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잡견에서 대퇴정맥-대퇴동맥 체외식 폐보조법과 경정맥-경동맥 체외식 폐보조법의 전신 산소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비교

        유명식,이국현,김광우 대한마취과학회 1995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29 No.4

        The extracorporeal respiratory support has (ECMO) or extracorporeal lung assist (ECLA). Jugulocarotid(JC) ECLA, which drains venous blood via the internal jugular vein and perfuses via the common carotid artery, is recognized as a therapeutic modality for acute respiratory failure of neonates. But recent follow-up studies report the possible neurologic complications after the ligation of the carotid artery. Femoro-femoral (FF) bypass is reported to be effective in cardiac support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urgical approach of FF bypass is easier because of the superficial location of great vessels. To evaluate the cardiorespiratory support of FF bypass, twelve mongrel dogs were divided into JC and FF groups(n6 in each group) and ventilated artificially at F₁O₂ of 0.3 and 0.15 in a dog. While ventilating the oxygenator with N₂ gas, control hemodynamic and blood gas values were obtained at F₁O₂ 0.3 and at F₁O₂0.15. The values during VA ECLA in both groups were measured while flushing O₂ gas into the oxygenator. We compared bypass flows and oxygenation effects between two groups. 1) The comparison between JC ECLA and FF ECLA in F₁O₂ 0.3 Mean arterial pressure (MAP) and cardiac output (CO) increased in both groups and mean pulmonary arterial pressure (MPAP) decreased in JC group. Bypass flow rates were 86±6ml/kg/min in JC group and 62±8 ml/kg/min in FF group. 2) The comparison between JC ECLA and FF ECLA in F₁O₂ 0.15 MAP and CO increased in both groups and MPAP decreased in JC group. VA ECLA increased the arterial oxygen tension from 49±12 mmHg to 93±20 mmHg in JC group and from 54±14 mmHg to 77±12 mmHg in FF group. Bypass flow rates were 103±21 ml/kg/min in JC group and 67±12 ml/kg/min in FF group. The amount of changes of △PaO₂(y) related to bypass ratio(x) was same between two groups. The systemic oxygenation effect of FF ECLA in hypoxia was as efficient as that of JC ECLA. In conclusion, FF ECLA can be adopted for acute respiratory failure in which PaO₂ is maintained about 50mmHg.

      • KCI등재

        차세대 홈 네트워크 QoS 지원을 위한 EPON 동적 대역 할당 방식

        유명식,안세현 에스케이텔레콤 (주) 2004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14 No.2

        홈 네트워킹 기술과 다양한 멀티미디어 응용의 발달로 인한 가입자 트래픽의 급속한 성장이 예상되어지는 상황에 서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가입자망 기술 개발은 시급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Ethernet PON (EPON)은 비 교적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저렴한 광 가입자망 구조인 PON(Passive Optical Network)에 현재 링크 전송기술의 95%를 차지하고 있는 이더넷을 적용시킴으로서 가장 낮은 비용으로 높은 전송 대역폭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가 입자망 기술이다. 그러나 EPON이 차세대 홈 네트워크를 위한 기술로 부각되기 위해서는 높은 전송 대역폭뿐 만 아 니라 다양한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원활하게 수용하기 위한 QoS(Quality of Service) 지원이 가능하여야 한다. 현재 MPCP(Multi-Point Control Protocol)가 EPON 시스템의 동적 대역할당 방식으로 표준화되었으나 만족스러운 QoS 지원은 어려운 형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홈 네트워크의 다양한 서비스들의 요구에 부합되는 EPON QoS 방식의 설계를 위하여 기존에 제안된 EPON 시스템 QoS 방식과 새롭게 제안되는 QoS 방식들을 비교 분석한다.

      • SCOPUSKCI등재

        염절임 및 가열에 의한 배추조직의 구조와 펙틴의 변화

        유명식,김주봉,변유량,Yoo, Myung-Shik,Kim, Ju-Bong,Pyun, Yu-Ryang 한국식품과학회 199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23 No.4

        배추의 염절임 및 가열처리 중의 조직구조 변화를 현미경적으로 관찰하고 펙틴질을 분별 정량하였으며 조직의 내부구조를 cytorrhysis로 측정하였다. 배추줄기 조직의 유세포의 세포막은 염절임시 수축 파괴되며 세포간 공간의 포집공기와 세포액은 세포수축과 함께 중엽을 파괴하면서 유출되었다. 배추조직의 펙틴은 주로고 메톡실 펙틴인 pA와 저 메톡실 펙틴인 pB로 구성 되었고 염절임 및 $60{\sim}70^{\circ}C$의 저온 가열시 상당량의 pA는 작용으로 pB로 전환되었고 $80^{\circ}C$ 이상으로 가열처리하면 열분해로 pB가 감소되었으며 열처리 중 조직의 firmness는 pB의 함량과 상관관계가 높았다(r=0.996). Cytorrhysis 실험결과 염절임 및 $60^{\circ}C$의 저온처리에서는 조직의 pore size가 더 작아졌고 $80^{\circ}C$ 이상의 고온 열처리에 의하여 조직의 pore size가 커졌는데 이는 저온에서 pB의 증가에 의해 조직이 더 치밀해지고 고온 열처리에서는 가열분해된 pB가 용출되면서 조직이 더 엉성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structure of fresh, salted and heated petiole tissue from Chinese cabbage was examined with optical microscope, and the pectin of the tissues was fractionated by successive extraction. The pectin in Chinese cabbage consisted mainly of high methoxyl pectin(pA) and low methoxyl pectin(pB). The pA content was converted to pB markedly by salting and heating at $60{\sim}70^{\circ}C$ for 30 min while heating the cabbage above 80 decreased pB content. The firmness of heated tissue was highly correlated with pB content(r=0.996). Cytorrhysis test showed that pore size of the tissue became smaller by salting and heating at temperature below $80^{\circ}C$.

      • KCI등재후보

        광 인터넷과 스위칭 기술

        유명식,홍현하,김부균 에스케이텔레콤 (주) 2001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11 No.2

        광 인터넷 등장의 배경은 급속히 증가하는 인터넷 트랙픽과 이를 광대역/초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광 기술의 발전이다. 광 인터넷 구축을 위하여 기존의 라우터 벤더들은 Gigabit급 라우터의 개발에 이어 광기술의 장점을 접목한 Terabit급 라우터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광 라우터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스위칭 기술에는 광 서킷 스위칭, 광 버스트 스위칭, 광 패킷 스위칭이 있다. 본 논문은 광 스위칭 기술 중 현재 학계와 산업계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광 패킷 스위칭과 광 버스트 스위칭 기술의 특징과 기술적인 문제점에 대하여 논한다. 현재광 서킷 스위칭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OXC는 상업화 단계에 이르렀으나 bursty한 인터넷 트래픽을 수용하기에는 효율성의 문제가 있다. 광 패킷 스위칭 기술은 bursty한 인터넷 트랙픽을 지원하기에 가장 적절한 기술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현재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에 있으나 가장 큰 기술적 문제는 광 형태의 버퍼가 없는것과 광소자(파장 변환기, 광 스위치)의 스위칭 시간이 패킷의 전송시간에 비해 길다는 것이다. 광 버스트 스위칭 기술은 광 패킷 스위칭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Offset time과 delayed reservation의 특징을 가지고 광 계층에서 필요한 버퍼의 사용을 제거하였고 또한 offset time을 이용하여 차별화된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광 버스트 스위칭 기술의 구현에는 제어평면과의 연동 및 시간 제어부 구현 등의 해결이 요구된다.

      • KCI등재
      • 옴개구리의 생식주기와 난자의 성숙유도

        유명식,나철호 한국통합생물학회 1995 동물학회지 Vol.38 No.1

        본 연구는 옴개구리(Rana rugosa)의 생식주기를 파악하고 이들 난자들의 체외 성숙조건을 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개구리들의 gonadosomatic index(G51)는 4월에서 8월사이에는 비교적 낮았고 9월에서 이듬해 3월까지는 높았다 여포들의 성장은 주로 6월에서 9월 사이에 이루어지는데 난소내에서도 여포들의 성장 속도는 일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야외 관찰에서 이 개구리들은 서식지의 온도에 따라 4월에서 7월 사이에 산란을 한다는 것과 10월에서 이듬해 3월까지 동면을 한다는 것을 말았다. 산란기에 취한 여포 난자들은 생체외 배양에서 progesterone에 성숙반응(germinal vesicle breakdown(GVBD))을 일으키지 않았다. 그러나 protein klnase C(PKC)의 촉진제인 12-O-tetradecanoylphorbol 13-acetate(TPA) 혹은 Na+/K+ ATPase의 저해제인 ouabain을 progesterone과 동시에 처리했을 때에는 성숙반응을 일으켰다(각각 86%와 80%). TPA 로 핵붕괴를 일으킨 난자의 세포질을 미성숙 난자에 주입하면 미성숙 난자의 핵붕괴를 유도하였으며 성숙된 다른 종의 난자들의 세포질도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TPA의 성숙유도 효과는 5분의 노출 기간으로도 충분하였으며 PKC의 저해제인 H-7을 처리하면 그 효과가 없어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옴개구리의 난자는 호르몬에 성숙반응을 일으킨지 않으나 PKC 활성화 이후 단계는 정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