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불교의 탈불교화 과정에 대한 연구

        원영상 ( Yong-sang Won ) 한국신종교학회 2016 신종교연구 Vol.35 No.-

        원불교와 불교의 관계는 원불교 교단의 정체성은 물론 원불교의 현재와 미래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사안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원불교교헌 개정을 둘러싸고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논쟁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기도 하다. 이 과정 속에서 필자는 원불교의 역사를 통해 왜 원불교가 탈불교화의 길을 걷게 되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 제기는 물론 소태산 박중빈의 깨달음에 의해 세워진 불법연구회가 전통적인 불법을 계승하고 있다는 관점에 기반하고 있다. 따라서 먼저 소태산 박중빈의 불교관을 제시한 다음, 초기 교서인 『』불교정전(佛敎正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초기 교단, 즉 불법연구회는 불교 결사운동의 현대적인 활동임을 제시하였다. 그럼에도 1948년 원불교의 교명 전환이 이루어진 후, 불교와의 거리두기가 나타나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1962년 발포된 「불교재산관리법」에 제한받지 않기 위해 교단 스스로 제출한, 불교와의 관계를 단절하기 위한 정부청원을 계기로 탈불교화가 가속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어 「원불교교헌」의 변천과정에서 드러난 불교에 대한 관점을 통해 살펴보았다. 원불교 교단의 출발과 함께 제정된 초기 교헌으로부터 현재의 교헌까지는 불교의 진리관과 세계관을 계승하고 있으며, 특히 불교와의 관계를 강조한 연원불(淵源佛) 조항은 이점을 잘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990년대 원불교 최고결의기관인 수위단회에서도 불교와의 관계에 대해 원불교의 입장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근의 원불교의 탈불교화에 대한 의식은 일련의 역사적 과정에서 파생된 것이며, 불교와 원불교의 내적 일치를 공식적으로 천명한 교조 및 교단의 입장으로부터도 벗어난 것임을 알 수 있다. The relation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may be one of important factors to decide not only the identity of the Won-Buddhist Order but also the orientation of the present and future of Won-Buddhism. Recently it is also emerging up as a heart issue among many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of Won-Buddhism. From such perspective, I tried to elucidate why Won-Buddhism walked a path of de-Buddhistization through the history of Won-Buddhism. This presentation of an issue is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established by Sotaesan Park Jungbin`s enlightenment had succeeded to the traditional Buddhadharma. Accordingly I suggested the Buddhist view of Sotaesan Park Jungbin first, and then analyzed The Principal Book of Buddhism as a scripture of early times. And I suggested that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as an early Order, was modern activities of the Buddhist association movement. Nevertheless, after the title of Won-Buddhism has changed in 1948, the Order`s keeping distance from Buddhism had appeared. Especially in order not to be restricted by The Buddhist Property Management Law declared in 1962, the Order itself presented a petition to the government to sever the relation with Buddhism. From such incident the de-Buddhistization accelerated. As well, it examined the Order`s perspective on Buddhism which was revealed at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Constitution of Won-Buddhism. From the early Constitution, established at the same time with the Order`s founding, to the present Constitution, the Won-Buddhist Order has inherited the truth view and the world view of Buddhism. Especially the article of The Buddha of an Original Guide shows this point very well. Moreover, in 1990`s the Supreme Dharma Council, the Won-Buddhist highest resolution organization, elucidated clearly the Won-Buddhist standpoint about the relation with Buddhism. Accordingly, the recent Won-Buddhist awareness about the de-Buddhistization was derived from a series of historical process, and deviat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Order which officially declared the unity of Buddhism and Won-Buddhism.

      • 기후위기시대 원불교의 역할

        원영상(Yong Sang Won)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1 종교문화학보 Vol.18 No.1

        본 논문은 인류가 처한 심각한 위기 상황인 기후문제에 대한 원불교의 활동과 이를 뒷받침하는 교의적 기반에 관한 연구다. 기후변동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은 2018년 195개국이 승인한 <지구온난화 1.5°C 특별보고서>(Special Report on Global Warming of 1.5°C)에서 지구 온난화의 위험을 경고하고 있다. 이 위기에 대해 종교는 안타깝게도 문제 해결의 주체가 될 수 없다는 것이 역사적으로나 현실적으로 증명되고 있다. 그럼에도 지금은 어떤 작은 힘이라도 나서서 힘을 합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현대불교, 참여불교, 대중불교로서의 원불교는 이웃종교들처럼 인류 공동의 문제를 해결해야 인류 문명이 지속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불교 또한 자발적 조직을 통해 기후・환경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시작했다. 2010년 4대강 문제에 심각함을 느낀 원불교인들이 결성한 원불교환경연대가 그 주체이다. 원불교환경연대는 인간 안보를 위해 성주군 소성리에 불법으로 반입된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철폐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한빛원자력발전소가 있는 영광군에서도 탈핵순례를 통한 탈원전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이 양 지역은 원불교의 핵심 성지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 외에도 5개교단 환경단체들의 연대체인 종교환경회의에 적극 참여하여 활동하고 있다. 2020년에는 유교까지 포함한 6대종단 ‘종교인 기후위기 비상행동’ 선언을 이끌어 내기도 했다. 원불교 환경운동의 교의적 기반은 천지・부모・동포・법률의 사은(四恩) 가운데 천지은(天地恩)이다. 2000년 서울에서 공식적인 교단 대표 환경단체로서 ‘원불교 천지보은회’가 창립되기도 했다. 원불교의 신앙 대상인 법신불 일원상(法身佛 一圓相)은 바로 이 사은에 의해 전개된다. 사은의 존재론은 불법의 연기(緣起)사상에 근거해 있다. 이에 따라 천지의 도(道)에 순응하며, 자연을 보존하고, 자연과 공존하는 것이 바로 원불교 환경운동의 이념이다. 이러한 원불교 환경운동의 지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공존과 공생의 의식을 더욱 확대시키는 것과 소비자본주의의 배격과 지구적 정의론의 확장이 필요하다. 원불교의 입장에서 자신의 종교적 가치가 세계 보편의 가치와 소통되기 위해서라도 원불교환경운동의 역할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activities of Won Buddhism about climate issues, the serious crisis, and the dogmatic foundation which supported these.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warns the dangers of global warming in Special Report on Global Warming of 1.5°C approved by 195 countries in 2018. Unfortunately, this crisis historically or practically proved that religions cannot be a main agent of solving the problem. Nevertheless, we cannot help bringing even small powers together in this situation. Won Buddhism as modern, engaged, and popular Buddhism thinks that human civilization can continue only when solving the common problems of mankind. Therefore, Buddhism also began to deal with climatic and environmental issues actively through voluntary organizations. The Cooperation of Environmental Won Buddhism organized by Won Buddhists who felt the seriousness of the four-river project in 2010 is the main agent. The Cooperation of Environmental Won Buddhism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a movement for the abolition of THAAD carried in Soeong-ri, Seongju-gu for human security. It has continued to develop a movement for nuclear power phase-out in Yeonggwang-gun with Hanbit Nuclear Power Plant through post-nuclear pilgrimages. The key sacred places of Won Buddhism are also located in these both areas. Besides, it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religious environmental conferences, an alliance system of environmental organizations of 5 religious bodies. It led religious persons' emergency action of the climate crisis declaration by 6 great religious bodies incliding Confucianism. The dogmatic foundation of environmental movements of Won Buddhism is beneficence of Heaven and Earth (天地恩) among fourfold beneficence (四恩) of heaven and earth, parents, compatriots, and laws. In 2000, Won Buddhism Heaven and Earth Requital Society was established as the environmental body which officially represented the religious body in Seoul. Phenomena of Law-body buddha and a great-circle (法身佛 一圓相), the subject of belief of Won Buddhism, is developed by fourfold beneficence. Ontology of this fourfold beneficence is based on dependent origination (緣起) thought of the Buddhist Law. Accordingly, ideology of environmental movements of Won Buddhism is to adapt yourself to the Way (道) of Heaven and Earth, preserve the nature, and coexist with it. In order to expand horizons of the environmental movements of Won Buddhism the expansion of awareness of co-existence and the global theory of justice and the rejection of consumer capitalism are required. It can be found that roles of the environmental movements of Won Buddhism are very important to make religious value of Won Buddhism communicate with global valve of universality.

      • KCI등재

        소태산의 평화사상

        원영상 ( Won Yong-sa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6 통일과 평화 Vol.8 No.2

        본 논문은 원불교의 창시자인 소태산의 평화사상을 논한 것이다. 본 논고에서는 먼저 소태산의 평화사상의 근본을 그의 깨달음의 내용인 일원상의 진리에 있다고 보고, 그 구조를 분석하였다. 첫째, 우주만유의 본원, 제불제성의 심인, 그리고 일체중생의 본성으로 보고 있는 일원상 진리의 근원성이다. 즉, 모든 진리적 근원을 일원상의 진리로 상징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세계 모든 현상이 서로 소통된다는 원융회통성이다. 일원상 진리가 내포하는 불이(不二)의 세계에서는 이원적 대립이 지양(止揚)된다는 점이다. 셋째, 일원상의 진리가 현실에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상태인 원만성이다. 즉, 모든 존재가 부처와 같이 완전한 존재자로 구현되고, 동시에 모든 존재로부터 존중받고 갈등이 사라진 평화세계를 말한다. 이러한 깨달음의 내용은 원불교의 전신인 불법연구회를 조직하는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또한 인간과 사회의 고통의 원인인 근대문명의 한계를 목격한 소태산은, 이 교단을 통해 그 해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는 문제의 핵심을 전통의 해체와 자기 분열적 증상이라고 판단하고, 이를 바로잡아 줄 정신문명을 바로 세우기 위해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라는 기치를 내걸었다. 종교적 방식의 평화 건설을 지향한 것이다. 소태산의 평화사상은 중도와 중용, 상생과 조화, 관용과 섭취불사로 살펴볼 수 있다. 중도는 깨달음에서 나온 원만행이며, 중용은 무념과 무착의 경지에서 나타나는 솔성(率性)을 말한다. 사회적 현실에서는 민주성과 공공성으로 나타난다. 상생과 조화는 사회적 연기론에 입각한, 없어서는 살 수 없는 절대적인 은혜의 윤리적 관계를 말한다. 이는 구조적인 폭력에 대응 가능한 테제라고 할 수 있다. 관용과 섭취불사는 무한절대의 진리앞에서의 신앙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즉, 대자대비심에서 발현된, 모든 존재를 포섭하는 구제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소태산의 평화사상은 그의 제자들이자 교단의 지도자들인 송규, 김대거, 이광정 등에게 계승되어 교단의 주요 지침이 되었다. 송규의 삼동윤리 사상, 김대거의 세계평화의 삼대요소, 이광정의 6가지 통일대도가 그 대표적인 것이다. 소태산의 평화사상에 기반한 이러한 사상들이 세계 보편적 가치나 윤리로서 정착되기 위해서는 더욱 깊은 연구가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conceptualization of peace of Jung-Bin Park, the Founding Master of Won-Buddhism. The author argues that the basis of Jung-Bin Park`s peace lies in the truth of Il-Won-Sang (One Circle Image), which is the content of his enlightenment. The first point is the nature of the truth of Il-Won-Sang which is the original sourc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e mind-seal of all buddhas and sages, and the original nature of all sentient beings. In other words, all truth is symbolized by the truth of Il-Won-Sang. The second point is the nature of existence as being interfused and interconnected in all the phenomena in the world. It means that dualistic opposition is rejected in the world of non-duality which the Il-Won-Sang truth contains. The third point is the nature of being perfect, the state in which the Il-Won-Sang truth is presented concretely in reality. In other words, it means the peaceful world where all existence is realized as being perfect like buddhas, and at the same time, is revered by all beings so that conflicts have disappeared. These contents of his enlightenment became the ideological bases for organizing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the previous organization of Won-Buddhism. Also, Jung-Bin Park, who observed the limit of modern civilization which were the causes of sufferings for humanity and society, wanted to suggest solutions through this Order. Understanding the key was the destruction of traditions and symptoms based on division, he put forth the slogan of, “With this Great Opening of matter, let there be a Great Opening of spirit”, to correct spiritual civilization. He aimed for peace building in a religious way. The peace ideology of Jung-Bin Park can be explained as the Middle Way and the Mean, mutual life-giving and harmony, tolerance and buddhist works of embracing without abandoning. The Middle Way is a perfect practice which comes from enlightenment. The Mean is commanding the nature which appears in the state of no-thought and non-attachment. In social realities it is presented as the character of democracy and public concern. Mutual life-giving and harmony means the ethical relation of absolute grace, based on the theory of social dependent origination, which we cannot live without. It can be said to confront structural violence. Tolerance and buddhist works of embracing without abandoning are the faith activities toward a truthful world. In other words, they can be seen as practices of salvation to embrace all living beings which comes from the mind of great compassion and great loving-kindness. This peace ideology of Jung-Bin Park, was passed down to his disciples and, also, leaders of the Order―Gyu Song, Dae-Geo Kim, Gwang-Jeong Lee and so on―and became principal guidelines in the Order. Gyu Song`s ideology of the Ethics of the Three fold Unity, Dae-Geo Kim`s three great principles for world peace, and Gwang-Jeong Lee`s 6 great ways of unification on Korean Peninsular are the main representatives. More profound studies are required so that these ideologies, based on Jung-Bin Park`s ideology of peace, can be settled into the world`s universal values and ethics.

      • KCI등재

        잘 삶의 의미 : 왕생정토 사상을 중심으로

        원영상 ( Yong Sang Won ) 東洋哲學硏究會 2008 東洋哲學硏究 Vol.53 No.-

        본 논문은 불교의 역사 속에서 신앙과 죽음의 의식 측면에서 민중에게 크게 영향을 끼쳐온 왕생정토 사상을 기반으로 잘 삶의 의미를 추출한 것이다. 왕생정토사상은 대승불교의 발전 과정에서 불타에 의한 민중 구제의 정신으로부터 출발했는데 대승불교, 특히 중국의 불교 발달 과정의 한편에서는 타력적인 신앙으로 발전하여 동아시아 불교의 저변을 이루게 되었다. 이렇게 타력을 기반으로 하는 정토왕생 신앙은 담란(曇鸞), 도작(道綽), 선도(善導)에 의해 교학적인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고, 특히 일본에서는 중세를 거치면서 아미타 여래의 서원에 의한 구제의 정신을 기반으로 민중 신앙에 크게 영향을 끼치면서 발전하게 되었다. 이러한 타력신앙을 발전시킨 계기는 말법사상과, 이에 의해 깨달음을 얻기에는 인간의 근기라 하열하다고 하는 시기관(時機觀)이 바탕이 되었다. 즉 인간의 삶이 현실적인 한계상황에 처해져 있고 이를 헤쳐 나아가기 위해서는 중생 스스로가 죄업으로 가득한 범부임을 자각하고 서방정토의 아미타여래의 서원에 의지하는 수밖에 없다고 하는 것이다. 이는 곧 죽음을 매개로 한 정토왕생 신앙의 확산을 가져왔고 깨달음을 지향하는 난행도(難行道)와 더불어 이행도(易行道) 라고 하는 교학으로 체계화 되었다. 일본에서는 왕생정토를 희구하는 염불결사나 임종교의를 통해 왕생 정토를 지향하는 행법 등의 발전을 가져왔고 이에 대한 기록인 왕생전을 생산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초월적인 타력신앙이 주축이 된 왕생정토 사상에서 오늘날 요구되는 잘삶의 의미를 본 논문에서는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는 인간의 한계인식과 죽음의 수용이라고 하는 점이다. 불타의 깨달음의 배경이 되는 무상과 정토왕생 사상에서 제기하는 인간의 근기의 저열함은 곧 무명(無明)으로 오염된 인간의 유한성에 바탕한 한계상황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실적인 인간의 삶에 가장 큰 한계상황인 죽음을 초월하고 아미타여래의 중생구원의 서원에 의지해 인간의 재생을 확신 한다는 것은 곧 죽음을 수용하는 것이며 현실적인 잘삶의 태도를 확립 하는 계기가 되는 것이다. 둘째는 대승보살도로서의 자비심의 구현이다. 아미타여래의 중생구원의 서원은 곧 대승불교의 정신인 보살도의 구현으로 중생들과 더불어 불도를 성취하겠다는 서원에 다름이 아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현대문명을 건설해 온 인간의 의지의 저변에 한편으로는 잘 살려지고 있다고 하는 무한자에 대한 자각이 필요하다고 본다. 아미타여래의 무한한 자비심의 현실구현은 왕생정토의 성취가 무한자에 의해 유한한 인간의 가능성을 열어놓음은 물론 선악을 초월한 구제의 길을 통해 잘삶의 대승적인 의미를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는 삶의 정화라고 하는 측면이다. 현실의 고통에 대한 처방인 아미타여래의 중생구제의 서원에 의해 왕생극락이 이미 신자(信者) 자신에게 성취되었다고 보는 정토교학의 입장에서는 이생의 모순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정화하고자 하는 의미를 통찰할 수 있다. 이는 자신의 삶을 현생에서 정화시키는 것이 왕생정토의 궁극적인 목표임을 알 수 있다. 즉 정토를 수용하는 자신을 기점으로 현실의 정토화를 내포함과 동시에 현실정토를 향한 궁극적인 관점의 변화를 왕생정토 사상은 의도하고 있다 고 본다. This paper is to deal with the meaning of well-being through the thought of the Pure Land, which have influence upon people from sides of consciousness of faith and death in Buddhism`s history. The history of East Asia Buddhism is based on the thought of the Pure Land which was started from the spirit of the populace relief in developmental process of Mahayana Buddhism, especially expended to faith of relief in developmental process of Chinese Buddhism. This was spread broadly to faith of the Pure Land of Amitabha Tathagata and systematized to doctrine of easy way that means having way easily to enlightenment with difficult way. This writer on this paper present three ways in the meaning of well-being required in these days from the thought of the Pure Land in which faith of relief is made the principal axis. Firstly, it is the recognition of limitations and the acceptance of death by a human being. The transitoriness on which the enlightenment of Buddha had was based and low level of human`s ability to enlightenment in time of apocalypticism of Buddhism taught from the thought of the Pure Land mean limited situation brought about by human`s ignorance. To transcend death which is as one of the most serious limited situation for human`s life and to have a firm belief to rebirth relied on vows of Amitabha Tathagata mean the acceptance of death by a human being and will be a moment to set up realistic well-being attitude to life. Secondly, it is to practice benevolence as the way to Mahayana Bodhisattva. The vows of Amitabha Tathagata to save mankind is just vows to enlighten with mankind as practicing the way of Bodhisattva that constructs the spirit of Mahayana Buddhism. In this meaning, it is necessary to be awaken Infinite-Being as the Supreme Being that make mankind live in well-being through the will of human being establishing modern civilization. To practice in reality endless benevolence of Amitabha Tathagata is open to human being`s possibility by what human-being as finite-being achieves way to go to the Pure Land by Infinite-Being, and is able to expand the meaning of well-being of Mahayana Buddhism through way to save mankind transcending goodness and evil. Thirdly, it is side of purification life. We can insight the meaning to purify one`s mind and accept directly contradiction of this life from a standpoint doctrine of the Pure Land, teaching what mankind as believer already accomplished going to the Pure Land to save mankind by vows of Amitabha Tathagata which means setting free from life suffering. In other words, the thought of the Pure Land is to imply purifying others from life of oneself accepting the Pure Land in real life and to intend the most positive and Ultimate shifting to life.

      • KCI등재

        근대 개혁불교의 사회적 공공성 - 불법연구회의 귀환전재동포구호사업을 중심으로 -

        원영상 ( Won Yong - San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8 禪文化硏究 Vol.24 No.-

        본 연구는 근대 개혁불교인 불법연구회(원불교의 전신)가 1945년 이후 해방정국시기에 벌인 사회활동과 그 의미, 그리고 현대사회에서 불교의 사회참여의 의미를 조명하는 것에 목표가 있다. 특히 참여불교로서의 불법연구회가 물적·제도적 기반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뛰어든 민중을 향한 구제사업인 귀환전재동포구호사업의 역사를 살펴보고, 그곳에 나타난 구제정신을 탐구하였다. 이 사업을 이끈 송도성(宋道性)의 열성적인 사회참여의 정신을 살펴보고, 원불교의 건국사업에 나타난 현실정토사상을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원불교의 공공성 이념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불교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언급하였다. 한국 근대에 나타난 여러 신종교들 가운데에도 불법에 입각하여 종교개혁을 외친 불법연구회는 오늘날 원불교로 계승되었다. 비록 현재 불교계 협의체인 불교종단협의회의 구성원은 아니지만, 원불교로 개명된 불법연구회의 핵심사상은 동아시아의 전통불교가 그렇듯이 대승불교의 사상에 기반하고 있다. 따라서 원불교의 공공성의 정신은 대승정신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근현대 개혁의 정신 또한 대승불교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맥을 같이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불법연구회의 대사회 참여활동은 근현대적 의미의 불교의 사회참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역사를 조명함으로써 오늘날 불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is study aims at illuminating the social activities and meaning in which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previous Won - Buddhism), which is the reformed Buddhism in modern times, engaged in the political period of liberation since 1945, as well as the meaning of Buddhist engagement in modern societies. Especially, it examined the history of the works for the returning war victims, which is a relief work for the people that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as the engaged Buddhism, went into in spite of it’s situation where it was not equipped sufficiently with materi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searched for the relief spirit in it. It also investigated the enthusiastic spirit of social engagement of Song Tosong who led these works, and defined the thought of the Pure Land in reality which appeared in the works of Won - Buddhism to found a state. Lastly, it concluded the idea of Won - Buddhist public concern, and mentioned a social role of a religion based on it. Among many new religions which appeared in the Korean modern times,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which argued a religious reformation based on the buddhadharma, was succeeded by Won - Buddhism of today. Even though it does not belong to a member of the Buddhist Order Association, which is a meeting of Buddhist community, the core idea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Buddhadharma, re - named as Won - Buddhism, was founded on the spirit of Mahayana Buddhism just as traditional Buddhism was in East Asia. Accordingly, the spirit of public concern of Won - Buddhism has a root in the Mahayana Buddhism, and also the reforming spirit of modern times shares the same lineage with the process of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Mahayana Buddhism. Seeing from this aspect, the social engagement activities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can be said to be a Buddhist social engagement in terms of the modern meaning. To illuminate such histor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setting the orientation that today’s buddhadharma should move forward.

      • KCI등재후보

        기획논문 : 선조왕손 일연상인(日延上人)에 대한 연구

        원영상 ( Yong Sang Won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5 한국불교사연구 Vol.6 No.-

        일연상인(日延上人)에 대한 국내 연구는 양은용에 2002년에 처음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독자적인 연구와 더불어 일본 내 몇 사람의 연구가 있었지만 현재까지는 답보상태에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를 종합하는 한편, 새로운 측면을 열어 가기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첫째는 임진왜란이라고 하는 전쟁에 투영된 불교의 보편정신에 입각한 평화적역할, 둘째는 동아시아에서의 불교적 이념 공동체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탐구되었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먼저 역사적인 사료의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이에 따라 일연상인과 선조와의 관계를 조명하였다. 임해군의 자녀라고 하는 면은 일본과 한국의 자료 차이로 인해 향후 좀 더 고증 가능한 자료가 확보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일연상인의 행장에서는 가토 키요마사(加藤淸正)와의 관계, 수학과정, 신지대론(身池對論)에 의한 삶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어 일연상인의 일생의 큰 전환점인 신지대론의 구체적인 역사와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이는 일련종(日蓮宗) 불수불시파(不受不施派)의 역사에 깊이 개입되어 있는 일연상인을 통해 종교와 국가권력의 관계를 깊이 들여다 본 것이다. 마지막으로 같은 시기에 일본에 끌려온 일요상인(日遙上人)의 행장을 살펴보고 이 둘의 관계와 의미를 짚어보았다. 특히 지금도 남아 있는 일요상인과 부친과의 서간을 통해 한 인간의 고통스런 운명과 불법을 통한 인간정신의 승화를 살펴보았다. 향후 사료발굴을 통해 임진왜란기에 일어난 많은 피랍인들의 운명과 삶을 정리하고, 역사적 입장에서 새롭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측면에서 불도에 의지한 삶을 살다간 일연상인과 일요상인의 행적은 한일 간의 새로운 역사적 관계를 설정하는 데에 커다란 지향점을 암시하고 있다고 본다. The Study in Korea on Nichien Shonin(日延上人) was first performed by Yang Eunyong in 2002. Though since then there were a few people``s studies including his research, up to now the study on him is at a standstill. This paper integrates together such studies, on the other hand, it may be a try to open a new aspect. This study was examined with the idea in mind of, firstly, the peaceful role based on the universal ideology through the war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and secondly the possibility of community of Buddhist ideology in East Asia. For such goal, I first tried to re-investigate the historical materials. According to them, I reflected on the relation of Nichien Shonin and King Seonjo(宣祖). As for the aspect of he is offspring of Prince Imhaegun(臨海 君), we need more henceforth to secure materials for historical evidence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materials between from Korea and Japan.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in his life caused by relation with Gato Kiyomasa(加藤淸正), the process of learning, and Shinchitairon(身池對論), for his personal history. Subsequently, I investigated the detailed history of and the result of the Shinchitairon(身池對論) which was a great turning point in NichienShonin``s life. I mean that the study examined deeply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state``s power through Nichien Shonin who was deeply involved in the history of Huzuhuseha(不受不施派) in the School of Nichirenshu(日蓮宗). Lastly, the study looked into the history of Superior person Nichiyo Shonin(日遙上人) who was brought by force to Japan at the same period with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finding out the relation between them and the meaning. Peculiarly this study investigated his painful destiny as one human and his will toward the Buddhadharma through letters shared between Nichiyo Shonin and his father which remained still until now. Henceforth it is need to arrange and evaluate newly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the destinies and the lives of many kidnapped people which occurred at the period of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through discovering the historical sources. From such aspect the life histories of Nichien Shonin and Nichiyo Shonin which led the lives dependent on the Buddhist path suggest the great directing point in establishing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철학 : 근대 일본불교와 민족주의 -스즈키 다이세츠(鈴木大拙)를 중심으로-

        원영상 ( Yong Sang Won )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4 No.-

        근대 일본은 明治維新을 거치면서 제정일치 국가를 지향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근대국가의 사상적 통일을 이루기 위해 불교의 타자화를 통한 국가신도화 작업을 이루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불교계는 국가주의적인 불교를 스스로 구축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근대 불교학 또한 비록 선구적인 업적을 쌓았지만, 한편에서는 민족주의를 지탱하게 되었다. 鈴木大拙의 禪思想은 이러한 근대불교계와 깊이 연동되어 있다. 비록 근현대를 관통하는 鈴木大拙의 저작과 언설은 동서양의 불교학계나 철학계에 많은 영향을 주었지만, 현실적 맥락에서는 민족주의적인 색체를 강하게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의 초기 사상은 통종교적인 입장에서 출발하였지만, 미국사회에 대한 경험을 기점으로 선의 세계로 전환되었다. 선사상의 핵심인 그의 卽非論, 무분별의 분별론, 不生禪, 영성론 등은 자본주의사회를 향한 근대인들의 정신세계를 열어준 논리이기도 했지만, 1930년대에서 1945년 패전 때까지의 대외 전쟁 기간 중에는 민족주의적인 이념을 지지하거나, 전쟁의 도구로 전환되어 갔다. 특히 卽非論理는 초기 국가와 종교의 兩翼論을 발전시키지 못한 관념적 국가인식으로 인해 군국주의화한 기존의 질서를 긍정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리고 日本的 靈性에 관해서는 일본이 불교의 총체적인 세계를 保持하는 국가 내지는 민족중심주의적인 언설을 보이고 있다. 특히 선의 세계가 발현된 최고의 경지는 무사도와 무사의 생사관이라고 함으로써 당시의 戰爭禪과 같은 도구로써 전락시켰다. 이러한 논리 뒤에는 아시아의 불교, 특히 주변 국가와 불교에 대한 몰이해와도 연관이 되어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은 鈴木大拙의 禪學에 대한 업적을 바르게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군국주의 및 파시즘에 의한 전쟁의 시기에 不殺生을 최고의 덕목으로 삼는 불교인으로서의 책임을 묻고 있다. 이는 근대 일본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이며, 향후 근대 일본불교학의 객관적 평가와 이를 바탕으로 한 호혜적인 교류를 더욱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in the modern japan worked toward a theocracy after Meiji Revolution(明治維新). The world of buddhism have been persecuted by them who planned to become the Shintoism(神道) as the state religion to unify the public opinion of the modern state. And it could`t choose but build nationalistic buddhism in the process. Although buddhists in modern japan achieved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buddhism, they supported japanese nationalism. The thought of Suzuki Daisetsu(鈴木大拙) was connected with this modern buddhism in japan. Although his works and statements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the worlds of buddhism and philosophy in both East and West, his thoughts pursued japanese nationalism in the real world. His early works started from a integrated view on religions. After he experienced a life of the United States, he turned to the world of zen(禪). The main points of his thought of zen were sokuhiron(卽非論), husyouzen(不生禪), and japanese spiritualism etc, which satisfied the spiritual world of a modern people. But, he changed them to ways of the war from 1930 to 1945. He conceded the existing order of the nation changed to militarism by the sokuhiron, because he could not develop the early theory concerning relationships between nation and religion. And his remarks showed the japanese nationalism-centered thought through the japanese spiritualism. Especially, he asserted that the deep stage of zen was well applied to the bushidou(武士道) and it`s idea of life and death, so that the thought of zen have degenerated into a way of war like sensouzen(戰爭禪). These thoughts are deeply connected with lack of understanding about asian buddhism, specially buddhism of japan`s neighbors. Although there is also the tradition of buddhism in the Korean Peninsula, it became other exclusive world by his study of the nationalistic buddhism. Eventually, the racial superiority of japan was emphasized in the study of zen by Suzuki Daisetsu who insisted on the distinctiveness than the universality in japanese buddhism. This paper is aimed at appraising his works of the zen study properly. And the responsibility as a buddhist that must consider ahimsa, that is, no destruction of life, a virtue in wartime, is claimed. This is a process to understand the modern japan, and is for reciprocal exchange with objective evaluation of japanese buddhism.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일본불교의 군국주의 -니치렌주의(日蓮主義)를 중심으로-

        원영상 ( Won Yong-sang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0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6 No.1

        본 논문은 중세 일본불교의 조사들 가운데 가장 독특한 니치렌(日蓮)의 가르침을 근대적으로 해석한 니치렌주의(日蓮主義)와 군국주의의 관계 연구이다. 봉건제가 해체되고, 전제국가의 형태를 띤 근대 일본은 전통과 서구화의 갈등, 획일적 자본주의화 등으로 사회적 혼란에 처해 있었다. 천황을 정점으로 하는 국가체제 속에서 국체론(國體論)을 통해 군민일치(君民一致), 애국주의, 외국종교의 배격 등 국수(國粹)적이고 배타적인 국민성이 형성되어 간다. 특히 일본이 부국강병 정책에 기반하여 승리한 청일 및 러일전쟁으로 국가주의가 절정에 달할 때, 다나카 치가쿠(田中智學)와 혼다 닛쇼(本多日生)의 니치렌주의는 각광을 받는다. 니치렌주의와 군국주의는 두 가지 큰 특징을 보여준다. 첫째는 일본주의이다. 신의 자손인 천황을 중심으로 일본이 세계의 중심국가가 되어야 한다는 제국주의다. 다나카는 천황가의 조상신인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天照大神)와 석가모니, 전륜성왕과 천황이 같은 뿌리라는 논리를 내세우고, 일본은 세계를 영적으로 통일할 사명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의 언설과 그가 조직한 국주회(国柱会)는 사회사상가, 군인, 정치가들에게 크게 영향을 주었다. 심지어 1940년대에 이시하라 칸지(石原莞爾)와 같은 군인은 최후의 전쟁을 통해 일본을 중심으로 세계가 통일되고, 현인신인 천황이 세계의 천황이 되어야 한다고까지 주장한다. 이러한 니치렌주의는 크게 두 가지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먼저 제정일치를 의미하는 법국명합(法国冥合)의 파행이며, 천황숭배에 입각한 민족주의의 한계다. 불법을 통해 중생의 고통을 제거해야 한다는 니치렌의 가르침을 부정한 것이다. 다음은 악한 자의 마음을 바르게 가르쳐 인도하는 절복(折伏)을 전쟁과 같은 비인도적 방식에 적용한 것이다. 불교의 불살생의 가르침을 정면으로 부정한 것이다. 종교가 자발적으로 국가의 지배를 받을 때, 이처럼 비참한 결과가 발생한다. 오늘날 니치렌주의가 다시 주목되어야 할 이유는 국가와의 관계에서 종교가 어떻게 중도를 지킬 것인가 하는 문제 때문이다. 특히 니치렌 계통의 종교가 정치에 참여하는 현실을 놓고 볼 때, 과거에 대한 냉철한 분석과 반성이 필요하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ilitarism and Nichirensyugi that modernly interprets the lesson of Nichiren who is the most unique in great masters of medieval Japanese Buddhism. After the feudalism was broken down, the modern Japan in the form of autocracy was facing the period of social chaos like conflict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zation, and capitalization. In the national system with the pinnacle of Japanese emperor, the nationalistic and exclusive national character is formed such as the military and civilian unity, patriotism, and rejection of foreign religions through Kokutairon. Especially, when the nationalism reaches the climax by Japan’s victory in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based on its policy of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the Nichirensyugi by Tanak Chigaku and Honda Nisshyō gets the limelight. The Nichirensyugi and militarism show the two major characteristics. First, it is the Japan-centrism. Focusing on the Japanese emperor who is a descendant of God, Japan should become the central nation of the world in the imperialism. According to Tanak, the Japanese emperor has the same root with Amaterasu Ōmikami who is the ancestral god of the emperor’s family, Buddha, and Chakravartin, and Japan has a mission to spiritually unify the world. His statements and Kokutyūkai that he organized had huge influences on social thinkers, soldiers, and politicians. And even in the 1940s, the soldiers like Ishihra Kanji argue that the world should be unified focusing on Japan through the final war, and the Japanese emperor who is the emperor god should become the emperor of the world. This Nichirensyugi has largely two limitations. First, it is the lameness of Hōkokumyōgō meaning the unity of church and state, and the limitation of nationalism based on the emperor worship. It denies Nichiren’s lesson in which the pains of mankind should be removed through Buddhism. Next, the Shakubuku that correctly teaches and leads the heart of wicked persons, is applied to the inhumane method like war. It completely denies the Buddhist lesson of no destruction of life. Such a miserable result could happen like this when a religion is voluntarily controlled by a state, Today, the Nichirensyugi should be reviewed once again because it is the matter of how a religion take the middle course in the relation with state. Especially, considering the reality in which the Nichiren-like religion participates in politics, there should be realistic analysis and introspection on the p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