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손가족 청소년의 대인관계에서 경험하는 외로움에 관한 질적 연구

        이옥주(Lee, Okjoo),유금란(Yu, Kuml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사회를 살고 있는 조손가족 청소년이 대인관계에서 체험하는 외로움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상에서 외로움을 경험한 적이 있는 조손가족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외로움 경험에 대한 경험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를 통하여 탐구하였다. 참여자는 총 8명(중학교 3명, 고등학교 4명, 학업중단 1명)으로 구성되었으며, 2~3회의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참여자별 면담은 사전에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얻어 진행되었으며 연구자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최대한 참여자의 표현으로 기술하려고 노력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외로움 경험의 주제는 4개의 범주, 9개의 주제 군, 24개의 주제가 산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조손가족 청소년들은 혼자 지내야 하는 시간이 많고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일들이 많아 정서적 외로움을 자주 경험하였다. 둘째, 조손가족 청소년들의 부족한 가족 자원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이나 친구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으며 셋째, 이러한 또래관계에서의 외로움 경험으로 인해 참여자들은 위축되고 자신감이 적어지기도 하였다. 넷째, 참여자들은 외로움을 경험할 때 슬픔, 상처, 홀로 버려진 듯한 막막함, 긴장, 우울, 불신 등 다양한 정서적 어려움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은 외로웠던 관계에서 벗어나 친밀한 관계를 맺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면서 힘들었던 외로움 경험에 대한 의미를 긍정적으로 재구성하고 있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상담에서의 함의 점 및 한계점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tter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loneliness among adolescents in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utilized a qualitative approach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loneliness. A total of 8 adolesc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Colaizzi’s approach and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4 categories, and 12 subject groups. The 12 subjects were categorized as ‘I feel abandoned and alone in the world’, ‘a family that does not know my heart’, ‘tensions and difficulties in school life’, ‘feelings of misery by gazing at myself’, ‘sorrow’, ‘building a wall and retreating into myself’, ‘facing my own past’, ‘understanding people around me with a new perspective’, ‘a change in me’, ‘a reflection of the precious meaning of my experience of loneliness’, ‘recovery of precious relationships’, and ‘I know that I am not alon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한국판 복합외상질문지(CTI)의 타당화 연구

        김소희(KIM, Sohee),유금란(Yu, Kumlan) 한국재활심리학회 2020 재활심리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외상질문지(Complex Trauma Inventory: CTI, Litvin, Kaminski, & Riggs, 2017)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CTI의 요인구조를 확인, 타당화하는데 있다. CTI는 새로 개정된 ICD-11(WHO, 2018)의 복합외상후 스트레스 장애(CPTSD) 진단준거를 바탕으로 개발된 질문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생 210명 중 외상사건 경험이 있다고 보고한 160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에 따라 복합외상증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성의 복합외상증상이 남성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복합외상증상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외상유형에 따라 복합외상증상의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20문항으로 구성된 2요인 위계모형을 확인하였다. CTI의 하위요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요인(PTSD)과 자기조직화 곤란 요인(DSO), 모든 하위요인들 간 상관관계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척도의 추가적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복합외상후 스트레스 척도(SIDES- SR), 핵심신념 붕괴 척도(CBI)와 CTI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타당도 검증 결과, CTI의 모든 하위요인이 SIDES-SR, CBI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수렴타당도에서 타당한 결과를 보였다. 증분타당도 검증 결과, SIDES-SR에 대해 CTI가 추가적인 설명량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ICD-11의 새로운 진단명인 CPTSD를 바탕으로 하는 복합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을 측정하는 척도를 번안, 타당화하여 국내 복합외상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Complex Trauma Inventory(CTI) originally developed by Litvin, Kaminski & Riggs(2017) in the Korean context with factor analysis. The CTI was developed based on the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efinition and a new disorder CPTS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newly revise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ICD-11). This study analyzed 160 copies of 210 college students who reported having traumatic incidents. Results of this study, CTI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and also among different types of trauma, but not across different age group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wo factors second-order model, each measured by 3 first-order factors and all factors show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for PTSD and DSO(disturbances in self -organization). Convergent and incremental validity of the CTI were good with other CPTSD scale (SIDES-SR) and the core belief scale(CBI).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cale were valid to use for Korean sampl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COVID-19 시기 재택근무 워킹맘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이은영(Lee, Eunyoung),유금란(Yu, Kumra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3 아시아여성연구 Vol.62 No.3

        This study was based on job demands-resources theory and focused on mothers who were teleworking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COVID-19 pandemic. In this study, work-family conflic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elework intensity were categorized into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personal resources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mong subtypes of teleworking mother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328 mothers who were raising children aged 5 to 7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ile telecommut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classified these mothers into three distinct groups: “adaptive,” “average,” and “maladaptive.” Specifically, the “adaptive” group had the highest life satisfaction. Despite having the highest levels of work-family conflict, which is classified as a job demand, they had hi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maintained an appropriate intensity of remote work, which is a job resource, leading to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than in the “maladaptive” and “average” groups. We further analyzed satisfaction. The “maladaptive” type, with high work-family conflict as a job demand and the lowes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a personal resource, showed the lowest life satisfaction, with low work-family conflict and a high intensity of telework (another job demand); the “average” type, with an appropriate level of personal resources, showed moderate life satisfaction compared to both group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prac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of mothers who telecommute.

      • 아동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김문정(Kim Mun Jeong),유금란(Yu Kum lan) 한국통합치료학회 2016 통합치료연구 Vol.8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an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nvironmental features which are personal features of child counselors on job stress, burn-out and job engagement. Questionnaire was performed by sampling child counselors with their career over 1 year who use psychological therapeutic approach by targeting the children below full 18 years old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Cheonan regions. 192 copies among these was used as a data for analysis. First, positive correlation was represented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and negative correlation was represented between job stress and job engagement. In addition, negative correlation was represented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burn-out and positive correlation was represented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engagement.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 counselors played a role of partial mediation in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 counselors played a role of partial medi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engagement. 본 연구는 아동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및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표본은 서울 및 경기와 천안 지역에서 만 18세 미만의 아동을 상담하는 1년 이상 경력의 아동상담자 1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의 기술통계량을 분석하기 위해 첫째, SPSS 18.0을 사용 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s ?析だ? 산출하였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들이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t 검증과 F 검증을 사용하였다. 셋째,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은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정서지능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열의는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정서지능과 직무열의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동상담자의 정서지능이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였다. 아동상담자 정서지능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소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영향력을 중재하는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상담자의 정서지능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열의 관계에서 열의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영향력을 중재하는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기본심리욕구와 산후우울의 관계: 배우자지지, 결혼만족도의 매개 효과

        배연욱(Yeon Wook Bae),유금란(Kum Lan Yu)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성이론과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자기결정성이론 중 하나인 기본심리욕구가 배우자 지지와 결혼 만족을 매개로 산후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출산 후 1년 이내의 자녀를 양육하는 산모 31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설모형과 측정모형은 모두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변인간 경로를 설정한 가설모형과 비교했을 때, 배우자 지지에서 산후 우울로 가는 경로를 제외한 경쟁모형이 적합도에서 차이가 없으면서 비교적 간명해 이를 최종 모형으로 선택하였다. 최종 모형에서의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기본심리욕구의 좌절은 산후 우울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본심리욕구의 좌절은 배우자 지지와 결혼 만족을 통해 간접적으로 산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결혼 만족은 배우자 지지와 산후 우울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산후 우울과 관련한 상담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 상태와 배우자와의 관계, 결혼 만족 정도를 우선 파악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확인되었다.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onfirmed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among Self-Determination Theory have an indirect influence on the postpartum depression through mediation of spous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A sample of 313 mothers who raises her child within a year of giving birth complet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indicated that both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fit to the data. Meanwhile, when compared with the hypothesized model in which the path between all variables is established, the competitive model excluding the path from spousal support to postpartum depression has no difference in fitness, and was relatively simple and adopted as the final model. In the final model, the link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ostpartum depress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spous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In addition, marital satisfaction was found to mediate completely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al support and postpartum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it would be helpful to identify the statu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pouse support, and marriage satisfaction in counseling related to postpartum depression.

      • KCI등재

        대학생의 상실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양식의 조절효과

        신나라(Shin, Nara),유금란(Yu, Kumla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3

        본 연구는 상실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상실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양식의 하위요인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상실경험, 정서조절양식, 우울을 측정하였다. SPSS 22.0을 사용하여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량 및 상관을 알아보았으며,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SPSS Macro를 이용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으로 상호작용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상실경험과 그 하위요인인 죽음상실, 관계상실, 물리적/심리적 상실은 우울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정서조절 양식의 하위요인인 회피/분산적 양식은 우울과 정적 상관, 지지추구적 양식은 우울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상실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끝으로, 상실을 경험한 대학생 상담에서 정서조절양식을 활용한 상담 및 심리치료적 개입방법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ss experience and depression. For the study of purpose, a total of 360 undergraduate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loss experi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Second, ac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moderated the effect of loss experience on depres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부모의 자기분화와 부부친밀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 상대방효과

        임승희(Seunghee Lim),유금란(Kumlan Yu) 한국가족치료학회 2020 가족과 가족치료 Vol.28 No.4

        본 연구는 부모의 자기분화와 부부친밀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 모형(APIMeM)을 활용하여 5∼13세 자녀가 있는 부모 220쌍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자기분화와 부부친밀감의 경로에서, 부모 모두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분화와 양육태도와의 경로에서, 부모 모두 자기효과가 나타났으며, 상대방효과에서는 어머니의 자기분화만이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친밀감과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는, 아버지의 부부친밀감이 자신의 양육태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부모의 자기분화는 아버지의 부부친밀감을 매개로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부모가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력과 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상담, 부모교육 등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intim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elf-differentiation and parenting attitude by using the standard APIMeM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Methods: A total of 220 pairs of parents with a child (children) aged from 5 to 13 were recruited for participation in the study. Results: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lf-differentiation of parents affected not only themselves but also the marital intimacy of the partner. Second, the self-differentiation of parents affected their parenting attitude, and the mother’s self-differentiation also affected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Third, the father’s marital intimacy only affected his parenting attitude. Fourth, the parents’ self-differentiation affected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through the medium of the father’s marital intimacy. Conclusions: The study provided opportunities to understand how both parents influence their own and their partner’s parental attitude differently based on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 KCI등재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학부모위원의 활동경험과 지원방안에 대한 질적연구

        김정숙(Jeong-Suk Kim),유금란(Kumlan 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이하 학폭위) 학부모위원이 위원 활동을 하면서 심리적으로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위원 활동을 위한 지원방안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회 이상 학폭위에 참석 경험이 있는 학부모위원 10명을 대상으로 2019년 6월 7일부터 6월 20일까지 2개의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5개의 주제 질문에 대해 내적동기, 외적동 기, 보상, 한계, 역할, 태도, 교육지원, 권한 및 보호체계, 자문지원, 의견, 대안 등 11 개의 영역에서 34개의 범주, 73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학부모위원은 위원 활동에 있어서 내적 동기가 높았으며, 긍정적 경험보다는 부정적 경험을 더 하였고, 학폭위 활동의 전문성을 위해 다양한 지원방안을 제안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서도 제언하 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parents who are members of the Autonomous Committee for School Violence Countermeasur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utonomous committee) and to seek ways to support their activities. For this, 10 parent members who have attended the autonomous committee more than twice were interviewed dived into two focus groups from June 7th to June 20th, 2019 and the data was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can be 34 categories and 73 subcategories derived from 11 areas, including internal motivation, external motivation, compensation, limitations, roles, attitudes, educational support, authority and protection systems, advisory support, opinions and alternatives, for the 5 subject questions. Moreover, the parent members have encountered negative experiences more than positive ones but still they had high internal motivation for their activism, and proposed various support measures for the professionalism of the committee activities. Based on this, we hav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ed area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정서표현 양가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박근아(Geun A Park),유금란(Kumlan 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정서표현 양가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총 70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 질문지, 정서표현 질문지, 한국판 UCLA 외로움 척도를 시행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량 및 상관을 알아보았으며, AMOS 21.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SEM)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외로움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정서표현성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정서표현성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나, 하위요인은 정서표현성과 각각 상반된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외로움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요인은 외로움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서표현성은 외로움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적응적/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정서표현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이는 상담에서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는 내담자가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도록 돕거나, 정서를 표현하도록 돕는 등 정서표현에 대한 상담자의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loneliness. Methods A sample of 704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survey including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EQ-K),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CERO),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EEQ),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and AMOS 21.0. Results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loneliness,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expressi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expression, but sub-factors showed opposit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loneliness, but the sub-factor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oneli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oneliness.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validati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lonelines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unselor's intervention in emotional expression is necessary, such as helping clients who us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o us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r to express emotions in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