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이미지를 활용한 플로랄 디자인 제안에 관한 작품 연구

        이사무엘,노경란,유금명,전영희,서지현,김유선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3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8 No.-

        The net function of the flower not only gives a person a sense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but also contributes to the promotion of physical health through direct cultivation. In addition, the higher the cultural level, the higher the consumption of flowers, and in some developed countries, flower consumption has already become a very natural phenomenon in daily life. While there is a consumption culture for decoration that suits each person's taste, in Korea, flower consumption per person is less than 120,000 won, which is very small compared to other developed countries, according to the 2018 statistics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reality is that many view flower products only as luxury goods or consumer goods or gifts that are used without recognizing them as cultural products that improve the quality of culture and quickly wither away. In addition,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Illegal Solicitation and Money and Collection" and COVID-19, the decrease in demand for flowers used in graduation ceremonies and various events, such as collection bans, have dealt a heavy blow to the flower industry and plunged into a long-term recessi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can be described as a connected network and can be used as a communication tool to exchange opinions on common interests with others. For companies, not only securing customers but also creating economic value as a new revenue model such as advertising and social ripple effects are drawing keen attention, and are recognized as a new marketing channel. In line with this trend, companies are strategically participating in SNS to promote and market their products and brands. When new products are released through SNS such as Instagram and Facebook, which can communicate with customers in real time, companies are establishing network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by promoting new product information, brand news, and event information. In particular, SNS is known to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qualitative limitations of information on empirical attributes that have been known after using goods and services unlike in the past. Therefore, flower shops also use SNS as a marketing tool to survive only when changes are made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trend of the times. In this study, we will provide flower-related companies with effective strategies and basic data to promote sales and operating profit of flower shops by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purchasing intentions. Based on these results, Floral design works that can be used in education were proposed. Color analysis data associated with urban agriculture and smart farms through case suggestions using thi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used in the operation of various projects and education in each field. 전세계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에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를 조사분석하여 각각의 연상되는 색채이미지 팔레트를 구축하고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이미지를 비교분석하여 각 분야에서 환경구성과 마케팅 전략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색채이미지 데이터 구성을 위해 20~30대 디자인전공자 100여명을 대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단어와 색채를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도시농업에 연상되는 단어는 스마트팜 23%, 텃밭 19%, 환경 19%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는 자동화 38%, 식물공장 15%, 친환경 1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각각 연상되는 단어를 포탈사이트에서 검색을 통한 이미지 색채를 분석하였다. 색상은 도시농업에서 연상되는 단어(스마트팜, 환경, 텃밭)에서 Green Yellow, Green, Yellow Red순으로 높은 결과가 나왔고, 톤(tone)은 white톤이 가장 많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자동화, 친환경, 식물공장)에서 Green, Blue, White순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톤(tone)은 deep톤과 white톤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환경, 이미지, 연상색채를 분석한 결과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 이미지는 같은 계열의 색상은 맞지만, 도시농업은 좀 더 연하고, 스마트팜은 도시농업보다 조금 짙은 색이 연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도시농업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하려고 할때는 Green Yellow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였을 때 이미지를 두각시킬 수 있으며 톤(tone)은 vivid톤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스마트팜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 할 때는 Green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설득력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톤(tone)은 deep톤을 선호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플로랄 디자인 작품을 제안하였으며,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분석 데이터와 이를 활용한 사례 제안을 통해 각 분야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사업과 교육의 운영 시 사용되는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이미지 비교 분석

        이사무엘(Samuel Lee),노경란(Kyungran No),유금명(Jinming Liu),이미자(Miza Lee),이상훈(Sanghoon Lee),전영희(Younghee Jeon),김유선(Yoosun Kim) 한국색채학회 2022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2

        전세계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에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를 조사분석하여 각각의 연상되는 색채이미지 팔레트를 구축하고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이미지를 비교분석하여 각 분야에서 환경구성과 마케팅 전략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색채이미지 데이터 구성을 위해 20∼30대 디자인전공자 100여명을 대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단어와 색채를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도시농업에 연상되는 단어는 스마트팜 23%, 텃밭 19%, 환경 19%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는 자동화 38%, 식물공장 15%, 친환경 1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각각 연상되는 단어를 포탈사이트에서 검색을 통한 이미지 색채를 분석하였다. 색상은 도시농업에서 연상되는 단어(스마트팜, 환경, 텃밭)에서 Green Yellow, Green, Yellow Red순으로 높은 결과가 나왔고, 톤(tone)은 white톤이 가장 많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자동화, 친환경, 식물공장)에서 Green, Blue, White 순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톤(tone)은 deep톤과 white톤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환경, 이미지, 연상색채를 분석한 결과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 이미지는 같은 계열의 색상은 맞지만, 도시농업은 좀 더 연하고, 스마트팜은 도시농업보다 조금 짙은 색이 연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도시농업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하려고 할때는 Green Yellow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였을 때 이미지를 두각시킬 수 있으며 톤(tone)은 vivid톤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스마트팜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 할 때는 Green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설득력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톤(tone)은 deep톤을 선호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