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감기반학습을 적용한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이 학교생활 공감과 학업참여에 미치는 효과

        이준(June Lee),유숙경(Suk-kyung You),이윤옥(Yun- Ou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본 연구는 이준, 유숙경, 이윤옥(2014)의 공감기반학습을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학년 2 개 학급을 선정한 후 실험집단(25명)에는 국어수업에서 공감기반학습을 적용하였으 며, 통제집단(25명)에는 전통적인 국어 수업을 진행하였다. 공감기반학습을 적용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학교생활 공감척도, 학업참여척도였으며, 수집된 양적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 공분산분석 (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분석도 하였다. 그 결과 공감기반학습을 적용한 국어수업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공감과 학업참여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교사의 면담조사와 학생들 소감문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공감기반학습은 학습이해, 수업집중, 의사소통, 대인관계 증진 등에도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감기반학습을 다른 교과목과 다른 학년에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여 공감기반학습의 확대 적용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mpathy Based Learning(EBL) model developed by Lee, You, and Lee(2014) by applying it to a elementary Korean class. Fifty 5th graders(25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25 for the control group)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ose for the experiment group were given to the Korean class with EBL, and those for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to the usual Korean class. As measuring instruments to test the effect of class with EBL, school life empathy, academic engagement, and class satisfaction indicators were used. Al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ANCOVA. The result showed that the class with EBL was more effective for the increase of students school life empathy and academic than the usual one. This research proves that EBL has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Korean education. Also, it is necessary that EBL should be applied to other subjects and different year of students to see its general effectiveness.

      • KCI등재

        초·중학생의 『학교생활 공감척도』개발 및 타당화

        이 준(June Lee),유숙경(Suk Kyung You),이윤옥(Yun Ou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학생이 학교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학교생활 공 감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감측정도구 관 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도구 개발에 필요한 문항을 도출한 후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예비문항 30개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예비검사와 본 검사를 실시하여 도구에 대한 타당화 검증을 하였다. 예비검사는 서울, 경기, 인천지역 초등학교 5학 년∼중학교 3학년 76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4개요인, 22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본 검사는 예비검사 결과에서 추출한 22개 문항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65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친구관계에 대한 인지적 공감(9문항)’, ‘친구관계에 대한 정서적 공감(4문항)’, ‘교사관계에 대한 인지 적 공감(5문항)’, ‘교사관계에 대한 정서적 공감(4문항)’ 등 4개 요인으로 구성된 최 종 측정도구가 개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CFI, TLI, GFI RMSEA 등의 지수 값이 모두 권장수용 수준 이상으로 나타나 학교생활 공감을 측정하는데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준거관련타당도 분석결과 학교생활 공감 척도의 하위요인들과 기본공 감도구는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생활 공감척도(School Life Empathy Scale: SLES)』가 초등학교 및 중학교 청소년에게 활용 가능한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도구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생활 공감적 환경 조성 및 발전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on empathy, it has positive effects on not only affective aspects, such as increasing pro-social behaviors, decreasing aggressiveness and social prejudice, etc., but also increasing academic achievement and improving creative thinking. In order to measure precisely how students empathetic ability changes through schoo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omprehensively various aspects which are observed at school lik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nd between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which measures empathetic competency change with the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experiences during both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classes in elementary middle school. To conduct the research, items, which are needed to develop school life empathy measurement tool suitable for elementary middle school education, were chosen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on empathetic measurement tool. After that, 30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with the use of delphi method twice. The preliminary survey were conducted to validate these items and 764 subjects were participated. They were the fifth and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 Incheon.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4 factors(cognitive empathy for relationship with friends, affective empathy for relationship with friends, cognitive empathy for relationship with teachers, affective empathy for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22 items were confirmed. To validate a composed tool, 653 elementary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main survey.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goodness-of-fit acceptance criterion was satisfactory. This research has drawn meaningful results in terms of suggesting valid and reliable school life empathy measurement tool which can be useful in elementary middle schools. Furthermore, it can play an important role as basic research data for creating and developing empathetic atmosphere for school life.

      • KCI등재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도덕과 수업의 효과 분석

        이준(June Lee),유숙경(Suk kyung You),이윤옥(Yun Ou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이준, 유숙경, 이윤옥(2014)이 개발한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중학교 도 덕과목 수업에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코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중 학교 1학년 2개 학급 학생 44명(실험집단 22명, 통제집단 22명)을 선정한 후 실험집 단에는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적용한 도덕과목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도덕과목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적용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공감, 수업참여도 도구였으며, 수집된 양적자료는 독립표본 t 검증과 공 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의 교사와 학생이 작성한 서면 면담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도덕과목 수업에서 통제집단보다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중학생의 공감능력과 수업참여도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 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면담조사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공감기반학습이 교수-학습 의 과정은 물론 학생들의 인성함양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 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중학생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타 교과목과 다른 연령층에 도 적용하여 검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mpathy Based Learning(EBL) Model developed by Lee, Yoo, and Lee(2014) by applying it to a middle school moral class. 44 first-year students(22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22 for the control group) attending middle school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ose for the experiment group were given to the moral class with EBL, and those for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to the usual moral class. As measuring instruments to test the effect of class with EBL, empathy, self-respect, and class satisfaction indicators were used. Al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independent-samples t-test. The result shows that the class with EBL was more effective for the increase of students empathetic ability and class engagement than the usual one, but it was not effective for self-respect. This research proved that class with EBL has a positive effect on middle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Also, it is necessary that EBL should be applied to other subjects and different year of students to see its general effectiveness.

      • KCI등재

        디지털 시민성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모형 개발연구

        이준(Lee-June),유숙경(You-Suk Kyung),이윤옥(Lee-Yun Ou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디지털 시민성 증진을 위하여 초중등학교의 교과교육 및 비교과교육 전반에 걸쳐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시민성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교수학습모형을 구안하기 위하여 디지털 시민성과 관련된 선행연구 분석과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디지털 시민성 교수학습모형 시안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타당성 검증을 거쳐 본 모형이 완성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모형에서 추구하는 디지털 시민의 역량은 디지털 사회로의 사회 변화 이해력, 비판적 사고력, 공감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시민성교육을 별도의 교과나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이 아니라, 기존의 학교 교과교육 및 비교과 교육에 디지털 시민성교육을 자연스럽게 접목하는 플러그인 모형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본 모형의 교수학습과정은 ① 수업주제 관련 상황인식 및 명료화, ② 상황에 대한 정보 수집, 분석, ③ 탐구 결과의 정리, 표현, 공유, ④ 학습경험 성찰 및 내면화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학습 활동에 참여하여 디지털 시민으로서 나아가야 할 방향과 자질 등에 대해 성찰하고 실천할 수 있는 교수학습모형을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that can be applied integrally throughout K-12 education in order to promote digital citizenship requir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order to devise the model, a digital citizenship instructional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a focus group interview related to digital citizenship. The model was completed after evaluating its validity by a group of experts in the field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petencies pursued in this model were the ability to understand social changes to the digital society, critical thinking, empath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Second, this study developed from a plug-in model that converged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into the existing K-12 school curriculum, rather than an independent subject or any other special program. Third, the instructional process of the model consisted of: ① recognition and clarification of the class subject situation; ②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situation; ③ organization, expression, and sharing of the results of the inquiry; ④ reflection and internalization of the learning experi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hands-on model for K-12 learners to practice digital citizenship in their daily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