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고대 연회주 문화의 주구특성 융합연구 - 오대와 송대의 ‘인물화’를 대상으로 -

        웨이쯔강(Wei, ZhiGang),정미선(Chung Mi S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3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특색 있는 두 개의 왕조 오대(五代)와 송나라(宋代)를 선택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오대(五代)부터 송나라(宋代)까지의 연회주문화에 대한 술 도구의 특성 연구를 통해 연회주 문화의 ‘예’ 제 문화와 술 도구의 특성을 찾아 당대(当代) 연회주 문화에서 술 도구의 융합과 혁신의 길을 찾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법과 그래픽 데이터 분석법이 있다. 문헌조사법을 응용하여 오대(五代)와 송나라(宋代)의 시대성, 사회성과 경제성, 연회주문화와 술 도구의 특성을 각각 연구하였으며 그래픽 데이터 분석법을 응용하여 오대(五代) 고굉중(顾闳中)의 <한희재야연도>(韩熙载夜宴图) 제1단과 송나라(宋代) 조길(赵佶)의 <문회도>(文会图)를 연구하고 연회사용자를 중심으로 유가의 ‘예’ 제 문화를 결합해 ‘인물화’에서 사용자의 신분, 성별, 형태, 술 도구와 공간을 각각 그래픽 데이터로 분석해 데이터를 도출하고 고대 연회주 문화의 특성에 대한 데이터를 요약한다. 결론은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연회주 문화에서 술 두구의 등급은 사용자의 사회 계급 등급에 따라 구분되며 ‘대잔(台盏)’과 ‘반잔(盘盏)’의 순이다. 둘째, 중국전통 유가 문화의 ‘예’ 제를 엄격하게 전승하여 연회에서 사용자의 좌석은 등급에 따라 주인, 귀빈 및 부차적인 하객 순으로 ‘사주문화’ 를 전승하였다. 결론에 의하면 술 도구의 융합 혁신에는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연회주 문화의 술 도구에 잠재되어 있는 ‘예’ 제문화의 내포이다. 둘째, 시대의 술 도구 문화와 민족적 특색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신소재, 신공예, 새로운 생활 방식을 응용한다. This study chooses the Five Dynasties and the Song Dynasty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itual" culture and wine set characteristics of banquet wine culture and to find out the way of integrating and innovating wine set in the contemporary banquet wine culture through the study of the wine set characteristics of the banquet wine culture from the five dynasties to the Song Dynasty. The research methods include literature survey and image data analysis. The literature survey method is us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ve Dynasties and Song Dynasty, including the time, society, economy, banquet wine culture and wine set characteristics. The application of image data analysis has been used to study the first paragraph of the Five Dynasties Gu Hong’s Han Xizai Evening Banquet and the Song Dynasty Zhao Ji’s Wen Hui Picture. Taking banquet users as the center and combining with the Confucian "ritual" culture, the analysis and demonstration of image data are carried out on the identity, gender, form, drinking equipment and space of the users in the "figure painting" respectively, to obtain data and summarize the data on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banquet wine culture. There are two conclusions: (1) The ranking of wine set in the banquet wine culture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ocial class of the users, which is respectively "table cup" and "dish cup"; (2) The "ritual" system of traditional Chinese Confucian culture is strictly inherited. In the banquet, users are seated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hosts, distinguished guests and secondary guests, and the "wine giving culture" is inherited. According to the conclusions, there are three innovations in wine culture: (1) The connotation of "ritual" culture hidden in the wine culture of banquet; (2) The display on the wine set culture and ethnic characteristics of the era; (3) The application of new materials, the new technology and the new way of life.

      • KCI등재

        다화(茶畫)에 나타난 중국 당, 송 대의 차 문화 융합 생활방식에서의 차 가구 특성 비교

        웨이쯔강(Wei, ZhiGang),정미선(Chung Mi S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4

        본 연구는 중국 당대와 송대의 고대 차 문화 생활방식의 차 가구 특성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인물에 관련한 도면을 연구하는 것이며, 당대의 궁락도 (宮樂圖), 춘연도(春宴圖), 죽차도(煮茶圖), 소익증란정도(蕭翼贈蘭亭圖), 조금차명도 (調琴啜茗圖)와 송대의 위로박고도(圍爐博古圖), 낸차도 (攆茶圖), 라한도(羅漢圖), 회창구로도(會昌九老圖), 착색인물도(著色人物圖)의 차문화 생활방식을 분석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문헌 조사법과 영상데이터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이중 문헌조사법은 당대와 송대의 시대성, 사회성, 경제성과 차 문화의 생활방식, 차 가구의 특성을 연구하고, 연구기준을 도출하고, 이미지 데이터 분석법 및 연구기준을 적용한다. 차 문화 생활속에 나타난 사용자를 중심으로 연구된 당대와 송대 차에 관한 그림 10장을 분석했으며 차 문화 생활방식의 6가지 기준을 도출하였다. 그 기준은 바로 사용자, 차의 모양, 차 마시는 방식, 차의 형태, 차의 공간, 차의 가구 등 6가지이다. 기준에 따라 당대와 송대의 다화(茶畵)의 내용을 분석하여 요약해낸 결과 및 차의 문화 생활방식에 있어서 차 가구의 융합적인 공동성을 표현한 가구종류는 침구, 좌구, 도구 및 선반이다. 차의 기능, 구조, 형식과 사용자의 특성을 정리한다. 그의 결과가 바로 당대와 송대의 독특한 매력을 가져있으며, 현대 차 가구 디자인에도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계시를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차 가구 디자인은 혁신에 있어서 두 가지 변화가 필요하다. 하나는 당, 송 차 문화의 생활방식 중 차 가구의 특성을 근거로 당대의 과학기술 혁신에 맞추어 설계하여 전통 속에서 변화를 추구한다. 둘째는 당대의 과학기술을 접목해 혁신적 디자인을 하고, 전통 밖에서 새로운 것을 찾는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style of tea furniture from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festyle of tea culture in the Tang Dynasty’s “Gongyue”, “Spring Banquet”, “Tea Cooking”, “Xiao Wing Gift Pavilion”, “Zipping the Plum and Sipping the Name” and Song Dynasty’s “Bogu Tu”, “Rohan Tu”, “Haichang Guro Tu”, and “Color Painting”. In this paper, the paper studies the content of tea ware between the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the image data analysis method, and concludes that the tea culture of the Tang Dynasty and Song Dynasty was based on the tea culture of the Tang Dynasty and Song Dynasty, and the tea culture of the Song Dynasty. Summarize the function, structure, form and user characteristics of tea ware.In conclusion, the unique charm of tea ware in Tang and Song dynasties was displayed, and it also provided new ideas and inspiration for the design of modern tea ware design.The design of tea furniture requires innovation andinnovation. One is the design of tea furniture based onthe characteristic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eaculture, and the other is the design of tea furniture in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ea culture.

      • KCI등재

        중국 시니어 원룸의 가구 융합디자인 특성 연구

        웨이쯔강(Wei, Zhi Gang),정미선(Chung, Mi S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1

        본 논문은 시니어 원룸의 가구와 그에 거주한 노인들의 발생한 행위 및 문제점과 그를 해결에 위한 가구디자인 방안을 찾으려고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구 융합디자인 시스템을 지능적으로 적용해 1인 가구 시니어 원룸의 공간을 안전하고 쾌적하며 건강과 즐거운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10개의 가장 성공적인 중국사례 강양(康养)아파트 데이터를 분석하며, 탐방 관찰등의 조사연구 방식을 통해 현재 중국의 1인용 시니어원룸 가구의 현존 문제를 확정한다. 문헌수집, 대담관찰 등을 통한 데이터 비교연구를 통해 현재 중국의 1인 가구 시니어 원룸의 가구 사용현황을 파악하고, 노인층에게 중국 1인 가구 시니어 원룸의 가구별 융합디자인 제안방향을 제시하고 가구 융합디자인 제안방향에 대한 공통성을 제시한다. 노인용 가구의 적용과 노인의 행동수요에 따라 노인 거주자의 행동특성과 그의 필요한 공간별 가구를 실증적으로 연구한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인용 시니어원룸 공간 가구의 필요한 핵심을 바탕으로 스마트홈 융합디자인을 진행하였다. 둘째, 가구 융합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의 디자인을 요약하고 사용자의 조작 능력을 높이기 위한 "제로 학습, 심플한 조작" 원칙을 따랐다. 셋째, 중국 1인 가구 시니어 원룸의 공간 가구 디자인방안은 안정성과 조명기능 및 수납기능 3가지 방향으로 정리했으며 도출하였다. 이러한 중국 1인가구 시니어원룸 주거공간의 가구별 융합디자인 연구를 통해 가구별 디자인에 대한 실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thesis began to find the furniture of the senior studio, the behaviors and problems of the elderly living there, and a furniture design plan for solving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lligently apply the furniture fusion design system to create a safe, comfortable, healthy and enjoyable living environment in the space of a single senior studio room. The research method analyzes the data of the 10 most successful Chinese cases in Gangyang apartments, and determines the existing problems of the current single-person senior studio furniture in China through research methods such as visiting observation. Through data comparison research through literature collection and interviews, we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furniture use in senior studio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in China,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sion design by furniture in senior studio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in China to the elderly. It presents the commonality of the proposed direction. This study empirically studies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residents and their required spac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elderly furniture and the elderly"s behavioral demand. The research result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smart home convergence design was conducted based on the necessary core of the single-person senior one-room space furniture. Second, it summarized the design of the furniture fusion design application and followed the principle of "zero learning, simple operation" to increase the user"s operation ability. Third, the spatial furniture design plan of the senior studio of single-person furniture in China was organized and derived in three directions: stability, lighting function, and storage func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practicing the design of each furniture through the study of the fusion design for each furniture in the residential space of the senior studio of one person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