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득분포 극화의 추정과 검증

        유경준,Yoo, Gyeongjoon 한국개발연구원 2007 韓國 開發 硏究 Vol.29 No.3

        본고의 분석 결과 지니계수와 양극화지수가 이론적으로는 상이하나, 실증적으로는, 상관관계를 통해서 볼 때, 다른 지수라 보기 어렵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DER지수의 추정을 통해 한국소득분포의 극화를 추정한 결과도 외환위기 전후로 소득분포의 극화가 지니계수로 측정되는 소득불평등도보다 심화되었다고 여길 수 없음이 확인되었다. Upon analyzing several Korean Income data sets, it i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ini coefficient and bi-polarization measure (EGR) is empirically not different although they each come from different theoretical basis.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state that the degree of polarization of income distribution, measured by DER, in Korea has deepened more than that of income inequality, estimated by Gini coefficient, in the periods of before and after the economic crisis.

      • KCI등재

        성장과 분배 및 빈곤의 관계 연구

        유경준,Yoo, Gyeongjoon 한국개발연구원 2006 韓國 開發 硏究 Vol.28 No.2

        지금까지 밝혀진 실증적인 성장과 분배의 관계는, 성장은 평균적으로 분배중립적으로 분배에 특정한 형태의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 증거는 없으며, 높은 부의 불평등도는 성장을 저해한다는 점이다. 한편 성장과 분배는 모두 빈곤에 이론적 실증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빈곤의 감소를 위해서는 성장과 분배의 정책적 조합이 필요하므로 성장과 분배의 이분법은 잘못된 것이다. 현 시점에서 한국이 성장과 분배의 조화를 통해 절대빈곤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세계은행에서 권장하는 빈곤감소적 성장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절대적 빈곤과 절대적 불평등도는 음의 상관관계에 있기 때문에 양극화의 논의가 절대적 불평등도를 감소시키자는 정책으로 진행되어서는 절대빈곤의 감소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and distribution, which has been revealed through many empirical evidences, is that growth is distribution neutral on average and high asset inequality could be a hindrance of economic growth. The growth versus distribution dichotomy is false, as poverty reduction requires blending policy of growth and distribution both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At this present, the pro-poor growth policy, which has been recommended by the World Bank, should be urgently needed in Korea to achieve the reduction of absolute poverty through the harmony between growth and distribution. However, it is not easy to expect the reduction of absolute poverty if the Korean government, in means of reducing absolute inequality, pursues anti-polarization policy. Specifically, we cannot deny the existence of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bsolute poverty and absolute inequality on average.

      • KCI등재

        소득분배의 국제비교를 통한 복지정책의 방향

        유경준,Yoo, Gyeongjoon 한국개발연구원 2003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25 No.2

        LIS 기준의 소득개념과 방법론을 이용하여 계산된 한국의 가처분소득 기준의 소득불평등도(지니계수)는 1996년에 0.298, 2000년에 0.358로 나타나 소득불평등도가 외환위기 전후로 상당히 상승되었다. 이러한 가처분소득 기준의 불평등도는 다른 OECD국가에 비하여 1996년경에는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으나 2000년에는 미국, 멕시코와 함께 상당히 높은 수준의 그룹에 속하고 있다. 한편 정부의 소득재분배기능이 작동하기 이전의 소득, 즉 정부로부터의 공전이전지출과 조세납부 이전 소득인 시장소득 기준의 불평등도는 1996년(0.302)에 비해 2000년(0.374)에 역시 상승하기는 하였으나 양자 모두 OECD국가 중에서는 중간이하의 수준을 보이고 있다. 또한 한국은 OECD국가에 비하여 시장소득과 가처분소득의 불평등도 차이가 아주 적은 것이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외국에 비하여 국민연금제도 등 공적연금제도의 미성숙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편 빈곤율 역시 국제비교시에 외환위기 전후로 타국에 비하여 상당히 상승하여 2000년에 OECD국가 중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When the definition of income and the equivalence scale was applied just as it was in the LIS (Luxembourg Income Study), the adjusted disposable income inequality calculated by Gini coefficients in Korea was 0.358 for the year 2000. Compare to the 1996 figure of 0.298 the increase of income inequality has skyrocketed. In addition, the adjusted market income inequality increased from 0.302 in 1996 to 0.374 in 2000. The disposable income inequality ranked the third and the market income inequality ranked at the mid level in 2000 among OECD countries. One significant finding in this paper wa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posable income inequality and market income inequality in Korea is very small compared to those of other OECD countries. The relative poverty ratio, which is calculated by using 40% of the medium income bracket of the disposable income was calculated at 7.6% in 1996 and 11.5% in 2000. The poverty ratio in 2000 for Korea ranked one of the highest in OECD countries, also.

      • KCI등재

        직업훈련의 임금효과 분석: 「경제활동인구조사」를 중심으로

        유경준,강창희,Yoo, Gyeongjoon,Kang, Changhui 한국개발연구원 2010 韓國 開發 硏究 Vol.32 No.2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이 개인의 임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통해 분석한다. 교육훈련의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실증분석 방법으로 (1) 고정효과 추정법과 (2) 성향점수 매칭법을 적용한다. 고정효과 추정법(매칭법)의 결과에 따르면, 지난 1년 동안에 이수한 교육훈련으로 인하여 개인의 월평균 임금수준은 평균 2.6~4.7%(7.5~9.8%) 정도 상승한다. 상이한 두 가지 추정방법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우리나라에서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의 임금 상승효과는 평균 2.6~9.8% 수준인 것으로 추정된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and how much vocational training raises an individual's earnings in Korea, using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To overcome endogeneity of training, we apply fixed-effects and propensity-score matching (PSM) methods. Fixed-effects (PSM) results suggest that work-related training received in the previous one year increases a worker's monthly earnings by 2.6 to 4.7 (7.5 to 9.8) percent. Taken altogether, work-related training enhances a worker's earnings by a minimum of 2.6 and a maximum of 9.8 percent in Korea.

      • KCI등재

        비정규직의 일자리 이동성 분석

        유경준(Gyeongjoon Yoo),권태구(Taegoo Kwo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2

        본 연구는 비정규직 임금근로자의 경제활동상태 변동, 그중에서도 정규직으로의 근로형태 전환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에는 2006~21년, 총 16개년에 걸친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패널자료를 활용했다. 이행행렬을 통한 분석 결과, 지난 15년간 임금근로자와 비임금근로자 간 이동 그리고 임금근로자 중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이동은 크게 감소하여 고용형태의 분절화가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율은 ’06-’07년 18.9%에서 ’20-’21년 기간 10.1%로 크게 감소했다. 한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은 근속에 의한 전환보다 이직에 의한 전환 비중이 더 높았고 근속에 의한 정규직 전환은 더 크게 감소했다. 근로형태별로는 비기간제 한시근로자, 파견근로자의 하락폭이 컸고, 남성, 30대 미만 청년층, 대졸 이상 고학력자의 정규직 전환율이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존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대체로 부합하는 결과이다. 다만, 본 연구는 정규직 전환 감소의 원인이 무엇인지에 관한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실증분석 결과와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이 추세적 증가한다는 점을 함께 고려하면, 분절화의 원인에 대한 정교한 분석이 추가로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economic activity status of non-regular workers, especially the transition to regular employment. Empi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with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data between 2006 and 202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ough the transition matrix, the conversion between wage and non-wage workers and the conversion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among wage worker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past 15 years. In particular, the conversion ratio of non-regular workers to regular workers declined significantly from 18.9% in 2006-07 to 10.1% in 2020-21. The conversion of non-regular workers to regular workers has a higher proportion by turnover than by tenure, and the conversion to regular workers by tenure has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decline in the conversion ratio to regular workers is greater for non-fixed term contract workers and temporary agency workers. These results are generally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However, this study does not provide an explanation of the reason for the decrease in the conversion to regular workers. Considering the empirical results and the trend of the proportion of non-regular workers among wage workers, additional studies of the cause of segmentation is needed.

      • KCI등재

        한국의 소득불평등 현황과 쟁점

        유경준 ( Gyeongjoon Yoo ),박명호(논평) 한국금융연구원 2018 한국경제의 분석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current state and issues of income inequality in Korea and to show the impact of social transfer in kind(STIK) on the income distribution. In addition, development direction of income statistics are also discussed. Korea's income inequality level should be viewed as the eighth highest OECD country in 2015,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 The reasons for this are as follows: 1) the comparis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is based on annual data, 2) confidence in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 whose main purpose is an income survey, 3) compatibility with market income inequality calculated by individual tax data, 4) the formal survey(household and expenditure trends survey) can be overly distanced from poverty levels and income inequality levels In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the income redistribution effect of social transfer in kind, the rate of decrease in income inequality measured by the Gini coefficient is 13%, which is lower than the OECD average of 20%. But the decrease in the poverty rate is 27%, it is very large compared to 10%. Future income distribution statistics should be supplemented with administrative data on the basis of the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big data era.

      • KCI등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두루누리 사업)의 효과: 현대 성과평가론의 적용

        유경준 ( Gyeongjoon Yoo ),강창희 ( Changhui Kang ),최바울 ( Paul Choi ) 한국경제학회 2016 經濟學硏究 Vol.64 No.1

        본 논문은 저임금 근로자들에 대한 사회보험료 지원사업인 ‘두루누리 사업’의 성과를 고용보험과 국민연금 가입자 수, 그리고 고용규모의 관점에서 평가한다. 이중차분법의 실증결과에 따르면, ‘두루누리 시범사업’은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를약 2.4%, 국민연금 가입자 수를 약 3.1% 증가시켰다. 그러나 고용규모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2012년 7월부터 전국적으로 확대된 ‘두루누리’ 본사 업은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를 약 2.68%, 국민연금 가입자 수를 약 2.04% 정도 유 의하게 증가시켰다. 본사업 또한 고용 규모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두루누리’ 사업은 정부의 정책 사업에서 현대성과평가론의 실험 디자인을 채택한 보기 드문 사례로서, 미시 사회정책들의 과학적인 성과평가를 위한 좋은 지침을 제공한다. This paper evaluates effects of the Duru-Nuri Program (a social insurances subsidy program of the Korean government for low-wage workers) on a worker’s probability to join the national employment insurance (EI) and national pension system (NPS), and employment. Estimates using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suggest that its pilot program increased the number of the EI subscribers by 2.4% and that of the NPS subscribers by 3.1%, while it failed to affect employment. The main program implemented from July 2012 increased the number of the EI subscribers by 2.68% and that of the NPS subscribers by 2.04%, while it had no effect on employment. The Duru-Nuri Program is unique in that it has adopted an experimental design of the modern program evaluation literature, making possible a scientific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and offering a good guideline for the design of micro-level programs of the government.

      • KCI등재

        재직자 직업훈련 관련 공적재정의 구조와 성과: 효과 분석

        이철인,유경준,Lee, Chul-In,YOO, Gyeongjoon 한국개발연구원 2011 韓國 開發 硏究 Vol.33 No.3

        This paper examines how the levy-grant system for on-the-job training affects individual workers' training level and the subsequent wage growth. Some notable results include: (i) the workers at the firms facing high net benefits (i.e., grant minus levy) receive more firm training indeed, and (ii) training provision raises post-training earnings substantially. All these results are found to be robust to changes in firm size and estimation method. 본 논문은 재직자 직업훈련(OJT) 관련 공적 재정지원 및 분담금 징수구조가 개별 근로자의 사내 직업훈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리고 직업훈련을 통해 어떠한 경제적 성과를 거두고 있는지 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주요 결과로서, (i) 직업훈련 관련 고용보험제도상의 유인구조 분석을 통해, 순지원율이 높은 기업에 고용된 근로자의 직업훈련수혜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얻었는바, 이는 개인의 고유특성 및 기업규모효과를 고려해도 유도되는 결과이며, (ii) 훈련의 증가가 일정 부분 추후 임금상승으로 이어졌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법정근로시간 단축의 경제적 효과

        신관호,신동균,유경준 한국노동경제학회 2002 勞動經濟論集 Vol.25 No.3

        본 연구는 법정근로시간 단축이 성장률, 투자, 소비, 고용 등 제 경제변수들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기본 분석모형으로서 Hansen(1985)과 Rogerson(1998)에 의해 개발된 비가분성(indivisible) 노동 모형을 사용하나 노동생산성 면에서의 근로자들의 이질성을 명시적으로 고려함으로써 그들의 모형을 확장하였다. 경제활동인구 조사와 도시가계 조사 데이터로 연결패널자료를 구성하여 기존 근로자와 근로시간 단축에 의해 새로 고용되는 근로자 두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효율파라미터 값을 추정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장기적인 균제 상태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법정근로시간이 44시간에서 40시간으로 단축될 경우, 추가로 고용되는 근로자는 기존 근로자 생산성의 약 95%이며 고용은 약 4.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새로운 균제 상태에서는 자본, 총생산, 투자 그리고 소비 모두 2.0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법정근로시간의 단축에 따른 경제 전체 근로자의 실(actual) 평균근로시간의 감소와 신규 근로자의 유입에 의한 평균노동생산성 감소로 유효노동량이 2.03% 감소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hours reduction on growth, investment, and consumption as well as employment. We adopt the basic framework of the indivisibility of labor developed by Hansen (1985) and Rogerson (1988) and extend it by allowing heterogeneity of workers in productive efficiency. On the basis of monthly panel data constructed from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s and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s, we estimate the value of productive efficiency parameter of newly hired workers relative to existing workers by considering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unobservable as well as observable worker characteristics. Numerical simulation of steady states demonstrates that reduction of statutory weekly hours from 44 to 40 leads to a rise in employees by 4.9 percent. However, GNP, investment, and consumption are all reduced by 2.03 percent, which is attributed to reduction in the amount of effective labor input, which in turn comes from reduction of actual average hours and productivity differences between exiting and newly hired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