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학교 국사 교육에서 학습자 관점이 반영된 내용선정의 필요성과 방안

        유득순 역사교육학회 2009 역사교육논집 Vol.43 No.-

        This thesis asserts that to realize a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content selection needs to reflect the perspectives of the learners. Also a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finding other methods of content selection that reflects the perspectives of the learners on the basis of an analysis of learner perceptions on the present curricular contents. With the introduction of Post-modern historical science and Constructivism, the perception that knowledge is constructed within the internals of a learner and the perception that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are entities that actively construct knowledge proliferated. Under such influences, ‘The 7th curriculum’ and ‘The 2007 reformed curriculum’ emphasizes ‘learner-centered education.’ Learner-centered education values the learners’ abilities, interests, and demands and calls for an active participation in the selection of contents and the process of learning on the part of the learners. The history pedagogy academic field maintains that learners be considered an important axis in the criteria of content selection In spite of this, the content selection of the history education has been done by professionals such as professors and teachers even upto now. The learners have been excluded in the process of content selection and have not taken up an active and principal role in this process. Thus this writer asserts that learners should be made to participate and by doing so the content selection reflect learners’ perspectives. On the other hand, the perception of the learners of the present contents of the middle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in terms of importance and interests proved to be much influenced by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 itself. Because of this, queries on important events have drawn out similar responses revealing a common perception among the students. On the contrary, the students appeared to have different thoughts and showed varying interests on the issue of what is interesting. It has been verified that students make differing selections of contents even with the same criteria. Also the learners showed greater interests in aspects of the past that differed much from the present. While the learners considered the political aspects to be the most important but the least interesting, they rated the cultural aspects to be the most interesting but the least important. This implies much about the content construction of the present middle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is writer has looked for methods of content selection that reflect the learner’s perspective that is applicable in an actual class instruction. Considering the times, purposes and scopes, this writer suggested two methods of reflection. One reflection method is having complement classes on a finished unit based on an in-class conducted written survey of the learners’ perceptions of the finished unit. Another is carrying out a simple investignishn of the learners’ perceptions on the curriculum content previous to instruction through multiple-choice questionnaires then reflecting them in the following classes. This writer has also suggested the use of theme-based studies in selecting contents and designing classes. Many discussions and researches, trial and errors, and experiments are needed for learners to take on an active role in content selection. However, the learner is not only a principal in studying history but another historian carrying out the same thinking tasks and inquiries into the field. So we must make a way to enable the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whole process of history education.

      • KCI등재

        학생의 과목선택권 확대 속 역사 선택과목에 대한 학생 인식조사 및 교육과정 개발 방향-고교학점제 선도학교 D고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득순 역사교육연구회 2022 역사교육 Vol.162 No.-

        In the context of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the Department of History is facing various difficulties. One is that students do not choose history subjects, and the other is that history departments are at a disadvantage in the curriculum organization. To solve the former problem, we will need to know why students don’t choose history subjects. Therefore,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history elective subject.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349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D High School, a leading high school credit system. After preparing a questionnaire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the main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nd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groups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ditions of the students. As a result, first, the biggest reason that students do not choose history subjects is because they perceive history subjects as too many and difficult. Second, as the number of students taking history subjects decreased due to this perception, it became disadvantageous for their grades, creating a vicious cycle in which more students did not choose history subjects. Third, although few students chose history, they thought that more students wanted to learn history and should learn i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problems while maintaining the charm of the history subject itself.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faced by the history department, the following elective subjects should be developed. First,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the contents derived from the basic contents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nature of the subject. Second, it should be composed of content that students want to learn and the teacher’s expertise can be demonstrated, rather than guiding students’ choices with easy and concise content. 고교학점제의 전면 도입과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정을 앞둔 상황에서 역사과는 학생의 선택을 받지 못하여 과목의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내적인 문제와 교육과정 편제에서 불리한 위치에 처해 있다는 외적인 문제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육 주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부터 시작해야 하기에 학생들이 역사 과목을 선택하지 않은 이유를 파악하고자 고교학점제 선도학교인 D고등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인식조사는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나누어 2021년 12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진행하였으며, 1・2학년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하되, 학습 배경에 따라 집단을 세분화하였고, 총 349명이 설문에 응하였다. 조사 결과는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나누어 제시하고, 본조사는 학생의 학년, 과목 선택의 경험 유무, 문・이과계열 선호도 차이, 교육과정상 선택 가능한 과목 등에 따라 구분된 (가-1), (가-2), (가-3), (나-1), (나-2), (나-3)집단에 대해 각각 살펴보았다. 인식조사를 통해 첫째, 학생들이 역사 과목을 외면하는 가장 주된 요인은 역사 과목 자체에서 기인한 것으로, 학생들이 역사 과목의 내용을 너무 많고 어려운 것으로 인식한다는 점, 둘째, 학생들이 과목 선택 과정에서 과목 간 연계성을 비롯한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요인을 고려한다는 점, 셋째, 역사 과목을 선택했거나 선택할 학생의 요구는 교사의 수업 역량에 집중되었다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첫째, ‘많고 어려운 내용’ 그리고 ‘내용을 중심으로 진술된 성취기준’에 대한 대안으로 ‘교사의 내용 선정’과 ‘성취기준의 선택적 구성’이라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실용적 관점의 학생 인식을 고려하여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의 연계성 제고 및 선택과목 간의 관계를 고려한 과목 구성, 친근하고 접근성 높은 과목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셋째, 교사의 수업 역량과 재량권을 고려한 선택과목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무엇보다 학생의 과목선택권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역사과 본연의 성격을 지키면서 기본적인 내용으로부터 파생되는 내용, 즉 이미 배운 공통과목의 내용에서 파생된 내용을 다루는 선택과목의 개발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역사가처럼 사고하기 - 역사영화 시놉시스 작성 수업의 개발과 실제 -

        유득순 한국역사교육학회 2019 역사교육연구 Vol.- No.33

        Historical movies can be employed as useful learning materials in history classes. Especially, the activity of students making historical movies by themselves lets them to experience the inquiry that a historian does. This is because the historian tries to compensate for the shortage of the historical records when describing and completing the history.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poses a lesson in which students come up with their own synopsis of a historical movie in order to encourage them to think like a historian. For the study, I first showed the students two movies titled The Age of Shadows and May 18, respectively, and had them write their own version of a synopsis regarding Korean independent movement and contemporary history. As a result, students came up with 71 different synopses, and I analyzed both the content and the form of those synopses. The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three things. First, there were many materials of synopses that are not being dealt with within curriculum or textbooks at the moment. Second, the way the students constructed their stories varies with how much they exercise their imagination. Lastly, in the second semester, the students managed to describe the story variously in a more effective way than they did in their first semester. In addition, in order to carry out the aforementioned lesson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various opportunities to think like a historian during classes. Furthermore, evaluation should be conducted objectively and fairly in order for this learning method to be generalized in schools. 역사나 역사영화의 과거에 대한 재현은 자료에 기반을 둔 역사적 상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역사영화를 만든다는 것은 역사적 자료에 기반을 둔 상상을 통해 역사를 재현하는 것이며, 이는 역사가의 사고 과정과 닮아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역사가의 사고 과정을 경험할 수 있게 하는 방법 중 하나는 역사적 상상을 통해 역사를 재현하는 것, 즉 역사영화를 만들어보게 하는 것이다. 현실적인 수업의 조건을 고려할 때 이미지 재현보다 서사의 구성 과정에서 역사적 상상이 발휘되도록 역사영화를 만드는 방법이 더 유용한 수업 방법일 것이다. 이러한 사례의 하나가 역사영화의 시놉시스를 작성하는 활동이다. 이에 영화 <밀정>을 활용하여 일제 강점기 독립 운동가의 활동을 조사하여 시놉시스로 작성하는 수업 활동, 영화 <화려한 휴가>를 활용하여 한국 현대사의 주요 사건을 조사하여 시놉시스로 작성하는 수업 활동을 각각 설계하였다. 이를 2017년 1학기와 2학기에 필자가 재직하던 대구 지역 특수 목적 고등학교에서 실행하고 그 결과물에 해당하는 71개 시놉시스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우선 시놉시스에서 학생들이 다룬 소재는 현행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서 다루지 않는 것들이 많았다. 다음으로 역사 재현의 정도를 가늠하기 위해 상상력이 어떻게 발휘되었는지를 살펴보면, 첫째, 상상력이 전혀 발휘되지 않은 것으로, 주어진 자료의 내용만으로 이야기를 엮어 완결된 이야기가 구성되지 못한 경우, 둘째, 상상력이 발휘되었으나 역사적 자료와 증거를 토대로 하지 않은 경우, 셋째, 역사적 자료에 기반을 둔 상상력이 발휘된 경우 등이었다. 또한 1학기에 비해 2학기 활동에서 자신들이 구성한 이야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다양한 서술 방식으로 표현하는 모습을 보였다. 역사영화 시놉시스 작성 수업의 핵심은 역사적 사실과 증거에 기반을 둔 이야기의 구성일 것이다. 이에 줄거리 작성 뿐 아니라 역사적 사실과 허구의 설정을 구분해 별도로 작성하게 하는 것, 기존의 역사영화처럼 실제 역사와 완전히 다른 허구의 설정을 하는 것은 지양하도록 지도해야 함을 유의해야 한다. 무엇보다 역사가처럼 사고하도록 하는 다양한 수업 방식이 학교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객관적인 평가 기준의 마련과 채점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학습 자료로서 역사영화에 대한 역사교사와 학습자의 인식

        유득순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0

        History movies are a subject of public interest and a subject of study in history education.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history movies are accepted as materials for history learning. It is because history movies contain fiction. A history movie is not history, but it contains history. If students can grasp historical contents in movies and find out something more than that, they can learn history through history movies.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and value of history movies as learning materials. For this purpose, I interviewed the teachers and learners about how they utilize history movies. As a result, history teachers recognized history movies as useful learning materials: motivation, enhancement of factual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of thinking ability. And learners tried to understand the stories and facts from the movies while considering various factors. In addition, learners evaluate history movies considering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history movies were made. This suggests that history movies can be widely and usefully utilized for history learning. History movies for history learning should focus on ‘history’ rather than ‘movies’. In order for a history movies to be a ‘Movie for History Learning’, it should have verisimilitude and probability. Likewise, History movies should have ‘historical verisimilitude’ derived from historical facts, which is reproduced close to truths. It should have a ‘historical probability’ based on the contextual knowledge. 역사영화는 대중적인 관심의 대상이자, 지속적인 역사교육의 연구 대상이기도 하다. 그러나 허구를 담고 있는 역사영화를 역사 학습을 위한 하나의 자료로 인정하는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 있다. 역사영화를 역사라고 할 수는 없지만, 역사영화 속에는 역사가 담겨 있다. 역사영화 안에 담겨 있는 역사적 사실을 파악하고, 그 이상의 무언가를 찾아낼 수 있다면 역사영화를 통해 역사 학습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습 자료로서 역사영화가 가지는 의미와 가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역사 수업의 주체라 할 수 있는 역사교사와 학습자들이 역사영화를 어떻게 활용하고 인식하는지에 대하여 설문과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역사교사들은 동기 유발, 사실 이해의 증진 뿐 아니라 사고력 향상을 위한 도구로서 역사영화를 유용한 학습 자료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은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역사영화 속 이야기와 그 안에 담긴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였을 뿐만 아니라 역사영화가 제작된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면서 역사영화를 평가하기도 하였다. 이는 역사영화가 역사 학습을 위하여 폭넓고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임을 시사한다. 그러나 역사영화와 역사 학습을 위한 역사영화는 다르며, 또 달라야 한다. 연구자가 규정하는 역사영화의 범위는 매우 넓지만, 역사 학습을 위한 역사영화는 ‘영화’보다 ‘역사’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역사영화가 갖추어야 할 요건이 역사적 핍진성과 역사적 개연성이다. 즉 과거의 상황과 당시의 인물을 묘사・재현하는 과정에서 역사영화는 역사적 사실에 기반하여 실체에 가깝게 재현된 ‘역사적 핍진성’을 가져야 하고, 당시의 상황과 역사적 사실이라는 맥락 속에서 재현되고 창조되는 ‘역사적 개연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역사영화 가운데 이러한 요건을 갖추거나 일정한 가공을 거쳐 역사적 핍진성과 역사적 개연성이 높은 것이 바로 ‘역사학습영화’이다.

      • KCI등재

        교원의 인식으로 본 역사과 임용시험 문항에서 ‘현장 적합성’ 강화의 필요성과 방향

        유득순 역사교육연구회 2023 역사교육 Vol.168 No.-

        The Recruitment Examination aims to select teachers necessary for the schoo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cruitment Exam questions to measure the abilities needed in the school field. Even though the exam system has been improved several times, the content of the evaluation elements has not changed. The questioning principles were also insufficient to reflect the suitability of the school field. Therefore, I looked into the need to improve the suitability with the school field in the Recruitment Exam questions and to understand the specific content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had more than 10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passed the Recruitment Exam, worked at national or public schools, and had experience working at an educational practice school. Three implications were obtain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m. First,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teacher’s abilities needed in the school field’ in the exam questions asked. Its capabilities are organizing and designing history classes, understanding pedagogy content knowledge based on subject knowledge, developing evaluation instruments, and providing feedback. Second, it is necessary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Evaluation Content Standards.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examiners and secure and utilize human resources. Also, improving the Recruitment Examination questions will help strengthen the field suitability of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as well as selecting excellent teachers, the system should be improved so that teachers who pass the test can adapt well to the school field. 임용시험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 필요한 교사를 선발하는 데 있으므로, 임용시험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평가 요소는 ‘학교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이며,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이 출제될 필요가 있다. 몇 차례에 걸쳐 역사과 임용시험 문항의 유형이나 체제가 바뀌며 형식적인 개선은 이루어졌으나 평가 요소, 즉 내용적 측면의 변화는 부족하였다. 또한 출제 원칙으로 제시된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도 현장 적합성의 반영은 미흡하였다. 이에 임용시험 문항에 현장 적합성을 강화할 필요성을 알아보고, 현장 교원과의 면담을 통해 그 구체적인 모습을 확인해 보았다. 사전 인터뷰를 거쳐 본 면담에 참여한 교원은 임용시험을 거쳐 국・공립학교에 근무하면서 10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졌고, 교생 지도를 연속적・체계적으로 운영하는 학교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이들이다. 이들과 연구 주제에 관해 면담을 진행하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교에서 필요한 교사의 능력은 수업의 구성・설계 능력, 교과 지식을 토대로 한 교수내용지식, 평가 도구 개발과 피드백 제공 능력 등이며, 이를 임용시험 문항의 평가 요소로 반영하여 현장 적합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출제 원칙으로 제시된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수정・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채점관의 역량 강화와 인력 활용을 통해 임용시험 채점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본고에서 다룬 임용시험 문항의 개선은 교사 양성과정의 현장 적합성 강화와도 맞물려 있다. 또한 임용시험을 통해 우수한 교사를 선발하는 것만큼, 시험을 통과한 교사들이 안정적으로 현장에 적응하고 교육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의 개선과 환경의 정비도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역사다운 질문’ 개발을 위한 역사 교과서의 질문 분석과 함의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역사 ①』의 4단원을 중심으로-

        유득순 역사교육학회 2023 역사교육논집 Vol.82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questions in history textbooks based o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those who develop textbooks based on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To this end, I analyzed questions in "Imperialist Invasion and Nation-State Construction Movement(unit 4)" in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based o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the questions in the current textbook were less consistent with the curriculum and focused on memorizing historical facts rather than exploration. It tried to present various types of questions, although the function of guiding information was stronger than asking questions. However, problems such as the mismatch between source data and questions, the loss of the function of data or questions, and the ambiguity of sentence statements were also found. Based on the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 questions in the history textbook should reflect the aims of history lear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subject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exploration process of analyzing sources to find clues to problem-solving. Second, questions that can reveal the constructive and interpretative characteristics of history should be presented. Thir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questions in the history textbook reflect temporality.

      • KCI등재

        역사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위한 제안-대안이 아닌 참고로서의 IB-

        유득순 역사교육학회 2023 역사교육논집 Vol.83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content selecting and organizing method of IB history to use it as a reference for improving the national history curriculum. The introduction of IB into public education incurs opportunity costs such as enormous expenses, unequal distribution of educational budgets and human resources, imbalances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educational excellence on the premise of discrimination. To solve this problem, educational administrators insist on developing and distributing the 'Korean Baccalaureate'. However, the Korean Baccalaureate is unsubstantial, and neither the DLDP discussed in that way nor the dual system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DLDP do not solve this problem. Therefore, rather than introducing IB into our public education, it is much more useful to study IB as a reference to improve our curriculum. For this, I examined the selection and organizing of the contents of IBDP history. To apply this to the national history curriculum, three points must be preceded. First, the content sequence should be structured to learn specific themes or facts after learning the chronicle. Second, when organizing contents, it should be allowed to selectively structure the contents. Third, enough time should be given to learn a subject. But IBDP's content selecting and organizing method have both strengths and weaknesses, detailed follow-up studies should follow.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and practical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he training of scorers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To improve classes, in addition to developing teachers' abilities, environment conditions and the paradigm of curriculum construction must be changed together.

      • KCI등재

        박물관 역사교육을 위한 전시ㆍ해설의 변화 방안 -대구교육박물관을 중심으로-

        유득순 역사교육학회 2020 역사교육논집 Vol.73 No.-

        Museum is one of the places that the history can be educated to the public the most. The best way to experience the quality of museum is to personally visit and view the exhibition yet there are several difficulties of practical and physical restriction. It is called history education at the museum in case that the articles of exhibition are historical relics and the school has affiliation with the museum by a history teacher. For the better implementation of history education, it is necessary not only to guide students around the exhibition or emphasize their literacy skills but also endeavor to make students appreci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rticles of exhibition. That means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historical context when viewing the exhibition. Besides, the description method of the articles of exhibition should be changed. In order to implement the issues mentioned earlier, the two following solution plans were introduced to the exhibition at Daegu Museum of education. First, so as to grasp of historical context when viewing the exhibition, 9 historical relics were selected and the scenario, Smart Curator, was produced with assistance of history teachers. Also, ‘Manchuria-Chosun School trip Guide’ and ‘Tonggang-rok’ were written in expository writing with narratives. For it is an early phase research, its generalization and realization should be arranged through finding the varieties of method-exhibition panel, brochure, video.

      • KCI등재

        국제바칼로레아 디플로마 프로그램(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역사 교재의 질문 분석과 시사점

        유득순 역사교육연구회 2022 역사교육 Vol.164 No.-

        This study aims to find definite and practical ways to construct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questions. Accordingly, the history subject curriculum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IBDP) was selected as a reference for this study, and the questions from the IBDP history textbook(The Move to Global War; “IBDP History Textbook”) were analyzed. Among the items of the “IBDP History Textbook,” those that can be considered as questions are ‘source-related questions’(including full document questions), ‘questions regarding ATL skills’, and ‘the TOK and class discussion questions.’ The characteristics of source-related questions(Source skills) are that they have a set format(from ‘first question’ to ‘fourth question’), are presented in phases, have a clear purpose, and focus entirely on the source to solve the problem.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regarding ATL skills are that they distinguish the necessary abilities for students and categorize competencies needed for learning, which is critical in teaching and learning. The TOK and class discussion questions reflect on generating knowledge and demonstrate how you can practice ‘doing history’ in the entire process of learning. In the structured questions from the textbook, source-related questions and questions regarding ATL skills can be considered basic level, while the TOK and class discussion questions can be considered higher leve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qu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questions in textbooks and instructions, the following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question types that focus on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learning in adva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questi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learning. Third, lessons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the overall structure and phases of ques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편찬을 앞둔 상황에서, 학습자의 사고를 자극하는 가장 좋은 수단이 질문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질문의 내용과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례의 하나로 국제바칼로레아에 주목하여, IB 교육과 IBDP 역사 교육과정을 간략히 살펴보고, IBDP 역사의 교재(The Move to Global War, 이하『IBDP 역사교재』)의 질문을 분석하였다. 『IBDP 역사교재』의 각 단원을 구성하는 항목 가운데 질문으로 간주할 수 있는 것은 사료 연계 질문(종합 질문 포함), ATL에 따른 질문, TOK와 학급토론에 따른 질문 등이다. 사료 연계 질문은 1번부터 4번까지 정해진 문항 형식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시되며, 질문의 목적과 문제 해결 방향이 명확할 뿐 아니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전적으로 사료에 집중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ATL에 따른 질문은 학습자에게 필요한 역량을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그에 따른 질문을 제시하는데, 학습자의 사고와 탐구를 강조하며, 학습에 필요한 역량을 범주화하고 역량별 질문의 고른 개발을 안내하는 등 교수・학습의 전략적 측면에서 의미를 지닌다. TOK에 따른 질문은 지식의 생성 과정을 성찰하며 전 단원에서 역사 학습의 본질에 관한 물음을 던지는데, 이는 역사 학습의 전 과정에 ‘역사하기’가 스며들 수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또한 교재 전체의 질문 구조에서 사료 연계 질문과 ATL에 따른 질문이 기초단계라면, TOK와 학급토론에 따른 질문은 일종의 심화 단계로 기능한다고 볼 수 있다. 각 질문의 특징과 이에 기반한 시사점 도출을 바탕으로, 본고는 새로운 교과서의 편찬 및 현장 수업에서 질문 개발에 관해 다음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습의 목표와 방향에 초점을 맞춘 일정한 질문의 형식(유형)을 사전에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역사 학습의 본질을 토대로 ‘역사다운 질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단원(주제)이 질문의 구조 속에서 단계화되도록 수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IBDP 역사 교재와 우리나라 교과서를 단순 비교할 수는 없지만, IB 교육과 우리 교육의 지향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학생의 사고와 탐구를 강조하는 질문 사례나 IB의 내용 선정과 조직 방식 등 우리가 참고할 수 있는 사항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