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위수민,장근영,임성만,양일호,김순미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3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socio-scientific issues.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was used by concrete issue connected with SSI for this stud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wel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udying at 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who underwent a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study method was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he interview papers had been examined by three scientific exper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ivided into twenty six themes, eight theme clusters, and two categories, and considered the thoughts on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its influence on Korea,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society as a result of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interested in social issues related to science, application in class, response from students and the influence on students. Teachers had a general understanding of science-related social issues, but did not have much interest in the subject. However, they mentioned that to apply the issues in the curriculum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and encourage scientific motivation in students and, furthermore, helped them to develop the awareness of science in their surroundings. A greater interest in socio-scientific issues need to require from teachers and, through including these issues in the curriculum, we should have positive influence in developing science education.
Interpretation of Subsurface Structure by 2-D Gravity Modeling Study
위수민,도성재,Wee, Soo-Meen,Doh, Seong-Jae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 1991 자원환경지질 Vol.24 No.4
A gravity survey was conducted in the western Marquette district, Michigan, to delineate the subsurface structure and the relationship of the Proterozoic Marquette Range Supergroup rocks (Precambrian X) and Archean basement (Precambrian W) where the Republic, Michigan River, and Marquette troughs join.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ree hundred and forty gravity stations were established in the area of $380km^2$. Positive anomalies are associated with the Precambria X, metasedimentary sequence which has a higer density with respect to the Precambrian W, basement rocks. The dominant positive gravity anomalies follow the axes of the three troughs which are filled with Precambrian X rocks. Subsurface structure was modelled by using the Talwani method. Gravity model studies indicate that the Marquette trough is asymetrically shaped and steeply dipping at the north edge except in the eastern part of the study area. The interpretive results obtained from two dimensional model studies suggest that the basement structure of the study area is relatively flat, and that the troughs were formed contemporaneously.
화성암 관찰과 지식에 대한 제주도, 울릉도, 충북 지역 학생들의 비교
위수민,임성만 한국지구과학회 2012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lived in volcanic region or not while observing the igneous rocks basalt and granite. For the study we recruited 68 fifth-grade students in Jeju Island, 29 fifth-grade students in Ulleung Island and 61 fifth-grade students in inland area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After observing of granite and basalt, the students wrote observations. At the end of observation they also wrote all knowledges about granite and basalt except for the observa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gneous rocks observation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gional characteristics variables. Second, the amount of knowledge that students knew about granite and basalt except for the observation facts also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in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for knowledges about granite and basalt except for the observation facts, many students knew about the igneous origin and about the substance but there were few statements tha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 This results will provide a meaningful implication that the science class must consist of the use a various examples associated with a real-life. 이 연구의 목적은 현무암과 화성암과 같은 화성암을 관찰할 때 화성암 지역에 살고 있는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 사이의 특징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제주도에 살고 있는 5학년 학생 68명, 울릉도에 살고 있는 5학년 학생 28명, 그리고 화산지역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지역의 5학년 학생 61명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현무암과 화성암을 관찰하게 한 후 학생들은 관찰한 사실을 모두 적었다. 그리고 관찰이 끝난 후 관찰 이외에 현무암과 화성에 대해 알고 있는 사실 모두를 적도록 하였다. 연구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성암 관찰에 있어서 학생들은 지역적 특성 변인에 의한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화성암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관찰 이외에 알고 있는 지식의 양 또한 지역적 특성과 관련되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화성암에 대해 관찰 사실 이외에 알고 있는 지식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많은 학생들은 화성암의 근원물질이나 생성과정에 대해 알고 있었으나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한 진술은 많이 나오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수업이 현상을 탐구하는 것뿐만 아니라 현상과 관련된 여러 가지 구체적인 사례들과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수민,Wee, Soo Meen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 1991 자원환경지질 Vol.24 No.4
Petrological and chemical studies of Precambrian dikes in the southern Lake Superior region were conducted with the objects of evaluating magma source and constraining models for the paleo-tectonic environment. Forty-six samples were analyzed for major,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Chemical data of the studied dikes are typical of continental tholeiites and showing iron-enrichment fractionation trend. With wallrock contamination carefully evaluated, a series of tectonic discriminating methods utilizing immobile trace elements indicate that the source magma was a high-Ti tholeiitic basalt similar to present-day T-type MORB. Effect of chemical contamination from wallrock assimilation accmulates with increasing differentiation. Evolved rocks show LREE enriched patterns and have enhanced levels of LIL elements (e.g., Rb, K, Ba, Th), but low levels of high field strength elements (e.g., Nb, P, Ti) with respect to their neighboring elements. It is suggested from this study that this enrichment possibly due to a combination of a feature inherited from the subcontinental lithosphere and crustal contamination. Geochemical signatures of these rocks are distinctively different from those of arc-related volcanics. Comparisons with chemistries of modern magmas show a pattern of overlap between Within-plate and ocean-floor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signatures of these rocks favor a model of intrusion into a crustal environment undergoing lithospheric attenuation.
중국 내 한국 자동차 기업의 CSV활동이 중국소비자의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아이덴티티 중심으로
위수민,위오기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9 기업경영리뷰 Vol.10 No.2
In recent years, in a market where it is difficult to feel the differentiation of services and products, consumers feel favorable to companies through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the tendency of such services and products is increasing. Therefore, many executives recognize the value of the importance of CSV activities of Korean automakers entering the Chinese marke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CSV activities of automobile companies affect brand image and brand identity, whether brand image, brand identity affects brand loyalty, and whether brand loyalty affects purchase intention.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used for consumers who used products of Korean automobile companies that entered the Chinese market.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articipants and 329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tatistical programs SPSS22 and AMOS22.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rporate CSV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image. Second, corporate CSV activities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brand identity. Third, brand identity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image. Fourth, brand image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Fifth, brand identity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Sixth, brand loyalty has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In conclusion and discuss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n - depth discussion on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요즘 점차 서비스나 상품의 차별화를 느끼기 어려운 시장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사회공헌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에 대하여 호감을 느끼게 되고, 그러한 기업의 서비스나 상품의 선호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경영자들은 기업이 수행하는 공유가치창출(CSV) 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가치를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에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의 CSV활동이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또한,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브랜드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충성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 시장에 진출한 한국 자동차 기업의 제품을 사용했던 소비자 350명을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중 329부가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타는 통계프로그램 SPSS Ver.22과 AMOS Ver.22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CSV활동이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기업의 CSV활동이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넷째,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정(+)의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브랜드 충성도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결론 및 토론 부분을 통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 실무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와 향후 방향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제시했다.
그리기 활동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 분석
위수민,이승철,김윤지,김현정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8 敎員敎育 Vol.24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환경 인식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학생이 생활하는 지역에 따라 환경 인식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광주광역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5개교 10학급 340명을 대상으로 환경에 대한 그리기 활동과 그림에 대한 설명 그리고 그림에 등장하는 환경 요소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환경 인식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환경에 대한 인식은 인공 환경,자연 환경,인간 공존 환경,추상적 환경으로 표면화 되었으며,생물과 무생물 및 인공물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 요소들올 표현하여 학생들의 일상적인 생활 주변의 환경 요소에 대한 높은 인식이 드러난 것으로 보인 다. 5 유형으로 구분한 거주 지역별 학생들이 갖는 환경 인식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인공 환경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charactehstics of sixth-graders'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and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area. For this study, we surveyed the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in 10 classes 340 students from 5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and Gyeonggi do by analyzing their environment related drawing activities, their explanations about their drawings, and environmental elements appearing in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sixth-graders'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were described by artificial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environment in which people live together, and abstract perceptions. In addition, they expressed various environmental elements such as living things, lifeless things and artificial things, and this shows their high perception of environmental elements around them. What is more, the sixth-graders from five different area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but perception as artificial environment was more general among the students.
중국 내 한국 식품 기업의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기업 이미지, 기업인지도, 브랜드 충성도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위수민,위오기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8 기업경영리뷰 Vol.9 No.2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brand identity on brand recognition,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in Korean food industry in China.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is examined, and the role of brand image and brand image is examined between brand identity and brand loyalty. Fin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brand loyalty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or the purpose of empirical verification,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consumers who used products of Korean food companies(Nongshim, Orion) that entered the Chinese market and conducted questionnaires. A total of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articipants of the study, of which 430 were collected and 379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o remove the unreliable response from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rand identity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image. Second, brand identity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awareness. Third, brand awar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Fourth, brand awareness mediates between brand identity and brand loyalty. Fifth, brand identity has a posi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 식품 산업을 대상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이미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충성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며,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충성도 사이에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이미지의역할을 검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충성도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는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실증적 검증을 위하여 중국 시장에 진출한 한국 식품 기업(농심, 오리온)의 제품을 사용했던 소비자를 대상으로설문지를 이용할 것이며,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들에게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그중 430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거한 379부가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수집된데이터는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요약될 수 있다. 첫째,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브랜드 이미지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브랜드인지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브랜드 인지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넷째, 브랜드 인지도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충성도의 사이에 매개효과를 한다. 다섯째, 브랜드 아이덴티티는브랜드 충성도에 직접적인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브랜드충성도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미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의의와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심도 깊은논의를 제시하였다.
영남육괴 남서부 복내지역에 분포하는 아다카이트질 화강암체의 성인 및 지화학적 특성
위수민,박재용 한국지구과학회 2009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0 No.4
Cretaceous intrusive and extrusive rock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Yeongnam Massif are possibly the result of intensive magmatism which occurred in response to subduction of the Pacific plate beneath the northeast portion of the Eurasian plate. Geochemical and petrological study on the granitic rock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constrain the petrogenesis of the granitic magma and to establish the paleotectonic environment of the area. Whole rock chemical data of the granitic rocks from the study area indicate that all the rocks have characteristics of calc-alkaline series in the subalkaline field. The overall geochemical features show systematic variations in each granitic body, but the source materials of each granitic body are thought to have been different in their chemical composition. The granodiorites distributed around Donggyori in the Bognae area(DGd) are different from other granitic rocks within the study area in the contents and differentiation trends of Al2O3 and MgO as well as in the contents of the trace elements such as Ba, Sr, Pb, Ni, Cr and Y. DGd have geochemical features similar to slab-derived adakites such as high Al2O3, Sr contents and high Sr/Y, La/Yb ratios, but low Y and Yb contents. The major and trace element contents of the DGd fall well within the adakitic field, whereas other Cretaceous granites in the study area are plotted in the island arc ADR area in Sr/Y vs. Y diagram. On the ANK vs. A/CNK and tectonic discrimination diagrams, parental magma type of the granites corresponds to I-type and volcanic arc granite(VAG). Interpretations of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anitic rocks favor their emplacement in a compressional tectonic regime at continental margin during the subduction of Pacific plate. The geochemical and tectonic features reveal that adakite-like signatures of the DGd were generated by the interaction of mantle peridotite and subducted slab-derived adakitic melts(caused by the thermal effect of ridge subduction), and which slightly modified by crustal contamination during emplacement. 영남육괴 남서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성암들은 태평양(Pacific)판의 섭입에 의해서 야기된 활발했던 백악기 화성활동의 산물이다. 암석학적 및 지화학적 접근을 통하여 이 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성인과 지구조환경을 유추하여 보았다. 연구지역의 화강암류는 칼크-알칼리(calc-alkaline)계열로, 분화에 따른 주성분원소와 미량원소의 변화 경향은 전반적으로 다른 지역의 백악기 화강암류의 분화 경향과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각 암체의 분화경향이나 화학조성을 살펴볼때 각 암체의 마그마 근원물질은 서로 다른 것으로 사료된다. 복내지역 동교리 부근에 분포하는 화강섬록암(DGd)은 연구지역 내에 분포하는 다른 화강암류와 비교하여 Al2O3, MgO의 함량 및 분화에 따른 변화 경향이 다르게 나타나며, Ba, Sr, Pb, Ni, Cr, Y 등 미량원소의 함량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동교리화강섬록암(DGd)의 지화학적 특징은 높은 Al2O3, Sr 함량과 높은 Sr/Y, La/Yb비를 가지며, 낮은 Y과 Yb함량과 같은 슬랩용융(slab-melting)으로 생성된 아다카이트에서 흔히 관찰되는 지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주성분 및 미량원소의 함량을 살펴보면 동교리화강섬록암은 아다카이트의 판별도로 가장 넓리 이용되는 Sr/Y vs. Y 관계도에서 호상열도형ADR(Island Arc Andesite, Dacite, Rhyolite)영역에 도시되는 다른 백악기 화강암류들과 명확히 구분되어 아다카이트 영역에 잘 도시된다. ANK vs. A/CNK과 지구조판별도에서 화강암류의 모마그마는 I-type의 화산호화강암의 특성을 나타내며, 태평양판의 섭입에 의한 압축장응력이 작용하는 대륙연변부에서 생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지화학적특성 및 지구조적 환경을 종합하면 동교리화강섬록암의 아다카이틱한 특성은 섭입슬랩의 용융(해령 섭입에 의한 열로 생성)에 의하여 생성된 마그마와 맨틀 페리도타이트와의 상호작용 그리고 상승하는 동안 지각물질과의 동화작용 등 복합적인 과정을 겪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위스콘신주 북동부 지역에 분포하는 Badwater녹암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위수민,Wee, Soo-Meen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 1996 자원환경지질 Vol.29 No.3
Samples of Badwater greenstones from the Crystal Falls terrane in northeastern Wisconsin have been analyzed for major,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cks provide clues to the petrologic character and paleotectonic environment of basaltic magma generation. They have chemical composition typical of continental tholeiites. The low Mg values and abundances of Ni and Cr indicate that the lavas were extensively fractionated prior to extrusion. The variations of incompatible elements suggest that the rocks were affected by interaction with crustal rocks. The samples least affected by contamination have trace element compositions similar to those of T-type mid-ocean ridge basalts. The parent was modified by crustal contamination process and this process shifted the rock compositions to that of continental tholeiites as the rock evolved. Interpretations of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cks, based on modem analogs, favor their emplacement in an extensional tectonic regime.
여수 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강암류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위수민,김은효 한국지구과학회 2009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0 No.3
Cretaceous intrusive and extrusive rock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possibly the result of intensive magmatism which occurred in response to subduction of the Pacific plate beneath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Eurasian plate. Geochemical and petrological study on the Cretaceous granitic rocks of the Yeosu area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constrain the petrogenesis of the granitic rocks and to establish the paleotectonic environment of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gneous rocks of the Yeosu area consist of diorite, hornblende biotite granite and micrographic granite. Chondrite normalized REE patterns show generally enriched in LREE((La/Lu)cN = 4.2-13.3). Diorites show flat to slight negative Eu anomalies while micrographic granites have strong negative Eu anomalies. The ΣREE of the granites are 76.2~235ppm, which corresponds to the range of the continental margin granite. Whole rock chemical data of the granitic rocks from the Yeosu area indicate that the rocks have characteristics of calc-alkaline series in the subalkaline field. On the ANK vs. ACNK and tectonic discrimination diagrams, parental magma type of the granites corresponds to I-type and volcanic arc granite(VAG). Interpretations of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anitic rocks favor their emplacement in a compressional tectonic regime at continental margin during the subduction of Pacific plate. 한반도 남부 지역은 태평양(Pacific)판의 섭입에 의한 화성활동이 매우 활발했던 지역으로 백악기 화강암류와 이와 성인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화산암류가 넓게 분포하고 있다. 여수 지역 백악기 화강암류를 형성시킨 마그마의 특성 및 지구조적 환경을 규명하고자 주성분 원소, 미량원소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지역의 화성암류는 섬록암, 각섬석 흑운모 화강암, 미문상 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지역의 화강암은 칼크-알칼리(calc-alkaline) 계열로, A/NK vs. A/CNK 도에 점시해 본 마그마의 특성은 대부분 중알루미나(metaluminous)에 해당하고 I-type으로 나타난다. 암석기재학적 특징으로 본역의 암석은 천소에 관입 정치된 화강암류의 암석으로, 지구조판별도에 의하면 압축장이 작용하는 판의 경계부 즉, 화산호화강암(VAG)에 해당된다. 희토류원소의 패턴은 경희토류원소(LREE)가 중희토류원소(HREE)보다 부화된((La/Lu)cN = 4.2-13.3) 백악기 화강암류의 전형적인 패턴과 일치하며 미문상화강암은 섬록암에 비해 Eu(-) 이상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총희토류원소(ΣREE) 함량은 76.2~235ppm으로 본 연구지역의 화강암류들은 대륙연변부에서 나타나는 화강암류의 희토류원소 총함량 범위에 해당된다. 위의 지화학적 자료를 종합해보면 여수 지역 화강암류들은 태평양판의 섭입에 의한 압축장이 작용하는 대륙 연변부에서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