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EDI 창의적 인성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경재(柳京在),한윤영(韓允榮),하주현(河周賢)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용 및 중·고등학생용‘KEDI 창의적 인성검사(Creative Personality Scale)’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KEDI 창의적 인성검사’는 종래에 논의되어 온 다양한 창의적 인성이론들을 검토하고, 기존의 창의적 인성검사들의 장단점을 활용 및 보완하여, 초ㆍ중고생들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한 문항으로 차별화시켜 개발한 검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및 기 개발된 창의적 인성검사의 분석을 토대로 새롭게 개발한‘KEDI 창의적 인성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되, 내적일치도, 구인타당도, 변별 및 수렴타당도, 준거타당도의 측면에서 분석했다. 내적일치도는 초등학생용의 경우 .60이상으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고, 중ㆍ고등학생용의 경우 판단의 독자성과 사고의 개방성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이 .60 이상으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인타당도 결과는 초등학생용의 경우 주요 적합도지수인 RMSEA(.050), CFI(.904), TLI(.883), IFI(.905)에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ㆍ고등학생용의 경우 RMSEA(.050), CFI(.838), TLI(.801), IFI(.840)에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주현의 창의적 인성검사(2000)와의 상관을 통한 준거 타당도 결과도 초등학생용의 경우 .809(P<.01)로 높았고, 중ㆍ고등학생용의 경우 .731(P<.01)로 높게 나와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KEDI Creative Personality Scale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 The existing creative personality scales(CPS) is outdated by excessive or insufficient items, focused on several limited abilities for adult. But this verified KEDI CPS is not only included comprehensively what have been argued and developed for 10 years about creative personality, but also is differentiated by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KEDI CPS, we analyze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 for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and discriminative valid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is relatively higher than .60, and all the factors except ‘the independent decision making’ and ‘the openness of thought’ are relatively higher than .60.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revealed tha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cluding 6 construct validity in KEDI CPS showed fit index at a satisfactory level as follows. The major fit indexes are showed as follows; RMSEA(.05), CFI(.904), TLI(.883), IFI(.905) in th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RMSEA(.050), CFI(.838), TLI(.801), IFI(.840) in the scale for secondary school student. Futhermore, to secure criterion-related validity, this KEDI CPS showed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Hah’s Creative Personality Scale elemantary for r=.809(p<.01), secondary for r=.731(p<.01)).

      • KCI등재

        노년기 정서 표현과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유경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 express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 expressivenes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in later life. 214 older adults(m=72.83, sd=5.55)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Emotional expressivit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measured and analyzed. In resul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emotional expressivity. However, old women experience mor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an old men.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economic status, positive expressivity, and negative expressivity significantly predict old men's subjective well-being and positive express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ity significantly predict old women's subjective well-being. The important meanings of emotional express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ver quality of elderly's emotional life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노년기 정서 표현과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65세 이상의 노인 214명(평균연령 72.83세, 표준편차 5.55)을 대상으로 정서 표현,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성,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서 표현에 있어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성에 있어서는 성차가 나타났다. 남성 노인에 비해 여성 노인이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성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 노인은 경제 상태, 정적 표현, 부적 표현이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여성 노인은 정적 표현,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년기 정서적 삶의 질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정서 표현과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성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서 대처 양식과 정서 인식이 장노년기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유경,민경환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 coping style and emotion awareness on subjective well-being in later life. Participants fell into three age groups (Elderly N=187, Middle-aged N=245, Young N=238). To investigate the emotion coping styles used in later life, scales measuring coping styles were developed and age differences were examined.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he elderly group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in using problem focused coping and cognitive coping. They did, however, use self-defensive coping more often than others. We also examined age differences in emotion awareness.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he elderly group was higher in mood repair, the middle-aged group was higher in emotional clarity, and the young youth group was higher in attention to emotion. We examined the effect of emotion coping style and emotion awarenes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found self-defensive coping and mood repair played important roles in maintaining subjective well-being in old age. The implications of using self-defensive coping and mood repair were discussed in terms of 'self-protective approach to emotion' in later life. Finally,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as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정서 대처 양식과 정서 인식이 장노년기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노년 집단(65-79세) 187명, 중년 집단(48-64세) 245명, 청년집단(19-23세) 238명, 총 67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장노년기에 자주 사용하는 정서대처 방식을 확인하기 위해 질문지를 구성하고 연령에 따라 상이하게 사용하는 정서대처방식을 확인한 결과, 노년집단은 다른 연령집단과 마찬가지로 정서적 문제에 대해 문제중심적 대처, 인지적 대처를 많이 사용하지만, 상대적으로 자기방어적 대처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증가에 따른 정서인식능력을 확인한 결과, 노년집단은 정서개선이 가장 높고, 중년집단은 정서명료성이 가장 높으며 청년집단은 정서주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서 대처 방식과 정서 인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한 결과, 노년기에는 문제중심적 대처와 인지적 대처도 중요하지만 특히 다른 연령에 비해 자기방어적 대처, 정서 개선 믿음이 주관적 안녕감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 주관적 안녕감 유지에 있어 자기방어적 대처와 정서개선이 갖는 의미를 ‘자기-보호적 관점’에서 논의했으며, 노년기 긍정적 특성을 밝히는 연구의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