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기업구성원의 컨벤션 참가와 직무성과간의 영향연구

        유명희 대한관광경영학회 2007 觀光硏究 Vol.22 No.3

        본 연구는 기업구성원의 컨벤션 참가로 인한 동기부여적 자아개념과 능력이 직무성과 선행요인(직무관여와 조직몰입), 직무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여 컨벤션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결과, 기업구성원의 컨벤션 참가로 인해 발생한 동기부여적 자아개념요인(집합적 자아, 개인적 자아, 관계적 자아)과 능력요인(직무수행능력, 가치윤리고려, 지식기술의 보유·발휘)은 직무성과 선행요인(직무관여와 조직몰입),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직무성과 선행요인(직무관여와 조직몰입: 직무중요성, 직무일체감, 직무관심정도,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도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증분석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론연구를 통해 기업구성원의 컨벤션 참가이유 및 가치를 동기부여적 자아개념 형성과 능력향상으로 보았고, 동기부여적 자아개념과 능력의 명확화를 통해 직무성과 선행요인(직무관여와 조직몰입), 직무성과의 관계를 분명히 하였다. 둘째, 실증분석을 통해 기업구성원의 컨벤션 참가이유 및 가치가 동기부여적 자아개념 형성과 능력향상임을 확인했고 이는 직무성과 선행요인(직무관여와 조직몰입),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동기부여적 자아개념 및 능력은 직무관여와 조직몰입이 직무성과 선행요인으로 작용했을 때 직무성과에 더 많은 영향을 끼쳐 직무성과 선행요인(직무관여와 조직몰입)이 매개변수로서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case analysis that the motivational concept of self and ability formed from convention have affected the job involv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because several companies have been held convention to their employee, sales-persons and distributors as the one of a means of profit seeking and social estimate.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all three factors of motivational concept of self(group efficacy, self efficacy and identification with the leader) formed from convention have affected the job involv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and all three factors of ability (ability of job execution, consideration of value & moral principal , retention & manifestation of information & skill) formed from convention have affected the job involv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And all five factors(job importance, job interest, job unification, emotiv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of the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med from convention have affected job performance.

      • 단백질의 구조 전환과 기능 조절

        유명희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1 전기전자재료 Vol.14 No.12

        In common globular proteins, the native form is n its most stable state. However, the native form of inhibitory serpins (serine protease inhibitors) and some viral membrane fusion proteins is in a metastable state. Metastability in these proteins is critical to their biological functions. Our previous studies revealed that unusual interactions, such as side-chain overpacking, buried polar groups, surface hydrophobic pockets, ad internal cavities are the structural basis of the native metastability. To understand the mechanism by which these structural defects regulate protein functions, cavity-filling mutations of $\alpha$1-antitrypsin, a prototype serpin, were characterized. Increasing conformational stability is correlated with decreasing inhibitory activity. Moreover, the activity loss appears to correlate with the decrease in the rate of the conformational switch during complex formation with a target protease. We also increased the stability of $\alpha$1-antitrypsin greatly via combining various stabilizing single amino acid substitutions that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molecule. The results showed that a substantial increase of stability, over 13 kcal/mol, affected the inhibitory activity with a correlation of 11% activity loss per kcal/mol. Th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the native metastability of proteins is indeed a structural design that regulates protein functions and that the native strain of $\alpha$1-antitrypsin distributed throughout the molecule regulates the inhibitory function in a concerted manner.

      • KCI등재

        홍천 지역의 지리적 조건과 민요권역 고찰

        유명희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3

        강원도 홍천 지역은 강원도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어 강원도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홍천군은 가로로 긴 장방형 모양으로 서쪽 끝은 경기도와 인접하고 동쪽끝은 강릉시와 인접해 있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홍천 지역에는 다양한 문화가 나타나고 있다. 홍천강 유역으로는 경기 지역의 문화가 유입되기 쉬웠고 산간 지역은 백두대간의 영향권으로 서쪽 지역과 백두대간 넘어 동해안 지역과 소통이 쉽지 않았다. <논매는소리>는 민요 중에서 권역 구분의 지표적 역할을 하는 민요이다. 홍천 지역 중 내면을 중심으로 한 산 간 지역의 <논매는소리>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해발고도에 따른 냉해 피해가 심각했고 이에 따라 논농사가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내면 지역과 인접한 인제 상남면에서는 역로를 통해 오래된 교통로가 있 었고 홍천군 내촌면과 같은 <방아소리>가 조사되었다. 산간지역 중 홍천강 상류 지역과 관계된 세 개의 면은 <상사소리>와 <방아소리>를 중심으로 <논매는소리>가 발달하였다. 또한 인접하고 있는 춘천시와 가평군에 서 <방아소리>가 조사되었다. 남면과 서석면을 중심으로 한 들 지역에서도 <상사소리>와 <방아소리>, <단허리>가 고르게 나타났다. 또한 이 지역은 다른 곳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입타령소리>, <어웨이소리>등의 분포지역이 협소한 <논매는소 리>도 조사되었다. <입타령소리>의 경우 남면 아래에 위치한 횡성군에서도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홍천강 유역에 속하는 지역으로 홍천강 유역이 북한강으로 합류한다는 점을 생각하여 인접한 가평군과 양평군의 <논 매는소리>와 비교하였다. 도경계임에도 강건너 마을과 소리의 선호도와 종류가 같았다. 이와 같이 홍천 지역의 민요는 인접한 지역과의 교류에 의하여 영향관계를 주고 받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서 동시에 강원도 <논매는소리>의 각축장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Hongcheon,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Gangwon province, is the center of traffic inGangwond province. Hongcheon shaped like rectangle connected into the west end of the Kyeonggi province and into the east of Gangneung city. Thanks to this geographical feature, Hongcheon shows up a wide variety of cultures. Nonmaeneun-sori The song of rice paddy, is an indication dividing folksong regions. Nonmaeneun-sori, The song of rice paddy, sung in deep mountain area near Neamyun in Hongcheon has not been developed. Instead, Sangsa-sori, the love song, and Bang-a-sori, the song of mill, are developed in three myuns located in upper part of the Hongcheon river. In field area, Sangsa-sori, the love song, and Bang-a-sori, the song of mill and danheri-sori are sung among farmers. Finally, regions near the basin of the Hongcheon river have shared Nonmaeneun-sori , The song of rice paddy with four cities aroundThrough this analysis, folksongs in Hongcheon has exchanged folksong cultures with other regions. At the same time, it became a strongnhold of Nonmaeneun-sori, The song of rice paddy

      • KCI등재

        차상찬의 민요 수집과 유형 연구-開闢과 別乾坤을 중심으로-

        유명희 한국민요학회 2018 한국민요학 Vol.54 No.-

        Cha Sang Chan, a journalist, historian, writer and folklorist who is considered to be a forefather of a modern magazine. Despite his surprising achievement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him and folklore and folksongs he loved. Cha Sang Chan’s 「Collection of Joseon Folksong」is categorized by provinces; Gyeongsangbuk-do, Gyeongsangnam-do, Jeolla-do, Gangwon-do, Pyeongahnbuk-do, Hamkyeong-do, and Chungcheong-do.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folksong, 「Collection of Joseon Folksong」is made up of narrative folksongs. It does not contain many different functional folksongs. Among theses narrative folksong, is a <Saseung Norae> which is listed in 「Collection of Joseon Folksong」, 「Gebyeok」 and 「Beolgeungon」 This song, a kind of spinning song which is handed down in Gyeongsangbuk-do shows the tiredness of overnight working and unfair lawsuit. The reason Cha Sang Chan selected these kinds of narrative songs is that the songs contain ancestor’s heritage and traditions, which in turn, demonstrates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spirit. All the narrators of the songs in 「Gebyeok」 suffer from a hardship of life; A woman who worked spinning overnight but came home empty-handed; cow which has a nose ring and plows the field; a younger sister who committed a suicide to clear up a misunderstanding of a brother; a daughter-in-law who has a hard married life and always cries; a legal wife who is eager to kill a concubine; a person who are sucked his blood to mites that suck up other’s blood. Cha Sang Chan compared these people to those who are dominated by the Japanese. Otherwise, it is difficult to explain why he selected these songs though there are a lot of functional folksongs. It suggests that Cha Sang Chan deliberately chose and listed specific songs that illustrate severe reality of Chuncheon at that time. In a word, Cha Sang Chan, a representative writer from Chuncheon, definitely made a lot of efforts to present the people's harsh life and keep the historical awareness. 차상찬은 언론인이면서 역사학자, 문학가, 민속학자 등으로 평가받고 있는 인물로 근대 잡지의 아버지와 같은 인물이다. 그럼에도 그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인데 특히 민속 분야와 민요 분야의 연구는 거의 없다. 차상찬의 『조선민요집』의 목록을 대강 정리하면 도별로는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도, 강원도, 평안도, 평안북도, 함경도, 충청도 등이다. 민요의 분류 측면에서 볼 때 『조선민요집』으로 묶인 민요들은 다양한 기능의 민요가 실리지 못했으며 특히 서사민요의 비중이 높다. 이 서사민요 중 『조선민요집』, 『개벽』, 『별건곤』에 모두 실린 <사승노래>가 있다. 이 노래는 경북 안동 지역의 삼삼는 소리로 삼삼는 일의 밤샘 노동에 따른 고단함과 억울한 송사이야기 등이 얽혀 있는 서사민요이다. 차상찬이 이 서사민요를 택하여 다시 실은 데는 우리 민족의 유구한 전통을 오늘날까지 이어오고 있음을 강조한 것으로 여기에서 우리는 차상찬의 역사의식과 민족주의적인 면모를 볼 수 있다. 『개벽』에 실린 민요들의 작중 화자는 모두 힘들고 어렵다. 삼삼는 일이 힘겹기만 한데 장에 팔러 왔다 낭패만 보는 처자, 쟁기를 매고 코뚜레를 뚫고 밭을 가는 힘겨운 소, 오빠의 오해를 풀고자 자살하는 누이동생, 시집살이가 너무 어려워 눈물 콧물 다 쏟는 며느리, 첩을 죽이고 싶은 본처, 남의 피를 빨아먹고 사는 진득이에게 피를 빨리는 사람 등 다양한 군상들이 고통받고 있다. 차상찬은 이들을 모두 일제강점기 하에 고통받는 조선 민중으로 해석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 않고서야 굳이 현실의 다양한 농요들이 펼쳐 있는 민요의 세계에서 이런 노래들만 선별한 것을 설명하기 어렵다. 이 사실은 춘천과 관계된 노래들을 당시 현실과 맞물려 설명한 것을 본다면 차상찬이 현실을 몰랐다기 보다는 당시의 엄혹한 현실을 보여주기 위한 민요를 선별하여 『개벽』과 『별건곤』에 실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춘천이 낳은 인물, 차상찬은 민요를 수집하고 선별하는 데에도 우리 민족이 처한 현실의 냉혹함과 처절함을 보여주고자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그의 역사 의식과 민족주의적인 면모를 드러내는 것이다.

      • KCI등재

        홍천 산간 지역의 <논매는소리> 교섭 양상 -홍천군 내면의 <논매는소리>를 중심으로-

        유명희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0 No.41

        Hong Cheon, one of the largest guns of being shaped rectangles, runs east and west. Geographically, Hong Cheon is in the center of Gangwon-do and of several cultural areas as well. Thus traditional folk songs show different peculiarities between regions because those songs includ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local life. The aspect of folk songs in Hong Cheon is divided into those of mountain area and field area according to human geography. It is meaningful to divide regions of folk songs by investigating the aspect of regional influences between Hong Cheon and neighboring areas. By analyzing the song of weeding a rice paddy, this paper deals with the influences to have on Hong Cheon and neighboring areas. This song can be a landmark of the regions. The <Nonmaeneunsori>(song of weeding a rice paddy) in Hong Cheon is represented into <Bang-a sori> and <Arari>. The amount of sunlight and wate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good harvest in rice farming. In addition to the amount of sunlight, the temperature of water is critical in Naemyun located at a high altitude because water temperature is closely related to an elevation. Considering the songs of neighboring areas, <Nonmaeneunsori> in the mountain region of Hong Cheon is obvious that villages shared their songs one another and had been heavily influenced by nearby areas. It is significant to explai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Nonmaeneun-sori> and modes of farming by sea level even though data for investigation is insufficient. 홍천 지역은 동서로 긴 장방형 모양이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면적이 큰 군이다. 지리적으로 홍천 지역은 강원도의 중심에 있으므로 강원도 내에서 여러 문화권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민요는 지역성과 민중성을 담보하여 다른 어떠한 장르보다 지역 간의 변별력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홍천 지역의 자연, 인문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민요의 존재 양상이 산간 지역과 들 지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글에서는 홍천 지역과 주변 지역의 민요의 교섭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기 위하여 홍천 지역 민요의 특징과 분포 양상을 살핀 후 먼저 산간 지역과 주변 지역의 민요 분포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하여 <논매는소리>를 중심으로 홍천 지역과 주변 지역의 교섭 양상을 살펴보았다. <논매는소리>는 지역 구분의 지표가 되는 민요이기 때문이다. 홍천 산간 지역의 <논매는소리>는 <방아소리>, <아라리> 등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논농사에서 일조량과 물조절은 수확물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조건이다. 또한 홍천군 내면과 같이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의 경우는 물의 온도도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해발 고도가 높을수록 서리와 추위가 일찍 오고 늦게 사라지기 때문에 냉해를 입을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연지리적인 환경으로 인하여 홍천 산간 지역 <논매는소리>의 존재 여부가 결정되었다. 또한 홍천 산간 지역 주변지역의 <논매는소리> 분포 양상을 함께 고려할 때, 각 마을들은 가장 인접한 곳의 소리에 영향을 받거나 생활권을 함께한 지역의 소리에 영향을 주고받았음을 알 수 있다.

      • 蘇東坡 詞所表現的 心路歷程硏究(二) : 以徐州與湖州時期爲主

        柳明熙 釜山大學校 1988 人文論叢 Vol.33 No.1

        本論文은 密州時期 作品속에 표현된 心路歷程硏究(釜山大學校 人文論叢 第32輯에 發表)의 後績篇으로서 徐州 및 湖洲에 太守로 奉職하고 있을 당시에 塡寫한 作品을 對象으로한 것이다. 本稿 역시 詞作品속에 表現된 話者의 自我意識을 通해서 知徐州 및 知湖洲時期의 作家의 心路歷程을 진단해 본 것이다. 自我意識의 動向을 探索하기 爲하여 知徐州二年과 知湖州 三個月을 每年度別로 分期하였으며, 自我의 類型을 三種 卽, 消極的인 方面, 積極的인 方證 및 消極的 達觀方面으로 分類하고, 이 類型 속에 다시 比率, 詞牌의 聲情, 자주 사용되는 詞句 및 意象, 그리고 內容 等에 角度를 맞추어 作家의 自我意識을 探索하여 이 時期의 心路歷程을 浮刻시켜 보았다. 第一, 比率方面에서 본 자아의식의 경향 消極的 方面에서 본 자아의식이 차지한 비율이 百分의 七十三으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은 積極的 方面이 百分의 十五, 消極的 達觀方面이 百分의 十一의 비율로 나타나고 있다. 第二, 詞牌聲情 方面에서 본 자아의식의 경향 消極的 方面에서 사용된 詞牌는 대부분 中呂宮·商調·越調·仙呂宮及歇指調 等이 主調를 이루고 있어 聲情의 대부분이 哀傷과 遊賞의 避世的인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積極的 方面의 것을 中呂宮 및 雙調가 主調를 이루어 그 聲情이 대체로 밝고 명랑한 분위기의 情調를 띄고 있고, 消極的 達觀의 것은 특별히 擧論할 것이 없다. 第三. 자주 使用된 詞句 및 意象等에서 나타난 自我意識의 傾向 消極的 方面에 使用된 것은 주로 隱逸과 懷古主義的 傾商을 의고 있으며, 積極的 方面의 것은 「桃花」와 「荷花」를 借用하여 超俗의 異鄕界를 幻想하고 있으며, 消植的 達觀의 것은 「明月」·「銀燭」·「夢」和「空」等을 借用하에 主體의 心靈을 投射하고, 또한 消極的 達觀의 思想을 發展시키고 있다. 第四, 內容方面에서 본 自我意識의 傾向 消極的 方面에 나타난 내용은 주로 歸隱과 個人의 소극적 人生觀 및 別離의 情緖를 결하고 있으며, 積極的 方面의 것은 異鄕界에 대한 退求와 對外防禦의 豪情雄志를 反影하고 있으며, 消極的 達觀의 것은 人事의 無常과 公許를 通해서 哀而不傷의 發展的 自我意識을 반영하고 있다. 이상 네가지 각도에서 살펴 본 결과 知徐州·湖州 二年 三個月의 세월속에 나타난 作家의 心路歷程은 대체로 歸隱과 異鄕界를 추구하는 超俗의 自我意識을 띄우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