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透視圖 作圖時에 視点의 位置選定에 關한 考察

        柳光洙 忠南大學校 1972 論文集 Vol.11 No.-

        In the drawing of perspective if we select the piostion of the station point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 a person can read the better proportion of the normal object on ground at a glance; 1) The distance of the station point form the picture plane must be twice the maximum width of the object. 2) The direction of the center visual rays must be focused on the center of the object. 3) The height of the station point must be same as the normal eye level.

      • KCI등재

        <최고운전>의 설화적 전승과 ‘최치원설화’의 연원

        유광수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0 한국문학연구 Vol.0 No.39

        I studied on the folklore of ChoiGoWoonCheon(崔孤雲傳) and the origin of the tale of ChoiChiWon(崔致遠說話). The tale of ChoiChiWon is not the tale of slaying underground monster(地下大賊退治說話). But we have considered that one as this one. In the tale of slaying underground monster, monster took a woman as like a princess away forcibly. And then the hero came and searched monster. Finally the hero found monster and killed it. So he got her back. This tale did not leave negative things. But the tale of ChoiChiWon is not that. In the tale of ChoiChiWon, monster took a woman as like a princess away forcibly, too. And then the hero also came, searched monster, found and killed monster. The Hero got her back, too. But this tale left negative things. The women was kidnaped gave birth to a baby who is ChoiChiWon(崔致遠). He is a great man. Therefore, the tale of ChoiChiWon is not the tale of slaying underground monster(地下大賊退治說話). The birth story of ChoiChiWon(崔致遠誕生譚) in ChoiChiWon(崔致遠) that is a korean ancient novel, is similar to the tale of ChoiChiWon. So, it is true that the novel was written earlier than the tale or the novel was written later than the tale.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e former is right. The novel was written earlier than the tale. The tale of ChoiChiWon was widespread by the person who read a novel text. I expect the study on the text of novel, ChoiGoWoonCheon, and then the purpose of writer and the way of creating will be cleared in the future. 본고에서는 <최고운전>과 최치원설화를 대상으로 두 가지 점을 검토했다. 우선, 최치원설화가 그동안은 별다른 검토 없이 지하대적퇴치설화의 한 유형으로 분류되어 왔는데, 그렇게 보기 힘들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지하대적퇴치설화는 지하대적으로 빚어지는 혼란을 영웅이 해결하는 것으로, 어지럽혀진 사회질서를 재건하는 이야기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최치원설화는 잡혀갔던 여성에 의해 긍정적 존재인 최치원이 출생한다는 점에서 금돼지의 긍정적 측면이 드러나고, 훼손된 질서를 재건하는 것이 아니라 지하대적의 자식이 출생함으로 인해 어지러움이 지속된다는 점에서 혼선이 생긴다. 즉 명확한 선악의 이분법이 작용하는 지하대적퇴치설화와 최치원설화는 거리가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최치원설화는 <최고운전>의 최치원출생담과 같은 내용으로 분명한 수수관계가 성립하는데, 이 둘 중 어느 것이 먼저인가를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소설 → 설화’의 관계가 됨을 확인하였다. 고상안의 『효빈잡기』를 통해 <최고운전>이 최치원설화보다 먼저 출현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그렇지만, <최고운전>의 최치원출생담에 여러 설화가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 소설에서나 가능한 ‘금돼지’, ‘녹피’, ‘문창 고을’과 같은 명시적인 것들이 설화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는 점 등을 통해, 소설이 먼저 출현하고 이후 소설을 향유한 사람들에 의해 설화로 전승되었음을 알았다. <최고운전>은 다양한 설화가 조합ㆍ적용된 소설로 작가의 독창적인 창작 방법과 의도에 따라 소설적 성취가 높은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작가의 창작 의도와 창작 방법을 면밀히 검토함을 통해 앞으로 본고의 결과가 보다 더 분명해질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홍길동전>: 홍길동의 자기 존재증명과 욕망의 서사

        유광수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문화 Vol.0 No.31

        In <Hong Gildong-jeon(Tale of Hong Gildong)>, the consistency between the first half of Hong Gildong's domestic activities and the latter half when he had remarkable overseas activities is still unclear, since Hong Gil-dong, who criticized the contradictions of the caste system and feudal system of Joseon Dynasty to help the people, and went abroad to conquer Yul-do without solving the problem. In fact,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parts of <Hong Gildong-jeon> are very unified. Nevertheless, the reason the two parts are considered as being discrepant is because Hong Gildong is seen as a hero, a positive person. Since he was an illegitimate child, he had experienced oppression by his own family until running away from home and congregating thieves to form his team called Hwalbindang to save the people. Hong Gildong is presented through the frame of weak man and a Robin Hood figure, so it became hard for many to understand that he left the Joseon Dynasty without carrying out any major changes domestically and ended up waging a war to invade Yul-do. This paper revealed that Hong Gildong is not the one who corresponds to so-called 'lifestory of a hero', but rather a weak man who was in danger of being born as a illegitimate child, which means that no one wanted his birth. Furthermore, it also identified that after running away from home Hong Gildong staged a series of political protests, such as congregating thieves, forming Hwalbindang, and giving relief to the indigent people by proving and showing his presence to the world. Thereby this paper verified that he ended up proving his presence by being appointed the Minister of War and then ultimately achieving his own desire by going abroad and conquer Yul-do. <홍길동전>에서 홍길동이 조선에서 활동하는 전반부와 해외로 진출해서 활약하는 후반부의 정합성 문제는 여전히 매끄러운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신분제와 봉건제의 모순을 비판하고 탐관오리를 징치하고 백성을 구휼하던 홍길동이 조선 안에서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해외로 건너가 율도국을 정벌하는 행동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실 <홍길동전>의 전반부와 후반부는 매우 정합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럼에도 어긋나게 본 이유는 홍길동을 영웅적이고 긍정적인 인물로만 여기는 시각에 사로잡혀 있기 때문이다. 홍길동이 서얼로 태어나 집안의 박해를 피해 가출한 후 도적을 규합하여 활빈당을 만들고 이를 통해 백성들을 구제했다는 주인공 프레임과 의적 프레임으로 보았기에, 이후 별다른 체제개혁을 수행하지도 않고 조선을 떠나고 급기야 율도국 정벌이라는 전쟁을 벌인 것을 이해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홍길동이 소위 ‘영웅의 일생’에 부합하는 영웅이 아니며, 오히려 사생아로 태어날 위험에 처했던 약자로 아무도 원치 않는 출생을 한 인물이라는 점을 밝히고, 자기 존재를 세상에 증명하고 과시하는 방법으로써 도적을 규합, 활빈당 결성, 탐관오리 징치, 백성 구휼 등의 일련의 정치적 시위를 벌인 것이며, 이를 통해 결국 병조판서를 제수받음으로써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고, 해외로 진출하여 율도국을 정벌하는 것으로 자기 욕망을 궁극적으로 실현했음을 분석하였다.

      • SCOPUSKCI등재

        코발트와 니켈로 치환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Cathode, Li(${Mn_{1-\delta}}{M_{\delta}$)$_2$$O_4$와 ${LiMn_2}{O_4}$의 Cut-off 전압 변화에 따른 충방전 특성

        유광수,박재홍,이승원,조병원 한국세라믹학회 2001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8 No.5

        Cut-off 전압 변화에 따른 충방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Mn을 다른 전이 금속이 Co와 Ni로 소량 치환시킨 Li(M $n_{1-{\delta}}$ $n_{\delta}$)$_2$ $O_4$(M=Ni, Co, $\delta$=0, 0.05, 0.1, 0.2)를 고상 반응법으로 80$0^{\circ}C$에서 48시간 동안 유지하여 합성하였다. 충방전의 cut-off 전압은 2.5~4.4V, 3.0~4.5V, 3.5~4.5V, 3.5V~4.7V의 네 가지 전압범위고 하였다. 충방전 실험결과, Li(M $n_{1-{\delta}}$ $n_{\delta}$)$_2$ $O_4$의 용량은 각각 Co와 Ni의 $\delta$=0.1에서 최대를 보였다. Co 치환 조성 재료와 순물질 모두에서 최대의 용량을 보인 cut-off 전압대는 3.5~4.5V 이었는데 이때의 Li(M $n_{0.9}$ $Co_{0.1}$)$_2$ $O_4$와 LiM $n_2$ $O_4$의 초기 충전용량과 초기 방전용량은 각각 118, 119mAh/g과 114, 104mAh/g 이었다. 또한 모든 cut-off 전압대에서 Li(M $n_{0.9}$ $Co_{0.1}$)$_2$ $O_4$는 순수한 LiM $n_2$ $O_4$보다 더 높은 용량과 우수한 싸이클 성능을 보였으며 그 결과는 밀착형 전지구성에서도 일치하였다.하였다.

      • KCI등재

        <옥련몽> 이본과 善本계열 추정

        유광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7 東洋學 Vol.42 No.-

        Variants of <Okreanmong> and a inference about a group of good variant攀* HongIk Uni. Post-Doc.攀攀Yu, Gwang-su*<Okreanmong(玉蓮夢)> and <Okrumong(玉樓夢)> are very important literary works to understand writing style in 19th Century. Because, writer wrote a <Okreanmong> in first and rewrote it to <Okrumong>. A study on a <Okreanmong> has not be enough, because a study has be concentrated on a <Okrumong>. For the more, variants of <Okreanmong> have not be investigated.This study is invested it’s variants and classifies 3 groups. One is Mixing-group. It’s variants <Okreanmong> had a part inserted in <Okrumong>. Two is BakHakSerWon- group. It’s variants had a part that Yang chang-gok(楊昌曲) goes to his home to meet parents. Three is YiDaeMuSin-group. It’s variants had a part that Yang chang-gok can not go to his home to meet parents. Third group could be a good variants group. 21 19세기 글쓰기 방식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작품이 <옥련몽>과 <옥루몽>이다. 한 작가가 작품을 완성(<옥련몽>)한 후 그것을 다시 개작하여 새로운 작품(<옥루몽>)으로 만들었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동안의 연구는 주로 <옥루몽>에 치중되어 <옥련몽>에 대해서는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 연구의 대본이 되는 이본 상황에 대한 검토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박학서원본, 이대무신본, 서강대본, 나손정미본, 박순호A본, 박순호B본, 국립중앙도서관12책본 <옥련몽>을 비교·분석하여 이본 계열을 구분하고 善本을 추정했다. <옥련몽> 이본들은 覲親 대목을 제외하고는, 자잘한 어휘적 차이와 分回되는 위치의 차이 정도가 있을 뿐, 대체로 동일하다. 이본들 중 서사 중간에 <옥루몽> 내용이 끼어들어간 이본들이 있어 우선적으로 계열이 나누어지고, 또 양창곡이 覲親가느냐 가지 못하느냐의 차이에 따라 내용이 달라져 계열이 구분된다. 현 <옥련몽> 이본은 근친가는 것과 가지 못하는 것으로 나뉘어 있지만, <옥루몽> 이본은 모두 근친가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근친가는 <옥련몽> 이본의 근친 대목은 <옥루몽>의 근친 대목과 완전히 자구까지 동일하다. 근친 대목의 서술방식이 祭文, 書簡이 있을 정도로 구체화되어 있다는 것이나, 서술시간(story time)과 이야기시간(story time)을 정묘하게 맞출 정도로 세련되다는 것, 그리고 이런 서술 방식은 작가 남영로가 작품에서 자주 사용하는 방식이었다는 것을 고려할 때 근친가는 것이나 근친가지 못하는 것이나 모두 작가가 창작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내용으로 보아도 양창곡이 연옥과 약속한 것을 이행하는 문제와, 양창곡이 지은 祭文이 벽성선의 신분상승 욕망에 전략적으로 이용된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작가 남영로가 <옥련몽>에서 근친가지 못하는 것으로 창작했던 것을 <옥루몽>으로 개작하면서 근친가는 것으로 바꿨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옥련몽> 이본 계열은 중간에 <옥루몽>이 끼어들어간 ‘혼합본 계열’, 근친가는 ‘박학서원본 계열’, 근친가지 못하는 ‘이대무신본 계열’로 나눌 수 있고, 이 중 원 <옥련몽>에 가까운 善本은 근친가지 못하는 이대무신본 계열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세책 <옥루몽> 동양문고본에 대하여

        유광수 열상고전연구회 2012 열상고전연구 Vol.35 No.-

        일본 동양문고에 소장되어 있는 동양문고본 <옥루몽>은 세책본이다. 1908년에 필사되어 서울 지역에서 유통되던 이 동양문고본은 원 <옥루몽>의 서사를 온전히 지니고 있지 않다. 주인공 양창곡의 자녀들이 활약하는 후반부를 삭제하고 급하게 마무리한 텍스트이다. 이렇게 축약된 축약본 계열의 다른 이본들과 면밀하게 검토한 결과, 연대16장본과 가장 친연성이 높다는 것을 밝혀냈다. 동양문고본은 <옥루몽>이기는 하지만 몇 군데 <옥련몽> 화소를 차용하기도 하고, 의도적으로 원 <옥루몽>의 서사와는 다른 방향으로 개작과 변개를 시도한 이본이다. 그렇게 개작한 이유는 원래의 <옥루몽>이 지니고 있는 내용과 가치가 중세 체제중심적 가치에 부합하지 않고, 인물들의 이율배반적 행동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서이다. 그래서 동양문고본은 선악의 분명한 이분법적 대립과 체제중심적 가치를 목표로 의도적인 개작 변개를 시도했다. 그 결과, <옥루몽> 원작이 의도했던 중층서술과 미묘하게 내재시켰던 체제비판적 긴장미와 흥미, 다채로운 인물 형상화와 활성화된 배경 등의 특징이 사라지고, 조금 색다른 내용이 있는 군담소설처럼 되고 말았다. 이런 변개와 개작은 세책업자의 의도 때문이었는데, 그것은 이런 분명한 선악의 구분과 체제옹호적 가치가 당대 일반 대중의 취향과 수준에 맞을 거라도 판단했기 때문이다. 당대 문화지형에서는 이런 도식적인 위안과 쾌락을 얻는 이야기가 더 설득적이었던 것이다. There is a lending library of <Okrumong(玉樓夢)> at the library of DongYangMunGo(東洋文庫) in Tokyo Japan. This text was written in 1908, Seoul Chosen(朝鮮). This DongYangMunGo text had not the whole contents of the original <Okrumong> which was created by Nam young-no(南永魯), the 19th Century. Nam young-no put the critical thinking about a diverse character, astonished affair, natural event, political issue etc into the original text with ambiguous writing. But, the manufacturer of lending library disliked the author's theme, characters, events, background and main thinking. So, the manufacturer rewrote a <Okrumong> with his own thinking. As a result, this DongYangMunGo text had a separated the original. DongYangMunGo text corrected a reversed status with wives and mistress, and made a character clearly by deleting antinomic words and deeds, and so on. So DongYangMunGo text had a clearly division at the virtue and evil, and conservative ideology. The manufacturer of lending library had been thought about the Cultural Topology of th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y. He had believed that the many readers would want to read a text given joy, pleasure, delight and satisfaction, not to read serious text. That's a capacity of the people had lived in tha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