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정선아리랑 현장의 변화와 전망

        유명희 한국민요학회 2022 한국민요학 Vol.66 No.-

        Arari is a folk song that has grown naturally in Gangwon-do, and almost all people in Gangwon-do sang Arari in the traditional society. This Ara-ri is known as the origin of Arirang in Korea, and Jeongseon Arirang was designated as Gangwon-do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1 in 1971 and became the firs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Gangwon-do. This Jeongseon Arirang has increased its regional and national status since the UNESCO listing and the Winter Olympics. Support has increased and various performance programs have been created. "Ari Arari," created for the 2018 Winter Olympics, seems enough to move on to the world stage with colorful performances, breaking away from the cliche repertoire of existing performances. However, this year's 47th Jeongseon Arirang Festival focused on the content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programs because it attracted young people's participation, but unfortunately, Jeongseon Arirang was excluded. In this way, 10 years after being listed on UNESCO, Jeongseon Arirang faced the reality that the number of people who won the Winter Olympics decreased, the penetration of Gyeonggi folk songs increased day by day, and the daily lives of Jeongseon-gun people became increasingly distant. Accordingly, I suggested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of the singer, establishing a profes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for Jeongseon Arirang, and strengthening the transmission of life as alternatives. 아라리는 강원 지역에서 자생해 온 민요로 전통사회에서 강원 지역 사람들은 거의 모두 아라리를 불렀다. 이 아라리는 대한민국 아리랑의 시원으로 알려졌으며 이중 정선아리랑은 1971년 강원도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어 강원도 최초의 무형문화재가 되었다. 정선아리랑은 유네스코 등재와 동계올림픽 이후 정선 지역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 위상이 높아졌다. 지원이 늘고 다양한 공연 프로그램들이 만들어졌다. 2018 동계올림픽을 기념하여 만든 뮤지컬 <아리 아라리>는 기존 공연들의 진부한 레퍼토리에서 벗어나면서 화려한 퍼포먼스로 세계 무대로 나아가기 충분해 보인다. 그렇지만 올해 47회 정선아리랑제에는 젊은이들의 참여를 이끌어 낸다는 이유로 기존의 프로그램과는 차별화된 내용 중심으로 나아갔으나 아쉽게도 정선아리랑이 배제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이렇게 정선아리랑은 유네스코에 등재된 지 10년이 지나고, 동계올림픽의 현장에서 불려진 지 5년 만에 현장에서의 전승 인력이 줄고, 경기민요의 침투력이 나날이 늘어나고, 정선 군민의 일상적인 삶과 점점 멀어지고 있는 현실과 마주하게 되었다. 이에 필자는 소리꾼의 역량 강화, 정선아리랑 전문교육기관 설립, 생활 전승 강화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분해온열료법에 의한 열저항의 발생에 관한 실험적 연구

        유명희 대한영상의학회 198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19 No.3

        The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heat resistance by split dose hyperthermia in various time interval and temperature. For the experiments, 96 mice were divided into 2 groups : the first, 36 mice were used to evaluate the skin reaction of mouse tail to single dose hyperathermia, the second, 60 mice were used to evaluate heat resistance by split does hyperthermia in various time interval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ND50 was 101 minutes at 43$^{\circ}C$ and 24$^{\circ}C$ minutes at 45$^{\circ}C$. 2. For a 1 increase in temperature, a half in time was required to same degree of skin reaction. 3. Heat resistance was significantly developed in split dose hyperthermia at 43$^{\circ}C$ and 45$^{\circ}C$. 4. Development, maximum and decay of heat resistance were constant regardless of change in temperature. In summary, heat resistance in split dose hyperthermia is important is study and clinical application of heat therapy in maligant diseas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논매는소리>를 통해 본 가평민요권의 특성

        유명희 한국민요학회 2007 한국민요학 Vol.20 No.-

        Gapyeong is located in the center of Korea Peninsula and borders Gyeonggi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Historically, Gapyeong is increasingly correlated with both provinces after it belonged to Gyounggi Province from Gangwon Province. Geographycally, it is characterized as mountain area located on the edge of Backdudaegan. This paper studied on the aspects of folk songs by analyzing folk songs according to the agricultural practice resulted from geographical features in Gapyeong. Folk songs can be a index to show the life of villagers because they are the representative cultural sources The character of folk songs in Gapyeong is that “Plowing Song” was much sung. There widely investigated “Song of Cattle Droving” by the geographical influence, which also appear in Hongcheon and Chuncheon. For the ceremony, “Bier Song” was much transmitted. For the amusement, both Gyounggi and Ganwon folk songs are investigated. There are few folk song like Arari though popular Gyeonggi folk songs are sung over the nation. Especially, the more recent materials they are the more popular songs such as noraegarak, changbu taryeong there are. This study aims to compare folk songs in Gapyeong with those in other areas in order to examine its connection with other songs. Gapyeong is northwestern area of ‘Danheorisori’, and southwestern of ‘Minari’ according to comparison “Nonmaeneun-sori” which is common and distinctive. It is convinced through “Nonmaeneum-sori” that Gapyeong was a border between Gyeonggu and Gangwon historically, geographically and culturally. This paper proves that Gapyeong which is in Minari-sphere among five-farm-song-circle is positioned in important status.

      • KCI등재

        홍천 지역 사람들의 가창유희요에 대한 인식과 대응-아라리와 외지소리를 중심으로-

        유명희 한국민요학회 2014 한국민요학 Vol.40 No.-

        Arari is the most celebrated play song (kachangyuhee) in Hongcheon in Gangwon province. Uhrang-taryeong, changbu-taryeong and a boating song (batnorye) are followed by Arari. Arari is an only native sori in Gangwon but others were derived from other regions. As the traditional society turned into the industrial one, traditional folksongs like labor songs have been decreasing. At present, play song (kachangyuhee) is being sung more than labor songs on stage. In case of Gangwon province, various songs are performed on stage. The locals consider arari a slow song and sori from other regions a more sophisticated and faster song. The fever of learning Kyeonggi-sori in Gangwon proves this phenomenon. It shows that native soris like arari have been losing its role as a labor song and sung more as a play song (kachangyuhee). Although the locals think songs of Kyeonggi-sori as refining one, arari still appeals to the locals. Sori from other regions has mingled with arari and still i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new trend of sori sung on stage even if labor song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constructing various cultures.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native soris and soris from other regions should be conducted. It is significant to find out ways to strengthen arari and be compatible with soris from other regions. 강원도 홍천 지역에서 가장 많이 불리는 가창유희요는 다른 강원 지역과 마찬가지로 아라리이다. 그 뒤를 어랑타령, 창부타령, 뱃노래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아라리는 강원 지역의 자생적인 소리이고 나머지는 외지에서 들어온 소리들이다.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 넘어오면서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노동요를 비롯한 전통민요는 점차 입지를 잃어가고 있다. 현 시기의 소리판은 노동요보다는 가창유희요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강원지역의 경우 앞에 제시한 여러 가지 다양한 소리들이 하나의 소리판에서 한꺼번에 불려지고 있다. 자생적인 소리인 아라리는 느린 것으로 경기소리를 비롯한 타지역에서 들어온 소리는 세련되고 빠른 것으로 홍천 지역 사람들은 인식하고 있다. 강원 지역 농촌 사회에서 경기소리 배우기 열풍은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본다. 이것은 아라리를 비롯한 자생적인 소리들이 노동과 거리가 멀어지고 가창유희의 기능이 강조되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아라리의 강세는 여전하다. 자생적인 아라리의 뿌리가 깊기 때문이지만 외지소리의 섞임은 이미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왔고 현재도 진행 중이다. 노동요가 전통사회의 여러 문화를 재구하고 연구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에 분명하지만 이제 현재 소리판의 현상에 관심을 기울일 때이다. 앞으로는 지역의 자생적인 소리와 외지소리의 상관관계를 좀 더 연구해야 한다. 전통문화의 큰 틀 안에서 지역의 자생적인 민요의 힘을 키우면서 외지소리가 함께 가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