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성진,김자현,장순우,전형준,김병권,박종태 大韓産業醫學會 2008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20 No.4
목적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감정표현불능성향과의 상관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법 서울과 경기도 안산지역의 2개 대학병원에 건강검진을 위해 내원한 근로자중 생산직 근로자5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글판 Karasek 직무스트레스 설문(Korean version of the Karasek's Job Content Questionnaire JCQ)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를 평가하고 한글판 토론토 감정표현불능증 적도 설문(Korean Version of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K)으로 감정표현불능 성향을 조사하였다 개별 JCQ 척도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이분하였고 직무긴장도 (Karasek 직무 긴장모델에 의해 정신적 직무요구와 직무재량도로 직무긴장도 평가 높음/중간/낮음) 직업불안정성 (높음/낮음) 직무불만족도(높음/낮음) 3가지 척도로 직무스트레스를 평가하였다 JCQ 척도와 감정표현불능 성향(total TAS score ≥52)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보정하지 않은 비차비(crude odds ratios)와 보정비차비(adjusted odds ratios)를 계산하였다 결과 보정하지 않은 비차비 계산시 직무긴장도가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crude OR 3.05 95% CI 1.35-6.87)에서 직업불안정성이 높은 집단(2.98 1.69-5.27)에서 직무불만족도가 높은 집단(2.93 1.69-5.09)에서 감정표현불능 성향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다중로지스틱회귀모형에 의한 보정비차비 계산시 직무긴장도가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adjusted OR 2.26 95% CI 0.93-5.44)에서 감정표현불능 성향이 크게 나타났으나 유의하지는 않았고 직업불안정성이 높은 집단(2.26 1.21-4.22)에서 직무불만족도가 높은 집단(1.99 1.06-3.74)에서 감정표현불능 성향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직무스트레스와 감정표현불능 성향 사이에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W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alexithymic traits in Korean workers Methods Workers(n=521) who visited two university hospitals for medical check-up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Job stress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Karasek's Job Content Questionnaire(JCQ) and alexithymic traits were assess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Toronto Alexithymia Scale(TAS-20K) Crude and adjusted odds ratios(ORs) of job stress scales (job strain, job insecurity and job dissatisfaction) with alexithymic traits(total TAS score ≥ 52) were calculated Results High job strain compared with low strain had a high but insignificant association with alexithymic traits(adjusted OR, 2.26 95% CI, 0.93-5.44) High job insecurity(adjusted OR 2.26, 95% CI 1.21-4.22) and high job dissatisfaction (adjusted OR 1.99 95% CI 1.06-3.74) ha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alexithymic trait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job stress is associated with alexithymic traits in workers.
시민 예측(Citizen Forecasting)으로 본 2024 미국 대선 전망
유성진,박범섭 한국아메리카학회 2024 미국학논집 Vol.56 No.2
이 연구는 2024년 미국 대선을 앞두고 시민 예측(Citizen Forecasting) 모델의 유효성과 정확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민 예측 모델은 전통적인 여론조사보다 더 포괄적이고 다차원적인 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강점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집단적 판단의 정확성을 활용하여 선거 결과를 예측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 본 연구는 시민 예측 모델이 미국 대선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평가하고, 전통적인 투표 의향 모델과 비교하여 그 장점과 한계를 분석한다. 또한, 제3의 후보 등장과 같은 예기치 못한 정치적 변수들이 선거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시민 예측 모델의 유연성과 적용 가능성을 논의한다. 이를 통해 시민 예측 모델이 선거 예측에서 가지는 잠재적 가치를 학술적으로 고찰한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accuracy of the Citizen Forecasting model in the context of the 2024 U.S. presidential election. The Citizen Forecasting model has the advantage of reflecting more comprehensive and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compared to traditional polling methods and has established itself as a useful tool for predicting election outcomes by leveraging the accuracy of collective judgment. This study empirically assesses how effectively the Citizen Forecasting model can be applied to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and analyzes its strengths and limitations in comparison to traditional vote intention models. Additionally, the study discusses the flexi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Citizen Forecasting model by considering the impact of unexpected political variables, such as the emergence of a third candidate, on election outcomes.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academically examines the potential value of the Citizen Forecasting model in election forecasting.
유성진,채영수,김종국,윤원섭 한국지반공학회 2007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23 No.12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서·남해안의 해성점토를 대상으로 대형블럭시료와 피스톤 시료를 채취하여 시료교란도 평가와 다양한 압밀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들 시료에 대하여 시료교란도 분석과 다양한 압밀시험결과를 토대로 압축특성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대형블럭시료는 압밀시험으로 결정한 선행압밀하중까지의 체적변형률이 피스톤 시료보다 더 낮으며, 대형블럭시료에서 얻은 압축지수는 피스톤시료의 압축지수에 비하여 더 크게 나타났다. 샘플링 방법에 따른 압축지수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새로운 압축지수 추정식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압축지수 제안식을 이용하여 압밀침하량을 추정한다면, 관행적으로 피스톤 샘플로부터 압축특성을 결정하는 경우보다 더 합리적으로 침하량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Simple Fuzzy-approximation-based Adaptive Control of Uncertain Unmanned Helicopters
유성진,최윤호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Vol.14 No.1
This paper presents a simple adaptive approximation design for attitude and altitude control of uncertainhelicopters with actuator dynamics. Multi-input multi-output nonlinear helicopter dynamics with model uncertaintiesand external disturbances are considered. Although uncertain nonlinearities and disturbances unmatched in thecontrol input exist in the nonlinear dynamics, single fuzzy approximator (SFA) is only employed to estimate theireffects in the proposed backstepping control design at the last step. Compared with the existing literature using thebackstepping technique in the presence of unknown nonlinearities, function approximators in virtual controllers arenot used and thus their derivatives are not required to design an actual controller. An unknown functions includingall model uncertainties and the bounds of the external disturbances are lumped by the recursive and systematicdesign procedure at the last design step. Then, an actual control law using SFA is designed and is only used to implementthe proposed controller, without any calculations of virtual controllers including function approximators. Therefore, the proposed control system is simpler than the existing backstepping control systems for unmannedhelicopters. The stability of the controlled closed-loop system is established through rigorous Lyapunov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