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ive Demand Lifting through Pre-Launch Movie Marketing Activities

        유시진,송태호,이장혁 한국마케팅학회 2016 ASIA MARKETING JOURNAL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empirically how to balance advertising expenditure before and after launch with regard to the direction of word of mouth in the motion picture industry. The vector auto-regression model is applied to assess the dynamic impact of advertising and word of mouth on sales. Empirical data, including advertising, word of mouth, and sales (the number of entries) of 83 movies are used for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for a movie having more positive word of mouth in the pre- and post-launch periods, it is worthwhile to spend the advertising budget in the pre-launch period only and to spare it in post-launch period. However, it is worthwhile to spare the advertising budget in the pre-launch period for movies having less positive word of mouth before and after launch, and to concentrate spending in post-launch period instead. Mangers who handle products and services facing shortened lifecycles, such as games, eBooks, and digital music contents, need to check the quality of pre-launch word of mouth for their advertising budget decisions in the pre- and post-launch periods and spend more of the advertising budget in the post- (pre-) launch period if pre-launch word of mouth is negative (positive). For products and services with a shortened lifecycle, it is recommended to spend more of the advertising budget in the post- (pre-) launch period if pre-launch word of mouth is negative (positive).

      • KCI등재

        광고 변동성은 기업 가치와 관련성이 있는가? 한국 기업에 대한 실증분석

        박지미,유시진,박대윤,이은영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6

        Marketing-Finance interface has long been an important issue in marketing academia. Among various marketing tools, advertising has been found to be one of the key marketing elements that show the firm value relevance. For example,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ceteris paribus, the level of advertising investment and firm value are positively related. However, the literature is relatively sil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atility of advertising and firm value though firms inadvertently or strategically spend different levels of advertising budget over time. This study examines the value relevance of advertising volatility by investigating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volatility and firm value (i.e., main effects), an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level and volatility of advertising in increasing firm value (i.e., moderating effects). Based on the Ohlson (1995) model with 10 years of data archives from the Korean Stock Exchange market, we found that advertising volatility h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firm value. Moreover, the negative moderating effects of advertising volat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dvertising and firm value are found, which confirms the enhanced firm value due to advertising investments decreases with high advertising volatility. This research is the first attemp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volatility and firm value. In doing so, we also developed a standardized index to appropriately measure the temporal fluctuation of advertising, which can be applied to other studies regarding the volatility of marketing variables. In addition, this study can provide marketing managers with useful guidelines in strategically determining advertising investment schedules 마케팅 투자와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이미 마케팅 분야의 중요 연구 관심사이다. 광고 투자는 마케팅 투자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따라서 광고투자와 기업성과 혹은 기업가치와의 관계를 다룬 연구도 많이 존재하고 있다. 광고는 매출과 이익을 증가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기업가치를 제고시키기도 하지만, 투자자에 대한 직접적인 투자 시그널로 작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환경적 혹은 전략적 이유로 광고투자의 수준에 있어 시간적인 변동성이 존재할 경우 이것이 기업가치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Ohlson 모형(1995)을 토대로 기업가치를 설명하는 주요 독립변인인 회계적 변수(장부가치 및 초과이익) 외에 광고 투입 수준과 변동성, 그리고 두 변수간의 상호작용이 직접적인 투자 지표로 인식될 수 있음을 보였다. 한국의 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2000년 이후 10년 동안의 시계열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광고투자의 변동성은 기업가치와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고투자 수준과 기업가치간의 관계에 대한 광고 변동성의 조절효과 역시 음(-)의 방향으로 나타나 광고의 기업가치 증진효과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처음으로 시간에 따른 광고투자의 변동성과 기업가치와의 관계를 다루었다는 점과, 이 과정에서 변동성의 정도를 적절하게 반영하기 위해 표준화된 측정지수를 개발한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마케팅 실무자들에게는 전략적인 광고 투자 집행과 관련된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기업의 고객 획득 지향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산업포화도와 시장점유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혜련,유시진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10 專門經營人硏究 Vol.13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firm's customer acquisition focus on existing customers' repeat purchase intention that in turn affects the firm's customer equity. We particularly pay attention to the moderating roles of an industry characteristic (i.e., industry saturation) and a firm characteristic (i.e., market share). Our study confirms that the negative impact of customer acquisition focus on price (un)fairness and retention rate is moderated by the magnitude of industry saturation and market share. Since this negative impact may deteriorate the long-term firm value, managers should implement a balanced marketing focus between new customer acquisition and existing customer retention. Manageri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agenda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다중투표 시스템이 고객 참여에 미치는 영향

        조아현,유시진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23 서비스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최근 새로운 고객 참여방식으로 자리매김한 고객 투표를 통한 마케팅 의사결정 방식에 주목하였다. 이는 서비스산업에서도 중요한 고객 임파워먼트 전략(Customer Empowerment Strategy, CES)의 하나인 선택형 임파워먼트 형태라고 할수 있다. 선택형 임파워먼트 중 투표방식의 장단점에 국한되어 있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최종안이 선정되는상황을 상정하고, 고객이 하나의 후보에 투표하는 단수투표 시스템과 복수의 후보에 투표하는 다중투표 시스템 간의 차이를 고객의지속적 투표 참여 의사와 투표 참여 행태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투표 시스템 간의 차이를 만드는 요인을 투표 결과의불확실성으로 보고 그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가설의 검증을 위해 사람과 상품을 대상으로 투표를 하는 두 개의 실험을진행하였으며, 다중선형회귀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품 투표의 경우 다중투표 시스템은 고객 참여의사와 전략적 투표 행태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람에 대한 투표의 경우 전략적 투표 행태에만 유의한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확실성은 다중투표 시스템의 효과를 매개하지 않아 간접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는 학술적으로 선택형 임파워먼트를 세분화시킴으로써 향후 연구에서 고객 참여 방식을 구체화 했다는 점과 실무적으로기업의 투표 시스템 선택에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기여점이 있다.

      • KCI등재

        Are More Followers Always Better?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Followers and User Engagement on Seeded Marketing Campaigns in Instagram

        Moon Suyoung,유시진 한국마케팅학회 2022 ASIA MARKETING JOURNAL Vol.24 No.2

        Seeded marketing campaign (SMC) is a newly created type of marketing activities with the widespread use of social media. Previous research has examined to find out the optimal seeding strategy that yields the best outcome from the campaign. This research explo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eded influencer and user engagement. The data consists of information from 1062 seeded Instagram posts posted in September 2020 in Korea and 778 seeded influencers who posted those contents. Analyzed by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our quadratic model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engagement and the number of followers of the seeded influencer draws an inverted U-shape, indicating influencers with greater number of followers may not always be the best choice for the marketers. Moreover,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negative marginal impact coming from the huge number of followers can be attenuated when the influencer is an expert of the seeded product.

      •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 멕시코 망자의 날(Día de los Muertos)을 중심으로 -

        정선진(Jeong, Seonjin),유시진(Yu, Sijin),이다혜(Lee, Dahye),임유경(Lim, Yukyeong),김지영(Kim, Jiyoung)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19 생활과학연구논총 Vol.23 No.3

        This study analyzes cultural and symbolic values and develops fashionable cultural products focused on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Day of the Dead, in Mexico. The background research was a literature review using Internet material such as UNESCO s official website and Mexico s Tourism Bureau. Day of the Dead belongs to the social consciousness festival sector among UNESCO 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ts cultural value is evident as a world view linking life and death, a festive rite based on a positive impression of death, hybridity of the traditional faith and Catholicism, and visual traditional of artistic value. This study was designed in response to the cultural peculiarity of Mexico, which embraced death in a positive way. The design was developed using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contained in offerings, marigolds, and skulls, which are representative symbols of Day of the Dead. Motives were developed using Illustrator CS2, and the result of the final fashion items were expressed in 3D using Photoshop CS2 and TexPro V11 programs. Patterns were expressed in unique and elegant ways through zentangle techniques and splendid colors such as green, navy, mustard, and purple with deep and strong tones. After eight patterns were developed, twenty-four designs were developed by applying them to four items: socks, clutches, sneakers, and T-shirt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the world can be a driving force for creating new and novel ideas in the field of design.

      • KCI등재

        광고 투자의 전략적 지향성은 광고의 기업성과 및 기업가치 증대효과를 조절하는가? 재무제표 자료를 통한 실증분석

        박대윤(Dae Yun Park),유시진(Shi Jin Yoo) 한국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연구 Vol.27 No.1

        기업의 목표에 부합하는 적절한 전략적 지향성(strategic orientation)의 선택은 기업이 우수한 고객가치를 창출하고 더 나은 경영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표가 되어 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배경으로 그간학계에서는 전략적 지향성을 다양한 차원으로 접근하여 활발히 연구해 왔는데, 공통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기업내 특정부서의 특정인으로부터 수집한 정보에 의존하여 기업의 전략적 지향성을 측정하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설문 방식에 의존하는 기존 연구들의 전략적 지향성 측정에 대하여 응답자의 자기보고 편의나 의사- 행동간 불일치가능성에 따른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문제를 제기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설문 방식 기반의 전략적 지향성 측정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계량경제학적인 접근법으로 재무제표와 같은 2차 자료를 사용하여 기업의 전략적 지향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2차 자료를 활용한 전략적 지향성의 측정은 설문 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설문 방식 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반복 측정이 수월하므로 이력관리가 용이한 장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첫째, 2차 자료를 이용하여 각 기업의 전략적 지향성을 측정하여 기업마다 추구하는 전략적 지향성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다르게 나타난다면 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기업 특성 또는 산업 특성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둘째, 기업이 어떠한 전략적 지향성을 추구하느냐에 따라 마케팅 투자가 기업성과 또는 기업가치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마케팅 투입과 마케팅 투입에 반영된 전략적 지향성 간에 상호작용이 있다면, 기업이 마케팅 투자를 함에 있어 어떠한 전략적 지향성을 추구했을 때 더 효과적으로 기업성과 또는 기업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는가를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마케팅 투자와 관련된 핵심적인 의사결정 사항 중 하나인 광고 투자 의사결정 상황에 반영될 수 있는 기업의 전략적 지향성을 기업 지향성(company orientation), 경쟁 지향성(competitor orientation), 그리고 성과 지향성(performance orientation)의 차원으로 정의하고, 2차 자료를 이용한 전략적 지향성의 측정을 시도하였다. 여기에서 기업 지향성이란 현재의 광고 투자 규모를 결정함에 있어 과거의 기업 행동 즉, 해당기업이 과거에 어느 정도의 광고비를 투입했는가에 가중치를 크게 두어 현재의 광고 투입량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경쟁 지향성이란 경쟁자의 광고량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자사의 광고 투입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성과 지향성이란 기업이 광고 투자를 결정하는데 있어 시장에서의 성과에 기반하여 현재의 광고투자 규모를 결정하는 것을 뜻한다. 실증분석은 50개 산업의 127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다변량 시계열 분석에 기반을 둔 예측오차 분 산분해(Forecasting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FEVD) 기법을 이용하여 기업별 전략적 지향성을 측 정하였다. 그 결과, 표본 기업 127개 중 기업 지향적인 기업은 76개(60%), 경쟁 지향적인 기업은 27개(21%), 그리고 성과 지향적인 기업은 24개(19%)로 나타났으며, 서비스업 보다는 제조업이, 제조업 내에서는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소비재 보다는 산업재 기업들이 더 기업 지향적인 광고 투자 의사 결정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127개 표본 기업의 경우 과거에 투입한 광고량에 준하여 현재의 광고량을 결정하는 기 업 지향적인 의사결정이 지배적임을 보여준다. 2차 자료를 이용한 기업별 전략적 지향성의 측정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광고 투자 의사결정에 나타난 전략적 지향성의 차이가 광고의 기업성과 또는 기업가치에의 효과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여 전략적 지향성이 마케팅 활동의 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가를 고찰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광고에 의한 매출과 기업가치 효과는 기업 지향적 혹은 성과 지향적인 기업보다 경쟁 지향적인 기업이 광고 투자 의사결정을 할 때 가장 크고, 광고에 의한 수익 효과는 성과 지향적인 기업이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마케팅 투자시 기업의 목표가 무엇이냐에 따라 기업의 의사결정 방식이 달라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경 쟁 지향적인 광고 투자 의사결정이 기업 지향적 혹은 성과 지향적인 의사결정에 비하여 매출액과 기업가치에 특 히 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기존의 연구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경쟁 지향적인 태도가 기업의 지 속가능 경영에 반드시 부정적(Armstrong and Collopy 1996)이라고만은 할 수 없음을 설명해 준다. 또한, 타 사와의 경쟁적 광고는 자사의 광고효과를 잠식하는 부정적인 교차효과 보다는 시너지를 통해 시장의 크기를 확대 하는 긍정적인 교차효과가 크게 나타나며, 투자자들에게는 기업의 재무적 건전성 혹은 시장의 활성화 정도를 평 가하는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The concept of strategic orientation has been examined as a direction or a tendency in formulating a firm`s strategy which leads superior business performance and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e.g., Gatignon and Xuereb 1997). Scholars have investigated various dimensions of strategic orientation such as product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innovation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mong others. However, the measurement of strategic orientation has been criticized by some researchers (e.g., Raaij and Stoelhorst 2008) in the sense that most of the literature relies on self reports by a single informant in a strategic business unit. Although this survey method is useful as a diagnostic tool, it may suffer from some limitations such as a self-report bias or inconsistency between intention and behavior. In addition using the survey method, analysts have difficulty in repeatedly measuring various firms` strategic orientation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c orientations and other business performance such as profit. We attempt to measure the firm`s strategic orientation - appeared in marketing decisions in particular - by an econometric model based on publicly-available secondary data from financial statements of the firm. Our proposed approach has some advantages to measure a firm`s strategic orientation. First of all, it does not rely on a specific informant`s (mostly subjective) assessment to measure the firm`s strategic orientation. Furthermore, we are able to repeatedly measure a firm`s strategic orientation with less cost and time due to periodical announcement of financial statements of the firm. Our study seeks to answer three research questions: (1) how can we measure a firm`s strategic orientation with non-proprietary financial data? (2) do firms show different strategic orientations in advertising investment decision? and (3) do different types of strategic orientation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ement and firm performance or firm value? A firm`s strategic orientation in advertising investment decision can be classified into 1) company orientation, 2) competitor orientation, and 3) performance orientation. Firms with company orientation tend to decide the amount of their advertisements based on their own past advertisements. Competitor oriented firms tend to make their advertisement investment decision based on competitors` advertisement. Performance orientation refers to the case that the firm`s current amount of advertising investment is affected by its past sales performance. We analyzed 127 companies listed in Korean stock exchange market across 50 industries during 10 years (i.e., 2000-2009) to measure the strategic orientations for each firm. Using forecast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FEVD) derived from an econometric time-series model, we show that 60% of sample firms have company orientation as a dominant strategic orientation. In the second-stage analysis using a regression model, we find that strategic orientation plays a significant moder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ement and both firm performance (e.g., sales and profit) and firm value (e.g., Market-to-book value). More specifically, we find that competitor oriented firms show the highest advertising effects on sales and firm value, while performance oriented firm has the highest effects on profit. This result indicates that competitor orientation in advertising investment decision not only expands the firm`s market size by a synergistic effect but also makes investors to more positively evaluate the firm value. In conclusion, thes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a firm`s strategic orientation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with respect to the firm`s objective.

      • KCI등재

        한국중소기업의 신제품 개발과 마케팅 과제

        홍진환(Jin Hwan Hong),유시진(Shi Jin Yoo),송공석(Kong Seok Song) 한국경영학회 2008 Korea Business Review Vol.12 No.2

        무한경쟁 시대를 맞이하여 신제품 개발의 중요성은 점점 높아지고 있지만, 신제품 개발 조직 및 마케팅 전략의 수립 체계가 잘 갖추어져 있지 못한 중소기업의 신제품 개발 및 마케팅 과정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사례의 대상 기업인 와토스코리아는 1973년에 설립되어 세면기나 양변기 등에 들어가는 욕실 부속품을 생산하는 전문 기업으로서, 기존 제품의 국내 시장 성장 한계와 전방 산업인 건설 경기의 영향을 피해 회사가 한 단계 성장하기 위해서 소비재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본 사례는 와토스코리아가 개발한 신제품인 구강세정제품 '투스케어'의 개발 및 마케팅 계획 수립에 관한 교육용 사례로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차이, 신제품의 마케팅 전략 수립, 산업재 마케팅에서 소비재 마케팅으로의 전환 및 신제품 개발이 기업의 장기 전략에 미치는 영향 등을 논의하고 있다. New product development (NP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arketing activities in the age of limitless competition.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f NPD for small & medium enterprises (SMEs) that usually do not have an organized NPD process and a detailed marketing plan for the new product. Watos Corea, founded in 1973 and manufacturing various parts for bathroom products, plans to advance in consumer market to overcome the saturation of domestic market in existing products and the declining business cycle of construction industry. This case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and marketing plan of 'Toothcare', a new consumer product of Watos, and covers several topics such as a real SME's NPD process, the marketing mix strategies for the new product, the conversion from industrial marketing to consumer marketing, and the impact of NPD on the company's long term growth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