 삼각주, 되퇴돌기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정상군, 골감소증군과 골다공증군으로 분류하고 골다공증 발생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 OPG 유전자의 A^(163)G, T^(950)C 다형성을 PCR-RELP 방법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이러한 유전자형의 다형성이 골밀도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 하였다. 저자들의 연구결과에서 대상 폐경기 여성의 A^(163)G, T^(950)C 유전자형 분포 양상은 AA 54.6%, AG 37.1%, GG 8.3%; TT 17.5%, TC 44.1%, CC 38.4%를 보였고, 전체 폐경여성에서 A^(163)G은 요추 부위에서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A163G 유전자형의 다형성은 요추 부위에서는 정상군과 골다공증군, 대퇴골경부와 Ward 삼각주에서는 정상군에서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T^(950)C 유전자형의 다형성은 大퇴골경부에서는 정상군과 골감소증군, Ward 삼각주에서 정상군에서만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한국인 폐경여성에서 OPG 유전자의 다형성은 골밀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protegerin gene polymorphisms, and bone mineral density(BMD). Methods: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at the Osteoprotegerin A163G(promoter), T950C(promoter) gene site, and BMD at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were analyzed in 229 postmenopausal Korean women (81 normal, I I I osteopenic and 37 osteoporotic patients). BMDs were measured by DEXA. Results: The distribution of A163G and T950V polymorphisms in all postmenopausal women was as follows: AA 54.6%, AG 37.1%, GG 8.3%;TT 17.5%, TC 44.1%, CC 38.4%, respectively.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such as age, BMI and menopause duration, A163G polymorphis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MD at the lumbar spine in all postmenopausal women. A163G polymorphis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MD at the lumbar spine in normal and osteoporotic patients, and BMD at the femur neck and ward`s triangle in normal patients. T950C polymophis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MD at the femur neck in normal and osteopenic patients, and BMD at the ward`s triangle in normal patient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steoprotegerin gene polymorphisms may be an important contributor to the variation of BMD among postmenopausal Korean women.

      • KCI등재
      • KCI등재

        최신임상강좌 : 폐경 후 여성에서 아디포카인과 비만 및 대사 합병증

        이석우 ( Suk Woo Lee ),김미란 ( Mee Ran Kim ),유영옥 ( Young Oak You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2

        폐경이행기가 되면 체지방 증가 및 지방 분포의 변화가 일어나며, 복부비만 증가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지질대사 이상 등의 대사 합병증을 초래한다. 지방조직은 에너지 저장뿐만 아니라 다수의 아디포카인을 분비하는 내분비기관이며, 내재성 면역기관이다. 비만인 경우 대식세포가 지방조직에 침윤하면 다수의 아디포카인이 지방 세포에서 분비되어 인슐린 저항성, 고지혈증, 고혈압, 고지혈증, 이소성 지방 침착, 제 2형 당뇨병 등의 대사 합병증을 야기시킨다.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아디포카인으로는 렙틴, 아디포넥틴, 레지스틴, 레티놀 결합 단백질 등이 있으며, TNF-α, IL-6 등의 호염증성 사토카인 등이 있다. 아디포넥틴은 인슐린 감수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지만 렙틴, 레지스틴, 호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킨다. 폐경은 대사 합병증을 높이는 방향으로 아디포카인의 농도가 변화시키지만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아디포카인은 지방조직과 여성 생식기관의 조절에 관여하며, 특히 폐경 후 여성에서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계 질환 발병의 증가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During the menopausal transition there are changes in body fat and its disrtribution, and central adiposity is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complications such as insulin resistance and dyslipidemia. Adipose tissue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an endocrine organ with many secretory products and a part of the innate immune system. With obesity, macrophages infiltrate into adipose tissue, and numerous adipokines and cytokines are secreted by both macrophages and adipocytes. The adipokine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athogenesis of metabolic complications such as insulin resistance, dyslipidemia, hypertension, ectopic fat accumulation,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t has been shown that adipocytes secrete several proteins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L-6 and adipokines such as leptin, adiponectin, resistin, retinol binding protein 4, visfatin. Adiponectin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but leptin, resistin,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rease insulin resistance. It is well known that menopause is associated with notable change in levels of the adipokines toward the direction to increase of metabolic complications, but the influence of menopause on adipokine levels is still poorly understoo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adipokines and metabolic syndrome,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postmenopausal women.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 혈청 렙틴 농도와 대사증후군과의 관계

        이석우 ( Suk Woo Lee ),조현희 ( Hyun Hee Cho ),김미란 ( Mee Ran Kim ),권동진 ( Dong Jin Kwon ),김은중 ( Eun Jung Kim ),유영옥 ( Young Oak You ),김장흡 ( Jang Heup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3

        목적: 폐경이 되면 체지방 및 복부비만의 증가 및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하며 심혈관계 질환의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렙틴은 지방 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에너지 대사 조절, 여성 생식 기관 조절 등에 관여한다. 폐경 전후 여성에서 혈청 렙틴과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한 폐경 전 여성 56명, 폐경 후 여성 1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의 그룹에서 혈청 렙틴, 복부비만도,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들을 비교하였고 혈청 난포자극호르몬, 에스트라디올 등의 여성 호르몬과 복부비만도, 대사증후군과 렙틴과의 관계를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ANC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여성 중 대사증후군을 진단받은 여성은 각각 폐경 전에서 37.5%, 폐경 후에서 45.5%이었고, 폐경 후 여성에서 폐경 전보다 혈청 렙틴 농도와 체지방비율이 더 높았다. 체질량 지수를 보정하였을 때 비비만군에서 난포자극호르몬이 높을수록 혈청 렙틴의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폐경 후 여성에서 복부비만도를 나타내는 허리 엉덩이둘레비율 및 내장지방면적과 렙틴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렙틴과 대사증후군 및 위험인자와의 비교에서는 복부비만만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체질량지수를 보정하였을 경우 대사증후군 자체와는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폐경 후 여성에서 난포 자극 호르몬의 증가 및 복부비만은 혈청 렙틴 농도를 증가시킨다. 렙틴과 대사증후군의 기타 다른 위험인자들,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과의 관련성 규명에 대한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Menopause status may lead to increases of body fat, abdominal obesity, and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MS). Leptin is an adipokine that is secreted by adipocyte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energy homeostasis and the reproductive system.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obesity, MS, and serum leptin levels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divided 168 women who visited St. Vincent Hospital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 2006 and 2007 into premenopausal vs. postmenopausal, obese vs. non-obese groups based on their body mass index (BMI) and the presence of MS. We measured serum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level, serum estradiol level, BMI, the waist-hip ratio (WHR) and visceral fat area (VFA), serum fasting glucose, lipid profile, blood pressure, and serum leptin level. Results: Of 56 premenopausal and 112 postmenopausal women, there were 21 (37.5%) premenopausal and 51 (45.5%) postmenopausal women with MS. In the non-obese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FSH, markers of abdominal obesity such as WHR and VFA, and serum leptin after adjusting for BMI in postmenopausal women. In the MS group, only WHR was correlated with the serum leptin level after adjusting for BMI in all groups. Conclusion: Increased serum FSH level and abdominal obesity lead to an increased serum leptin level in postmenopausal wome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eptin and the metabolic syndrom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postmenopausal women.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와의 연관성

        이석우 ( Suk Woo Lee ),김미란 ( Mee Ran Kim ),권동진 ( Dong Jin Kwon ),김진홍 ( Jin Hong Kim ),김장흡 ( Jang Heup Kim ),유영옥 ( Young Oak You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8

        목적: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압, 지질 대사이상, 공복혈당장애 등에 의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가 높아지는 대사 이상이다. 폐경 후 여성에서 대사증후군 및 위험 요소들과 골밀도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가톨릭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한 폐경 후 여성 중 대사증후군을 진단받은 여성 66명, 그렇지 않은 여성 8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사증후군 및 허리 엉덩이둘레비율, 총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공복 혈당, 혈압 등의 위험 요소들과 골밀도와의 상관관계를 회귀분석 및 ANC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사증후군이 있는 여성에서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요추부 및 대퇴 경부 골밀도의 유의하게 높았으나 나이와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뒤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HDL 콜레스테롤과 요추부 골밀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공복혈당과 요추부, 대퇴 경부의 골밀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복부비만 및 혈압, 총 중성지방과 골밀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양성수와 골밀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나이와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뒤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대사증후군은 체질량지수의 증가 등으로 골량의 증가 효과를 가질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저HDL 콜레스테롤혈증 등의 지질대사에 의해 골량이 감소되며, 체질량지수를 보정할 경우 대사증후군 자체의 골보호 효과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Observational studies suggest that osteoporosis i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lthough another study found that metabolic syndrome (MS) has protective effects on bon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divided postmenopausal women who visited St. Vincent Hospital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 2006 and 2007 into groups with and without MS and measured their body mass index (BMI), waist-hip ratio (WHR), blood pressure, serum fasting glucose, lipid profile, and BMD of the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Results: Of the 151 subjects, 66 (43%) had MS and 85 (57%) did not. The women with MS had a higher BMD at the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although after adjusting for age and BMI, this correlation was lo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BMD of the lumbar spine and both high-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and serum fasting glucose, and BMD of the femoral neck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fasting glucose level. The components of MS were not correlated with BMD in these postmenopausal women after adjusting for age and BMI. Conclusion: In our study, the higher BMD in MS was explained by the higher BMI in postmenopausal women. After adjusting for age and BMI, however, MS had no protective effect on bone mass. MS may be another risk factor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 KCI등재

        사람 난포의 성숙 정도와 Fas, Fas-ligand, Bcl-2, Bad의 발현

        권동진 ( Dong Jin Kwon ),길기철 ( Ki Cheol Kil ),조현희 ( Hyun Hee Jo ),김미란 ( Mi Ran Kim ),임용택 ( Yong Taik Lim ),김장흡 ( Jang Heub Kim ),유영옥 ( You Young Oak ),김대훈 ( Dai Hoon Kim ),이진우 ( Jin Woo Lee ),김진홍 ( Jin H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1

        사람 난소내 난포의 수적 감소와 배란 후 황체의 퇴축 과정은 apoptosis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생리적 과정에 어떤 인자들이 영향을 주는지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난소내 apoptosis와 이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들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Fas, Fas-ligand, Bcl-2 및 Bad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사람 난소의 원시 난포, 일차 난포, 우성 난포에서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Fas의 발현은 Human ovarian follicles reduce rapidly in number throughout fetal and adult life. Throughout the menstrual cycles, primordial follicles grow into mature follicles and then ovulate to form corpus luteum. Apoptosis has been implicated in several events th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