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부의 공정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정부혁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두호(Yoo, DooHo),엄영호(Eom, YoungHo),윤선일(Yun, Sunil)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지방정부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정부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개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자세한 분석을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로 구분하여 공정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으며, 이와 더불어 정부혁신에 대한 인식이 정부의 공정성과 개인의 행복 간 관계에서 어떠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공정성, 정부혁신에 대한 인식은 개인의 행복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혁신에대한 인식의 조절효과에서는 중앙정부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과 행복 간 관계에서는 부정적인 효과를 보이며, 지방정부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과 행복 간 관계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정부는 투명한 정책 집행 공유와 같은 노력으로 실질적으로 공정성을 높여야 함을 제시한다. 또한, 중앙정부는 공정성 제고 자체에 대한 노력에 집중하고, 지방정부는 공정성 제고와 더불어 정책적 혁신을 통해 궁극적으로 이러한 노력들이 개인의 행복과 연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government perception of fairness on individual happiness. For a more detailed analysis, we looked at the perception of fairness divided into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long with identifying how the perception of government innovation has a regulatory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fairness and individual happines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fairnes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ir perception of government innovation increase individual happines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regulating the perception of government innov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s perception of fairness and happiness, and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perception of fairness and happiness. Through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governments should substantially increase fairness with efforts such as transparent policy enforcement sharing. In addition, the central government focuses on efforts to enhance fairness itself, and local governments suggest that these efforts should ultimately be linked to individual happiness through policy innovation along with enhancing fairness.

      • KCI등재

        지방의료원 정책의 정치적 동학 : 성남시의료원 설립 사례를 중심으로

        유두호(Yoo, Doo Ho),이정욱(Lee, Jung Wook) 한국국정관리학회 2021 현대사회와 행정 Vol.31 No.2

        최근 지방정부 차원의 감염병 대응 및 공공의료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지방의료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지방의료원 설립은 수익성과 공공성 간의 충돌 가능성, 지방의료원의 필요성을 둘러싼 이념적 대립 등 정치적 복잡성으로 인해 그 추진이 결코 용이하지 않으며, 실제로 적지 않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지방의료원 신설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의료원 설립 정책을 둘러싼 정치적 동학을 파악하고, 지방의료원 설립의 성공요인을 발견 하기 위해 성남시의료원 설립 사례를 선정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Kingdon(1995)의 다중흐름 모형과 Moore(1995)의 정치적 관리(political management)를 결합한 이론적 분석틀을 활용 하였다. 분석 결과, 주민발의를 통해 정책문제로 등장한 성남시의료원 설립 정책은 수익성과 공공성의 대립과 같은 정치의 흐름, 다양한 조례를 통한 정책대안의 흐름이 존재하였다. 이후, 정책기업가의 등장으로 정책의 창이 열리고 정책기업가이자 공공관리자는 SNS 활용을 통한 기업 가적 옹호 전략, 효과적인 정책개발관리, 공개 토론회를 통한 협상과 공적 숙의의 장 마련 등 다양한 정치적 관리 전략을 활용함으로써 지방의료원 설립을 실현하였다. 성남시의료원 설립 정책의 성공적 추진 사례를 분석한 본 연구는 정치적 갈등이 첨예한 정책의 성공을 위해 상황에 맞는 다양한 정치적 관리 전략의 활용이 요구된다는 실천적・관리적 함의를 제공한다. Recently, the necessity of regional public hospital policy has been emphasized in relation to the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and provision of public medical servic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However, despite this necessity,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public hospital is a difficult policy to realize due to the complex political environment, such as the value conflict between profitability and publicity, and ideological conflict.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the case of establishment of Seongnam Citizens Medical Center in order to grasp the political dynamics surrounding the policy of regional public hospital and discover the success factors of the policy. This study also utilized integrated approach that composed of the multiple stream framework of Kingdon(1995) and the political management perspective of Moore(199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stablishment of Seongnam Citizens Medical Center had a flow of politics such as a conflict between profitability and publicity, and a flow of policy alternatives through various ordinances. After that, the emergence of policy entrepreneurs opens the window of policy, and he used various political management strategies, such as entrepreneurial advocacy strategies through the use of SNS, effective policy development management, negotiations through public debates, and public deliberation. This study presents prac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that the use of various political management strategies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is required for the success of policy with political conflicts.

      • KCI등재

        사회적 협동조합의 사회적 가치 창출 영향요인 분석 : 조직 내부요인과 지방정부 역량을 중심으로

        유두호(Yoo, Doo Ho),엄영호(Eom, Young Ho)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0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조직 내부요인과 지방정부 역량에 따른 사회적 협동조합의 사회적 가치 창출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사회적 가치를 정량화된 지표로 살펴보기 위해 취약계층 고용 인원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조직의 풍부한 여유자원과 활발한 네트워크는 사회적 협동조합의 사회적 가치 창출을 높이나, 지방정부의 역량은 사회적 가치 창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방정부 역량에 따른 사회적 협동조합에 대한 지원에 있어 다양성보다는 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고민이 보다 요구됨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협동조합의 사회적 가치 창출은 조직 본연의 노력과 동시에 사회적 협동조합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지방정부의 적합한 정책수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social value creation in social cooperatives according to internal organizational factors and local government capacity. Employment in the vulnerable class was used to look at social valu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rganizations that have abundant resources and active networks increase the social value of social cooperatives. However, th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was shown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value cre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icies to support social cooperatives should support change more effectively. Thus, this study proposes that social value creation in social cooperatives requires appropriate local government policy that can substantially support social cooperatives simultaneously to an organization"s own efforts.

      • KCI등재

        컬러 채널 상관관계를 고려한 에지 방향성 컬러 디모자이킹 알고리즘

        유두식(Du Sic Yoo),이민석(Min Seok Lee),강문기(Moon Gi Kang)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3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8 No.4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dge directed color demosaicing algorithm considering color channel correlation.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local region classification step and edge directional interpolation step. In the first step, each region of a given Bayer image is classified as normal edge, pattern edge, and flat regions by using intra channel and inter channel gradients. Especially, two criteria and verification process for the normal edge and pattern edge classification are used to reduce edge direction estimation error, respectively. In the second step, edge directional interpolation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ed regions. For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al interpolations, missing color components are obtained from interpolation equations based on intra channel and inter channel correl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directional interpolation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outperforms conventional approaches in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terms.

      • KCI등재

        컬러 보간 에러 감소를 위한 에지 방향성 컬러 보간 방법과 결합된 디블러링 알고리즘

        유두식(Du Sic Yoo),송기선(Ki Sun Song),강문기(Moon Gi Kang)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7

        디지털 이미징 장치는 일반적으로 베이어 패턴(Bayer pattern)을 사용하며, 영상 획득 과정에서 광학적 블러(blur)에 의해 영상의 품질이 손상된다. 블러된 베이어 영상에서 고해상도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컬러 보간 방법과 디블러링 방법을 독립적으로 수행한다. 하지만, 베이어 샘플링에 의한 에지 정보가 불충분하여 에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보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컬러 보간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다. 이러한 에러는 디블러링 과정에서 강조되어 영상의 품질을 하락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은 컬러 보간 방법과 결합된 디블러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크게 보간 단계와 영역 결정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보간 단계에서는 가정된 에지 방향에 따라 보간 및 디블러링 과정을 수행하고, 영역 결정 단계에서는 각 화소 위치에서 국부 영역의 특성을 추정하고, 보간 단계에서 구한 값을 영역 적응적으로 융합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디블러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학적 블러와 유사한 파동 광학에 근거한 블러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추정한 국부 영역 특성을 반영하여 디블러링 필터를 추정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이 컬러 보간 에러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존 방법에 비해 수치적인 면과 시각적인 면에서 뛰어난 결과를 보임을 확인 할 수 있다. In digital imaging system, Bayer pattern is widely used and the observed image is degraded by optical blur during image acquisition process. Generally, demosaicing and deblurring process are separately performed in order to convert a blurred Bayer image to a high resolution color image. However, the demosaicing process often generates visible artifacts such as zipper effect and Moire artifacts when performing interpolation across edge direction in Bayer pattern image. These artifacts are emphasized by the deblurring proces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deblurring algorithm combined with edge directional color demosaicing method. The proposed method is consisted of interpolation step and region classification step. Interpolation and deblurring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according to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respectively during the interpolation step. In the region classification step, characteristics of local regions are determined at each pixel position and the directionally obtained values are region adaptively fused. Also, the proposed method uses blur model based on wave optics and deblurring filter is calculated by using estimated characteristics of local region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deblurring algorithm prevents the boosting of artifacts and outperforms conventional approaches in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terms.

      • KCI등재

        지방정부 권한 확대 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지방정부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두호(Yoo, Dooho),유나리(Yoo, Nari) 인천연구원 2020 도시연구 Vol.- No.18

        중앙과 지방정부 간 관계를 다루는 연구가 다수 진행됐음에도 불구하고 분권화에 대한 국민의 인식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정부 권한 확대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으로 지방정부의 역량과 신뢰에 대한 국민의 인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방정부의 역량을 윤리 및 행정역량으로 구분하였고, 이들 역량이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를 통하여 지방정부의 권한 확대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세대학교 미래정부연구센터의 ‘2020년 초변화사회의 신뢰받는 미래정부 통계조사’ 결과자료를 활용하여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민이 지방정부의 윤리역량과 행정역량을 높게 인식할수록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며, 이러한 신뢰는 다시 지방정부의 권한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즉, 유능하고 공정한 정부는 주인인 국민이 대리인인 정부에 더 많은 권한을 위임할 수 있는 필수요건이지만, 이러한 역량들을 통하여 국민과 정부 사이 신뢰가 구축될 때 비로소 국민은 지방정부의 권한 확대에 지지를 보낼 것이다. While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relation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citizens’ perception on the relations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xpansion of local government authority.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citizens’ perception of the competence of and trust in local governments and divides the capacities of local government into ethical and administrative capacities. This study establishes a mediating effect model in which these capacities affect the expansion of authority of local governments through trust in local governments. For this reason, the research conducts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Institute for Future Government survey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citizens’ trust in local governments increases as their perception of the ethical and administrative capacities of local governments increases, which in turn has a positive impact on expansion of local governments’ authority. A competent and fair government is a prerequisite for the people as the principals to delegate more powers to the governments as agents. However, the people will only support the expansion of local government when these capacities build public trust.

      • KCI등재

        사회적 기업의 조직 역할 확대 : 역능적 행위자성과 제도적 논리를 중심으로

        유두호(Dooho Yoo),유승주(Seungju Yoo)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인사조직연구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역할 확대를 추동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늘어가는 사회적 난제(wicked problem)의 대안으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이들에게 요구하는 책임과 역랑 또한 크게 증대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 역할 확대에 주목하여, 기업의 내적·외적 요인의 영향력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특히, 제도주의 조직론(organizational institutionalism)에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역능적 행위자성(empowered actorhood) 개념을 사회적 기업에 적용하여, 제도적 논리(institutional logic) 변화의 흐름에 조응하는 조직의 행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증가된 자발적 행위자성은 기업의 역할을 확대 시키는 선행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융합 추구라는 제도적 논리의 변화에 조응하는 기업일수록 역할 확대를 시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추가적으로 영세한 조직이 많은 사회적 기업의 생태계 특성을 반영하여 조직규모에 따른 분석을 시도한 결과, 조직규모가 10인 미만인 사회적 기업은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한다고 인식할수록 역할을 확대하며, 여타 사회적 기업을 통해 발현되는 상대적 행위자성이 높을수록 역할을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인 이상인 사회적 기업은 사회문제 해결의 주체로 인식할수록 역할을 확대하며,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융합을 추구할수록 역할을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행위자성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여 사회적 기업에 적용하였다는 이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정보의 비대칭적인 상황 속에서 사회적 기업이 무리한 목표설정 보다는 기업 내부의 역량과 여건에 부합하는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는 실무적 함의와 함께 행위자성을 끌어올려 스스로의 역할 확대를 가능하게 하는 정책 설계와 상대적 행위자성이 발현될 수 있는 사회적 기업의 지위 확인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요구된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driving the expansion of the roles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 As an alternative to the growing wicked problem, interest in social enterprises has increased, along with the responsibilities and challenges they demand.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expanding the roles of social enterprises whileattempting to capture the influence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 particular, it applies the concept of empowered actorhood, which is actively discussed in institutional institutionalism, to Korean social enterprises in order to explain the behavior of organizations in response to the flow of changes in institutional logic. The results showed that increased actors became a leading factor in expanding the roles of firm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mpanies that pursue social value and economic value are trying to expand their roles. This study can suggest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newly defining the concept of actors for application to social enterprises. In addition, the study has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social enterprises should set goals that conform to internal capabilities and conditions rather than excessive targets set in the context of asymmetrical information, as well as the need to design policies that enable enterprises to expand their roles and establish a system for identifying the status of social enterprises.

      • KCI등재

        준거집단 압력과 제도 생태계를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 사회적 기업의 지역사회 재투자를 중심으로

        유두호(Dooho Yoo),황정윤(Joungyoon Hwang),장용석(Yong Suk Jang) 한국국정관리학회 2019 현대사회와 행정 Vol.29 No.2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목적 실현을 위한 주요 수단 중 하나인 지역사회 재투자의 영향 요인을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7년 이후 사회적 기업의 양적 확대와 더불어 관련 실증연구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나,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지역사회 재투자에 대해서는 관심이 부족했다. 자원기반관점과 제도주의 조직론에 기반하여 2017년 한국사회적기업흥원에서 운영하는 자율경영공시제도에 참여한 242개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재투자의 영향요인을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수익이 높아질수록 지역사회 재투자 가능성 또한 높아지지만, 그 효과는 영업활동을 통해 충분한 이익을 얻고 있는 사회적 기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둘째, 인증연도가 같은 사회적 기업이 지역사회 재 투자를 많이 할수록 해당 사회적 기업의 지역사회 재투자 가능성이 높아진다. 셋째, 해당 지역의 사회적 경제 조직장의 활성화는 사회적 기업의 지역사회 재투자 규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기업의 지역사회 재투자라는 의사결정이 조직 내부적 요인과 함께 환경적 차원의 영향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임을 시사한다. 그에 따라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가치 창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선순환과 더불어 생태계 차원의 제도적 영향력을 함께 고려하여 유인구조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factor sof community reinvestment, which is one of the main means of realizing social purpose of social enterprises. In addition to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social enterprises since 2007, relevant empirical studies have also been on the rise, but there has been a lack of interest in community reinvestment to realize social objectives. Based on the resource based view and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sm, 242 social enterprises that participated in the voluntary management disclosure system operated by the Korea Social Enterprise Development Institute in 2017 were shown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economic return of a social enterprise, the higher the likeligood of community reinvestment, but the effect is noticeable in social enterprises that are earning sufficient profits through their business activities. Second, the more social enterprises with the same certification year invest in the community, the more likely they are to reinvest in the community. Third, the activation of the local social economic organizer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cale of community reinvestment by social enterpri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cision of social enterprises to reinvest in the community was a combin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long with internal organizational factors. Accordingly, it is deemed necessary to design a manned structure by considering the virtuous circle of economic and social values as well as the institutional influence at the ecological level in order to expand the social value creation of social enterprises.

      • 국부영역에 적응적인 Bayer 패턴 영상 보간

        유두식(Du-sic Yoo),강희(Hee Kang),강문기(Moon Gi Kang) 대한전기학회 2009 정보 및 제어 심포지엄 논문집 Vol.2009 No.10

        본 논문은 국부 영역에 적용적인 Bayer 패턴 영상 보간 방법을 제안하였다. Taylor series를 이용하여 국부 화소 특성을 잘 반영하는 색상 보간식을 구하고, 구한 보간식을 이용하여 수평, 수직 에지방향 판단 기준을 결정하였다. 에지 방향 판단 기준을 이용하여 국부 영역의 특성을 잘 반영 하도록 에지 방향에 따라 영역을 분류하였다. 판단된 영역에서 국부 영역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앞서 구한 보간식에 의한 결과를 적절히 융합하여 최종 보간값을 결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기존 알고리즘 보다 우수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 연구

        유두한(Yoo Doo Han),홍덕기(Hong Deok Gi),황선정(Hwang Sun Jung)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4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만 3~10세 뇌성마비 아동 87명의 감각처리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보호자를 대상으로 동의 후에 평가용지와 평가지침서를 우편 또는 방문을 통해 작성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Winstep 3.81을 통해 라쉬분석을 실시하여 항목과 대상자의 적합성, 항목의 난이도, 평정척도의 적합성, 대상자와 항목의 분리신뢰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87명의 뇌성마비 아동 중에 4명의 아동이 부적합 대상자로 나타났다. 부적합한 대상자를 제외한 83명의 대상자로 항목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15개 항목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항목의 난이도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비해 낮은 난이도의 평가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어 높은 평가항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프로파일의 평정척도 분석결과에서는 5점 척도보다는 3점 척도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점 척도의 항목과 대상자에 대한 분리신뢰도는 0.90 이상 값으로 우수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난이도가 높은 새로운 평가항목의 개발과 3점 척도의 점수체계 변환으로 타당도가 검증된 감각프로파일의 임상적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ensory Profile for children with congenital cerebral palsy. Parents of 87 children(the ages of 3 to 10) with congenital cerebral pals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Winstep version 3.81 using the Rasch model to examine the uni-dimensionality of the fit of each item, the distribution of difficulty of each item, and the relia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rating scale. Based on a Rasch analysis, four out of the 87 children were considered to be inappropriate participants, and 15 item of the Sensory Profile was determined to be an inappropriate item. The items of high-level difficulty are needed as new items of the Korean Sensory Profile. The rating scale of three categories were appropriate than those of the five categories. The person and item separation reliability of three categories was above 0.90, which is a relatively excellent value. Finally, it will be need to verify of validity for Korean version of Sensory Profile, to develop new item of a high level of difficulty and convert into three point rating sc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