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일디아스포라의 노래 <임진강>

        유영민 ( Yu Youngmin ) 민족음악학회 2021 음악과 민족 Vol.- No.61

        디아스포라의 특징은 떠남과 이동, 정착과 재이동, 탈영토화와 재영토화, 절합과 재절합을 통한 끊임없는 변모의 여정이다. 디아스포라 음악 문화에도 같은 특징이 새겨지게 마련이나, 새로운 음악 장르나 작품에만 천착할 경우, 디아스포라 역사와 함께 걸어온 ‘새롭지 않은 옛 노래’의 의미와 역할을 간과하기 쉽다. <임진강>은 탄생 시기부터 지금까지 선율 자체의 변화가 거의 없는, 선율도 지극히 단순한, ‘새롭지 않은 옛노래’라 할 수 있다. 수차례 편곡이 탄생하고, 여러 음악가의 목소리와 연주로 리메이크되었어도, 새로운 장르의 탄생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작품/작곡 중심의 관점으로 음악을 바라본다면 <임진강>의 혼종성이나 역동성은 논하기 어렵다고도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임진강>이야말로 재일디아스포라의 역사를 함께 걸어온 상징 같은 음악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임진강>이 횡단해온 시공간을 추적하며 그 안에 담긴 다층적이고 다면적인 재일디아스포라의 역사와 정체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 곡이 어떤 상황에서 탄생하고 이동했는지, 일본 사회 안에서 어떻게 변모해왔는지, 일본과 한반도 사이에서 어떤 매개 역할을 하며 재일디아스포라의 문화 지형을 변모시켰는지 살펴봄으로써, 디아스포라 음악의 혼종성을 사운드나 작품이나 장르가 아닌, 그 안에 담긴 의미와 상징과 역할을 통해 조명해보고자 한다. Diasporas are characterized by changing through departure and mobility, settlement and re-location,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and articulation and rearticulation, which are also embodied in musics of various diasporas. However, if only new musical genres or works are investigated, “longstanding old-fashioned songs” could easily be disregarded in spite of their significant meanings and roles. The song Imjin River is the very “longstanding old-fashioned song,” which has rarely been transformed keeping a very simple melody. Although many arrangements of the song have been produced, it has never led to a creation of a new genre. From the perspective focusing on musical works/compositions, we would not be able to discuss hybridity or dynamics of music. However, the song Imjin River is the musical symbol that has always existed in the whole history of Korean diaspora in Japan.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multilayered and multifaceted diasporic identities of Zainichi Koreans by tracing the routes of the song, while illuminating its meanings, symbols, and roles, rather than analyzing its sound.

      • KCI등재

        1945년 이후 한국병원건축 병동부의 변화

        유영민 ( Yu Young Min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16 의료·복지 건축 Vol.22 No.4

        Purpose: This paper aim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ard plan of Korean hospital architecture constructed in each periods and identify the change since 1945. Method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while ward plans for analysis were sellected. And then the important points of ward design were analyzed in each periods. Results: The important points of ward design - type of corridor in ward plan, number of beds per nursing unit, location of nurse station, organization of multi-bed rooms, location of patient toilet, number of day room, concentration and separation of elevator halls for patient and general- were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were identified in each periods. Implications: This paper could be a basic data for arranging the history of hospital architecture in Korea

      • [논문] 로스앤젤레스의 한인음악, 코리안 아메리칸 정체성 만들어가기

        유영민(Yu Youngmin) 낭만음악사 2005 낭만음악 Vol.- No.69

        이 글은 로스앤젤레스에서 연주되는 한국음악을 세 가지 범주에서 살펴본다. 미국 안에서 한국적인 것을 보여주기 위해 연주되는 전통음악이 그 첫째이고, 원거리 민족주의를 표현하기 위해 연주되는 풍물이 둘째이며, 마지막은 코리안 아메리칸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연주되는 풍물이다. 이러한 세 가지 종류의 한국음악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문화는 그 나라의 영역을 벗어나는 “탈영토화”의 과정을 겪을 뿐만 아니라 디아스포라 공동체 안에서 “재영토화”되는 과정도 겪는다는 것을 이 글은 지적하고 있다. 말하자면, 디아스포라는 “탈영토화”와 “재영토화”의 과정에서 새로운 지역 공동체를 규정하는 정치적 투쟁의 한 징표이며, 그 과정에서 음악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This paper explores Korean music performed in Los Angeles in three categories: traditional Korean music to showcase Koreanness in the US, p’ungmul to perform long-distance nationalism, and p’ungmul to construct Korean American identity. Through investigation of these three kinds of Korean music in Los Angeles, this paper shows that culture is not only “deterritorialized” from its national boundaries but also “reterritorialized” in diasporic communities. Diaspora is a signifier of political struggle to define a new local community in the process of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where music plays a significant role.

      • KCI등재

        리추얼 사운드에서 월드뮤직으로: 이슬람 사운드의 교차와 변모

        유영민 ( Yu¸ Youngmin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이화음악논집 Vol.25 No.4

        이슬람 사회는 ‘소리 공동체’라 할 수 있다. 이슬람 국가라면 하루 다섯번 기도 시간에 어김없이 듣게 되는 이슬람 사운드, ‘아잔’ 때문이다. 이슬람 경전 ‘꾸란’도 아잔과 마찬가지로 ‘소리’로 존재한다. 눈으로 읽지 않고 반드시 음률을 붙여 낭송해야 한다. 하지만, 이슬람은 아잔도 꾸란도 ‘음악’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어떤 세속적인 목적을 위해서도 사용할 수 없는 ‘신성한 소리’이기 때문이다. 반면, ‘세속적인 소리’인 음악은 흔히 이슬람 의식에서 금지된다. 신에게서 멀어지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과의 합일을 위해 오히려 음악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이슬람 교단이 있다. 이슬람 신비주의라 일컫는 수피 교단이다. 1980-1990년대 ‘월드뮤직’의 유행과 함께 서구권에서도 수피 음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특히, 터키 ‘메블레비’의 세마 리추얼과 남아시아의 ‘카왈리’가 글로벌 청중을 사로잡았다. 메블레비는 일찍이 17세기부터 ‘훨링 더비쉬’라는 이름으로 유럽에 알려져 있던 수피 교단이었다. 이들의 세마 리추얼은 빙글빙글 도는 ‘훨링’으로 각인되어 있었으나, 월드뮤직의 흐름을 타고 리추얼 음악도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반면, 카왈리는 수피 성지(聖地)에서 무슬림 청중을 대상으로 연주되던 대중적인 종교음악이었는데, 누스랏 파테 알리 칸이라는 걸출한 보컬의 등장과 함께 월드뮤직 안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메블레비 세마와 카왈리 음악은 이슬람의 특성을 간직하면서도 다양한 음악들과 교차하며 이슬람의 소리풍경을 변화시켰다. 아잔으로 대표되는 정통 이슬람 사운드와는 분명 상반된 면모라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메블레비 세마와 카왈리를 중심으로 이슬람 소리풍경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잔이 여전히 이슬람 ‘소리 공동체’에서 건재하는 가운데 수피음악이 이슬람 소리풍경의 중심으로 부상하게 된 계기, 나아가 ‘이슬람’과 ‘리추얼’의 경계를 넘어 ‘월드뮤직’이라는 이름으로 비무슬림 청중과도 소통하게 된 배경을 추적하며, 수피의 청취 방식과 그 안에서 사운드를 의미화하는 방식에 주목하고자 한다. The Islamic community can be called a “acoustic community” made of the Islamic sound, Adhan, which is “call to prayer” recited five times a day. Quran, the sacred scripture of Islam, should also be recited to be embodied as a sound. However, Adhan as well as Quranic recitation is not regarded as “music” because they are sacred sounds that should not be used for any secular purposes. In contrast, a secular sound, that is music, is prohibited in Islamic ceremonies, as it can distance people from God. It is mysticism in Islam, so-called Sufism, that is differentiated from authentic Islam, in that Sufis have enthusiastically incorporated music into their rituals to be united with God. The 1980s-1990s saw the growing interest in Sufi music with the popularity of World Music. In particular, the sema ritual of Mevlevi in Turkey, known as “Whirling Dervishes,” and the popular religious music in South Asia, known as qawwali, gained global recognition. In addition, they have transformed the Islamic soundscape through intersection with various kinds of music, while maintaining the vestige of the Islamic sound. This paper explores the way how Sufis have communicated with non-Muslims through music in the category of World Music, while illuminating the process to expand and transform the Islamic soundscape.

      • KCI등재

        재일코리안의 아리랑 여정(旅程)

        유영민 ( Yu Youngmin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0 이화음악논집 Vol.24 No.3

        남북한을 연결해주던 아리랑이 최근 코리안 디아스포라를 연결하는 매개로 떠오르고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재일코리안 음악가들이 오랜 기간 쌓아온 창조적 역량이 자리하고 있다. 이들은 <본조아리랑>을 비롯하여 한반도에서 탈영토화된 다양한 아리랑을 일본 사회 안에서 재영토화하며 ‘아리랑’의 의미도 디아스포라 맥락 안에서 재구성하는 중이다. 이에 본고는 2019년 한국에서 상영된 두 개의 아리랑 다큐멘터리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재일코리안 음악의 현재》, 《디아스포라의 노래: 아리랑로드》와 관련 음악들을 중심으로 재일코리안 음악가들의 최근 활동을 조명해보고자 한다. 다큐멘터리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에는 동명의 음악회에 참여한 재일코리안 음악가들의 목소리가 담겼다. 북한 음악 레퍼토리를 연주하면서도 재일코리안 음악은 북한 음악과 같지 않다고 말하는가 하면, 아리랑 곡조를 전혀 닮지 않은 민중가요풍의 노래를 부르면서 이것도 또 하나의 아리랑이라고 주장한다. 자신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풀어놓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본국을 지향하되 민족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디아스포라 정체성을 구축하는 발판으로 ‘아리랑’을 사용하는 사례라고 볼 수 있다. 한편, 《디아스포라의 노래》에는 재일 코리안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양방언의 아리랑 여정이 실렸다.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한국·일본의 음악가들과 함께 작업한 다채로운 버전의 <정선아리랑>이 그 중심을 이룬다. 남북이 만나고 코리안 디아스포라를 이야기할 때면 습관처럼 아리랑이 등장하곤 한다. 아리랑이 한반도와 코리안 디아스포라를 연결하고 ‘코리안’이라는 정체성을 형성하는 구심점이 된다는 사실에는 이견이 없을 것 같다. 하지만 한반도 아리랑이 <본조아리랑>만 있는 것이 아니듯, 아리랑을 바라보고 해석하는 시각도 하나일 수는 없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 재일코리안이 창출하고 있는 다채로운 아리랑의 모습은 단순히 한국의 음악문화를 풍성하게 만든다는 차원을 넘어, ‘코리안’이라는 정체성의 다층적이고 다면적인 층위를 들여다볼 수 있게 만든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Arirang, which had often connected two Koreas, recently began to take a role as a mediator to connect Korean diasporas; it is Zainichi Koreans whose creativity has contributed to it. They have deterritorialized various songs of Arirang from Korean peninsular and reterritorialized them in Japan, In addition, they have been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Arirang in the diasporic context. This paper explores how Arirang has been moved and transformed by Zainichi Koreans, analyzing the two documentaries screened in 2019 - Over the Arirang Pass - Zainichi Korean Music Today and The Song of Diaspora: Arirang Road. Over the Arirang Pass lets Zainichi Korean performers speak. A Zainichi kayakum performer insists that North Korean music they perform is different from North Korean music performed within North Korea itself. Furthermore, a Zainichi singersongwriter calls her own song “Arirang” because it tells her own story even though it sounds completely different from Arirang. On the other hand, The Song of Diaspora shows various versions of Jeongseon Arirang arranged by the Zainichi composer and pianist Yang Bang Ean. It is obvious that Arirang is a significant locus where Korea and its diasporas encounter and negotiate their identities. Arirang is not an instrument to represent one Korean identity that is given and fixed. In this context, diverse forms of Arirang created by Zainichi Koreans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can provide a path to explore diverse Korean identities, which are multilayered and multifaceted.

      • 신도림 역사(驛舍) 외부 공간 재구성을 통한 장소성 구현 및 혼잡성 감소에 대한 제안

        유영민(Yu, Young-Min),구영민(Koo, Young-Min) 대한건축학회 201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7 No.2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green space plaza to accommodate the nature of the Dorimcheon in Nambu Station Square and link it with the transit area. We also attempt to improve the Shindorim Station, which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conditions, and to correct the historical and regional imbalances that cause the separat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solve the problems of congestion of the station and to realize the sense of place that reflects the environment and history.

      • KCI등재

        민족주의에서 제국주의로: 일본근대음악교육과 메이지(明治) 이데올로기

        유영민 ( Young Min Yu ) 민족음악학회 2012 음악과 민족 Vol.44 No.-

        This paper explores Janus faces of Japanese nationalism by examining the Japanese education system of Western music during the Meiji period (1868-1912). Japanese nationalism in the Meiji era started to fight against Western powers, while emulating Western powers through radical modernization, that is, Westernization. The Meiji government reformed the Japanese educational system in 1872 and included shoka(school songs) in the school curriculum, which is the beginning of modern music education in Japan. Shoka played a significant role not only as a vehicle of modernization of Japanese culture, but also as a tool of Meiji nationalism. in particular, as a number of shoka were created and sung to worship the emperor, shoka inspired the sense of meiji nationalism centered on the emperor. However, Japanese nationalism had originally hidden another face of imperialism since the early Meiji period, which was clearly revealed during the Sino-Japanese War(1894-95). Around the time, innumerable number of military songs were composed and became popular among Japanese people. Shoka was a performative tool for Meiji nationalism and imperialism.

      • KCI등재후보

        경계를 넘나드는 디아스포라 정체성과 음악 자이니치 코리안의 음악을 중심으로

        유영민 ( Young Min Yu ) 한국음악학학회 2011 음악학 Vol.19 No.1

        This paper explores diasporic identities through the music of Zainichi (Japan-resident) Koreans. First generation Zainichi Koreans were forcibly brought to Jap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divided into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s in Japan. Nevertheless, they have differentiated themselves from so-called newcomers who moved to Japan from South Korea after the division of Korea, especially after the 1980s. Zainich Koreans have embraced the legacy of colonialism and Korea`s division, crossing multiple boundaries and performing diasporic identities through their music. The music of Zainichi Koreans performing diasporic identities can be examined in the light of long-distance nationalism and hybridity. Long-distance nationalism tends to use the music of homeland to emphasize differences, while hybridity is the very locus where multiple attachments are integrated into diasporic identities. Both long-distance nationalism and hybridity lead to the dynamics of identities. This paper aims to illustrate the dynamics of diasporic identities reflected in their musical performances.

      • 디아스포라 음악과 정체성

        유영민(Youngmin Yu) 낭만음악사 2009 낭만음악 Vol.21 No.4

        이 논문은 재일조선인의 음악 연구를 통해 디아스포라 음악과 디아스포라 정체성의 형성과정을 살펴본 글이다. 디아스포라 문화는 본국에서 탈영토화되어 거주국에서 재영토화되는 과정을 겪기 때문에 흔히 다면적인 연결고리를 갖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대부분의 재일조선인들은 남한에 고향을 두고 있으면서도 정치적인 신념으로 북한을 조국으로 선택한 사람들이니 만큼, 북한과의 강한 연계를 유지하면서 북한의 민족음악으로 재일조선인의 정체성을 일본 사회 안에서 구현해왔다. 이렇게 탈영토화된 북한 음악은 최근 사회적, 정치적 변화 안에서 재영토화 과정도 겪고 있다. 이 글은 재일조선인 음악의 탈영토화와 재영토화 과정, 그리고 그 안에서 만들어진 디아스포라 정체성의 다면적인 연결고리를 본국과 거주국과의 관계 안에서 들여다본다. This study explores the music of North Koreans in Japan in the light of diasporic identities that are characterized by multiple attachments. Diasporic cultures are deterritorialized from home countries and reterritorialized in host countries. Most North Koreans in Japan originat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However, when Korea was divided in 1945, they chose North Korean nationality according to their political affiliation. Since then, they have maintained strong ties with North Korea, while showcasing North Korean “national” music within Japan. This deterritorialized North Korean music has also been reterritorialized, especially by recent sociopolitical changes.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de/reterritorialization of the music of North Koreans in Japan and their multiple identities embodied in musical perform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