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비 부담이 가계 저축 및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

        유경원 ( Kyeong Won Yoo ) 한국소비자학회 2010 소비자학연구 Vol.21 No.4

        우리나라의 GDP대비 교육비 비율은 다른 OECD회원국과 비교해 볼 때 매우 높은 수준이며, 특히 가계 등 민간에 의한 교육비 부담은 이들 국가 중 최대 규모이다. 또한 가계 소비에서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어 일부에서는 가계의 교육비 부담을 사회적 문제로까지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문제에 관한 높은 사회·경제적 관심에 비해 교육비 부담에 대한 엄밀한 경제적 분석은 국내외적으로 미흡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가계의 교육비 부담 중대가 어떤 경제적 시사점을 갖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론적으로 가계는 교육과 저축의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적정 자산포트폴리오 구성 차원에서 인적 및 금융·실물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성에 대한 고려를 동시에 하게 된다. 따라서 주어진 예산제약 하에서 인적자산의 비중을 높이기 위해 다른 자산의 축적자체가 저해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비와 저축 간에 발생하는 선택의 동시성(Simultaneity)과 분석 자료상의 특성을 반영한 2변수 토빗(Bivariate Tobit) 모형을 도입하여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아울러 교육비 조달의 또 다른 경로라 할 수 있는 소비 조정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패널분석을 시도하였으며 횡단면 분석인 SUR(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추정기법을 이용하여 교육비-저축-가타소비 등 세 변수간의 관계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계의 교육비와 저축은 예상한대로 마이너스(-)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교육비 부담의 확대가 여타 가계 지출의 감소와 함께 일정부분 저축의 감소를 통해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다음 세대에 대한 교육비 부담으로 인해 현세대의 소비부진은 물론 은퇴대비 저축이 미흡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orean parents are shouldering a heavy financial burden in educating their children. According to OECD data, Korea`s public educational expenditures by the private sector are greatest among OECD countries. In addition, the educational expenses have been getting more important in the household spending. The surging financial burden from the educational expenses is becoming one of the significant social issues in Korea. However, rigorous researches on this issue have been limited compared to the socio-economic importance of education in Korea. As such, this paper analyzes how the increasing burden of educational expenditures affects the household saving and consumption behaviors. Theoretically, households take simultaneously into account both returns and risks on investment in various assets when they make a decision on the optimal allocation between consumption and saving, leading to the optimal portfolio. As an example, given the budget constraints, an increase in investments in human capital might well lead to a decrease in other financial asset accumulation. Accordingly, the paper analyzes empirically the simultaneity of decisions on the resource allocation between educational expenditures and other financial savings with the bivariate Tobit model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served variables in the data set. The model is often employed when the disturbance terms related to two variables we focus on are jointly normally distributed, and this joint estimation may give us the gain in efficiency when there exists a correl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Also, I adopt the SUR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model and a panel estimation to rigorously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sumption adjustments to internally finance educational expens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that the estimated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educational expenditures and savings is negative as I expected, indicating that most of the households would finance additional educational expenses by reducing their saving and other consumption. Furthermore, it implies that leaving current consumption aside, an increase in educational expenditures on their children would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ir own retirement plan.

      • KCI등재
      • KCI등재

        가계부채 확대가 실물부문 리스크에 미치는 영향

        유경원 ( Kyeong Won Yoo ),서은숙 ( Eun Sook Seo ) 한국금융연구원 2015 韓國經濟의 分析 Vol.21 No.1

        가계부채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나 대부분 금융시장 관련 리스크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가계부채의 실물부문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가계부채의 리스크요인이 실물부문, 특히 소비의 변동성의 확대로 시현될 가능성을 제기하고 이를 미시자료와 거시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미시분석을 통해서는 가계부채의 소비변화에 대한 영향을 가계재무제표를 감안한 두 가지 저량 및 유량 경로로 상정하여 가계미시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먼저 원리금 상환부담에 따라 가계가 소득충격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부의 효과 경로를 실증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가계부채 및 상환부담이 높은 가구의 자산으로부터의 한계소비성향이 상대적으로 낮은 가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거시자료를 이용하여 가계부채가 소비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실물부문의 위험을 분석한 결과,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증가하게 되면 외환위기 기간 동안에는 소비의 위축을 나타내는 소비의 기대손실이 오히려 감소하여 부채의 유동성제약 완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이후에는 오히려 가계부채 비율의 증가가 소비부문의 위축을 더 확대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부정적인 외부충격이 발생했을 경우의 소비의 기대손실을 측정해보면, 카드채위기보다 최근의 글로벌 금융위기 때가 더 기대손실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이 값은 부채비율 확대로 더 커지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계부채로 인한 실물부문 리스크가 적지 않으며 경제충격 발생시 가계부채가 경기침체를 보다 심화시킬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가계부문의 안정적인 소득흐름의 확보와 보유 자산의 축적을 위한 저축이 중요하며 가계부채의 조정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사전적으로 줄일 수 있는 채무조정제도의 체계적인 구비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적으로는 가계부문의 안정적인 소득흐름의 확보와 보유 자산의 축적을 위한 저축이 중요하며 가계부채의 조정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사전적으로 줄일 수 있는 채무조정제도의 체계적인 구비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Concerns regarding Korea’s mounting household debt have been continually raised, but for the most part tended to focus exclusively on its potential system risk to the financial market. In contrast to earlier studies, this study addresses the recently growing concerns that household debt risk may in fact have more farreaching consequences on the real economy sector, especially by amplifying consumption volatility, and has analysed this risk using both micro- and macro data. The results of micro-level analysis show that the burden of debt payment is forcing households to respond sensitively to income shocks. Empirical analysis of the wealth-effect pathway, on the other hand,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out of assets between highly indebted households and those with relatively lighter debt burdens. Next, using macro data, the study finds that an increase in the ratio of household debt to disposable income had the effect of reducing expected shortfall of consumption, and thereby of mitigating liquidity constraints imposed by high levels of debt during the period of the East Asian Financial Crisis; in later periods, however, increases in the same ratio had the effect of aggravating slumps in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household debt poses substantial risks to the real economy and that it may serve as a conduit for deepening economic recessions triggered by economic shocks. The study therefore concludes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nsuring stable income flows to households and reinforcing household assets through savings, as well as the need to institute a systematic debt restructuring scheme as a way to mitigate the potential fallout from any future household debt adjustment.

      • KCI등재

        한국의 가계저축률 하락 요인에 관한 연구

        유경원 ( Kyeong Won Yoo ),이혜은 ( Hye Eun Le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1 유라시아연구 Vol.8 No.1

        국내 개인저축률 하락 추세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가계저축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개인저축률 상승을 계기로 우리나라의 개인저축률 저하가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계저축 저하현상에 대해 일부에서는 예비적 저축동기 확산으로 저축률 상승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엄밀한 실증근거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가계저축률 저하현상을 미시 및 거시자료를 이용하여 보다 종합적인 시각에서 원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시계열자료를 이용한 분석결과 우리나라 개인저축률 저하의 원인으로 낮은 소득 증가율, 주택 등 자산가격의 상승, 사회보장 지출 확대, 소비자금융의 발달로 인한 가계부채 증대, 저금리기조, 소비패턴의 변화 등이 제시되었으며 무엇보다도 저금리와 가계부채의 증대가 주요 원인으로 제기되었다. 한편, 외환위기 이후 최근의 금융위기에 이르기까지 가계가 직면하고 있는 위험은 보다 확대되고 종류도 다양화 되어 짐에 따라 가계의 예비적 저축동기도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한 저축동기가 확대되고 있지만 이것이 실제 저축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은 다른 저축동기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동 분석결과는 일반적인 예측과 달리 예비적 저축동기의 확산이 실제 개인저축률의 상승으로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Compared to increase in US saving rate due to the financial crisis, the issue of decreasing saving rate in Korea is recently getting more important. However, the issue, why the saving rate in Korea has dropped so rapidly compared to the other countries appears to get relatively little attention in Korea and relatively a few studies have been done in a rigorous way. One of the recent studies from the Bank of Korea implies that the saving rate in Korea would be increase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precautionary saving motive but its empirical evidence appears to be insufficient. This study synthetically analyses the reasons of decreasing saving rate using micro and macro data in Korea. The results of time series analysis show that the main reasons for the decreasing saving rates are low income growth rate, increasing property price, expansion of social security, increasing household debt, low interest rate, change of consumption pattern in Korea. Using the Korean household panel data, KLIPS, we also find that the change in saving motives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appears to have a relation with the structural factor of decreasing saving rate. The quantile regression results that we used here show that the realized saving rate due to the precautionary saving motive among other motives is the lowest one. Our results imply that the expansion of uncertainty around the society in Korea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could be one of the major factor for this change.

      • KCI등재

        가구패널자료 접속을 통한 외환위기 전후 유동성제약 변화 연구

        김기호 ( Ki Ho Kim ),유경원 ( Kyeong Won Yoo ),이상헌 ( Sang Heon Lee ) 한국응용경제학회 2010 응용경제 Vol.12 No.2

        본고에서는 자료구축기간이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로 상이한 한국가구패널조사(대우패널, 1994∼1998년)와 한국노동패널(1998∼2007년)을 가구의 인구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접속함으로써 외환위기 전후 기간을 모두 포함하는 패널자료(1994∼2007년)를 구축하고자 시도해 보았다. 아울러 새롭게 구축된 패널자료의 유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동 자료를 활용하여 가계의 소비함수를 추정하고 가계의 유동성제약이 외환위기를 전후하여 유의하게 변화되었는지 분석해 보았다. 모형의 추정에는 통상적인 패널분석방법 외에 종속변수의 분포 위치에 따라 상이한 계수추정이 가능한 분위수 회귀추정기법을 적용하였다. 추정 결과 대부분의 모형에서 유동성제약이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 모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정도는 외환위기 이후 크게 작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분위수 회귀분석 결과, 소비증가율이 소득에 대해 반응하는 정도는 평균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크기가 컸으며 소비증가율의 분위수가 높을수록 평균 소득수준은 낮았다. This paper analyzes the liquidity constraints using the connected household panel data in Korea. Firstly, we try to connect two panel data which have different time span(1994~1998 and 1998~2007), utilizing the household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ly, we estimate the household consumption function and analyzed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liquidity constraints in the households after the financial crisis of 1997/1998 using the quantile regression estimation with the connected data. The results show that liquidity constraints are binding for the households for the whole period although the strength of the constraints are getting mild after the crisis. Especially, the quantile analysis shows that the consumption growth rate of the lower income household on average is faster responding to the income change and the average income level is lower as the quantile of the consumption growth rate is higher.

      • KCI등재

        기후변화와 가계의 위험관리 -가계 자산구성을 중심으로-

        노용환 ( Yong Hwan Noh ),유경원 ( Kyeong Won Yoo ) 보험연구원 2009 보험금융연구 Vol.20 No.1

        기후변화가 미시적인 차원에서 개별경제주체의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기후변화와 가계경제 행태를 분석하기 위한 적절한 이론모형의 부재와 장기시계열 자료의 미흡에 기인한 바 크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가계의 경제행태 분석을 위해 예비적 자산구성 이론을 토대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여 강수량의 변동성 위험으로 나타낸 기후변화가 농촌가계로 하여금 유동성·안전자산 위주의 자산구성 배분 형태를 강수량의 패턴 변화는 농촌가계에 심각한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이 실제로 가계의 자산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 패턴이 지역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는 중국 농촌지역 가계 및 지역 패널자료(1995-2000)를 이용하여 강수량의 변동성 심화가 농가의 유동성 및 안전 자산에 대한 배분을 증가시킴을 발견하였다. 아울러 기존연구에서 제기되었던 농촌지역의 전통적인 안전자산이라 할 수 있는 곡물에 대한 보유보다는 가계들은 위험에 대비하여 유동성과 환금성이 높은 현금과 예금을 예비적 자산배분의 중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예비적 동기의 포트폴리오 배분에 있어 전통적 방법인 물리적 수단으로써의 부의 축적 방식이 금융수단으로 대체하면서 보다 적극적인 위험관리수단인 보험에 대한 가계수요도 증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ased on household panel data (1995-2000) in rural China this study presents the empirical evidence that rainfall variability as a proxy for yield risk influences the portfolio composition of a farming household. This paper supports for an allocation toward liquid assets in response to more volatile rainfall variability. It is observed that cash and deposits are important instruments for their precautionary wealth allocation, whil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similar evidence for grain stocks. It may imply that financial instruments have been substituted for conventional physical ones in precautionary portfolio allocation while dramatic institutional changes of the post-reform period have been proceeded in contemporary rural China.

      • KCI등재
      • KCI등재

        통화정책 효과의 지역적 차이에 대한 분석

        김기호 ( Ki Ho Kim ),유경원 ( Kyeong Won Yoo ) 보험연구원 2015 보험금융연구 Vol.26 No.4

        일반적으로 통화정책의 효과는 지역적인 차이 없이 전국에 걸쳐 유사하다는 것이 학계의 암묵적인 가정이며, 이와 같은 인식 하에 이론적 분석 및 의사결정이 전국을 단위로 한정책효과에 대한 분석에 바탕을 둔 경우가 많았다. 본고에서는 세종특별자치시를 제외한 우리나라 16개 광역자치단체에 대해 통화정책의 효과가 지역별로 차이가 나는지, 차이가 있다면 어떤 요인이 이러한 차이를 유발하는 데 기여했는지 등을 분석해 보았다. 통화정책지역별 효과를 GRDP의 충격반응을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통화정책은 모든 지역에 있어 유의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과의 크기 면에서 단기적으로는 권역별로 다소간 차이가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통화정책 시행 후 초기에는 일부 지역권이 수도권과 차이를 보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 차이는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통화정책 시행 후 초기국면에서의 정책효과의 차이는 주로 금리민감산업 비중, 중소 금융기관 비중, 보험회사등 비은행 금융회사의 비중, 지역 간 산업연관효과 등에서의 지역 간 차이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Monetary policy effects are generally perceived to be similar across regions within a country. For this reason, monetary authorities hav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region-specific information when conducting analysis on policy effects and policy-related decisions. There have been studies on monetary policies and their differential effects on local region in large areas facilitating great diversity as the U.S. or the EU. One of the main results shows that U.S. monetary policy has differential regional effects across regions and so does EU monetary policy on its member states. For the possibility of differences in monetary policy effects since the local self-government system was launched in Korea in 1995, it seems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s of monetary policy on the real economy across the local regions. In this paper, we empirically analyze the differential regional impacts of monetary policy on 16 local governments in Korea and examine the factors that have caused such differences. The result from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of GRDP shows that monetary policy itself has significant effects throughout the country and that its short-term effect differs across regions. Also, there are significant cross-regional differences in the short run; however, such differences disappear over time. Especially, the regional differences in short-term monetary effects are attributable to the share of interest-sensitive industries, that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nd interregional linkages.

      • KCI등재

        인구고령화가 인적자본 투자 및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김기호 ( Ki Ho Kim ),유경원 ( Kyeong Won Yoo ) 보험연구원 2008 보험금융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인구고령화 특징을 고려하여 출산율저하와 인적 자본 투자 결정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미시경제적 관점에서 분석한 후 인적 자본의 축적?활용의 효율성에 따라 금융자산수요 등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거시경제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가계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자녀의 수와 1인당 교육투자간에는 마이너스의 대체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를 바탕으로 자본수익률과 금융자산의 수요변화를 중첩세대 CGE 모형을 이용하여 전망해 보았다. 분석결과 인적 자본의 효율성이 제고되어 생산성이 개선된다고 가정할 경우 저축과 소득은 증대되고 금융자산의 절대 수준도 높아지는 등 금융시장 규모는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우리나라에서와 같이 인구 고령화 과정에서 출산율 저하로 가계의 교육투자가 늘어나 이것이 생산성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 기존의 고령화에 따른 경제 및 금융시장 예측도 상이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Korea, population is rapidly aging as fertility rate declines and longevity increases. Considering these forces the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line in fertility and the investment in human capital at the household level. The paper also analyzes the macroeconomic effects of aging, such as the changes in saving rates, asset returns, and the relative demand for different types of assets, and examines how these effects can be adjusted by the efficient use of human capital. First, we consistently estimate the trade-off between child quantity and quality by exploiting exogenous variation in fertility due to son preferences using the Korea household panel data(1998~2004). The results show that per capita investment in education will be increased by 67~78% as the number of sibling is decreased. This household level result implies that the human capital investment might be increased as the fertility declines in Korea. Next, we forecast and simulate the effect of aging on the financial markets and the demand for the alternative assets using over-lapping generation CGE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return of capital changes around 3% and the proportion of safe assets such as deposits, bonds will be increased as the population is aging and more financial assets will be accumulated when the human capital is efficiently used. These results imply that demographic change in Korea may not necessarily have an adverse effects on financial markets and economic variables and that any such effects are likely to be appropriately adjusted if the accumulated human capital is efficiently used for the increase in the produ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