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위학교 지원 교육경비보조금의 교육재정 공평성 분석

        원세림,남수경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quity in the educational finance based on the gap of the non-regulated transfer revenue such as the education expense grant, that is directly supported by the local government to each school, between the schools and between the school locations, and seek an improvement proposal. The conclusion drawn from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n all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e gap between the schools is huge in terms of the equity index. Second, in regard to the education expense grant per student of each school,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hools and between the school locations. In all the schools, the education expense grant per student of each school located in the special region(island/remote area) is higher than any other region. In case of the general high school and the specialized high school, the larger the district that the school is located in is, the lower education expense grant per student of each school is. Third, we evaluate the equity in the education finance by analyzing the education expense grant per student of each school after dividing the schools depending on the school location into Seoul metropolitan city, other metropolitan cities and the provinces. As a result of it, there is a huge gap between the schools. Fourth, though respectively different schools belong to a same categorized level,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quity index of the education finance depending on whether the school i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city or other metropolitan cities or the provinces. In particular, compared with Seoul metropolitan city and other metropolitan cities, the provinces are lower in terms of the equity index of the education finance. Though the education expense grant is the financial resource that the local government can spend at its discretion, namely can directly provide for each school, because the horizontal equality in the education finance is seriously damaged owing to the gap between years, schools, regions, thu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It is required that the scheme for stably managing the financial resour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devised in order to ensure the equity, in addition, it is needed to consider the school category, the school location, the classification such as Seoul metropolitan city, other metropolitan city and the province, and the school size in the process of the finance management.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단위학교로 직접 지원된 교육경비보조금 등 비법정이전수입 금액에 대하여 학교급별, 소재지별 격차를 토대로 교육재정 공평성을 평가하고 향후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2014∼2016년 결산 기준 지방교육재정알리미와 학교알리미 총 7,004개교의 자료를 활용하여 주요 변수별 차이분석과 변이계수, 지니계수를 통한 교육재정 공평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시·도교육청에서 학교급별 공평성 지수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 1인당 단위학교 교육경비보조금은 학교급별, 학교 소재지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모든 학교급에서 특수지역(도서/벽지)의 학생 1인당 단위학교 교육경비보조금 수준이 높았으며, 일반계 고교와 특성화 고교의 경우 광역으로 갈수록 학생 1인당 단위학교 교육경비보조금 수준이 낮았다. 셋째, 특별·광역시와 도지역으로 구분하여 각각 학교급별 학생 1인당 단위학교 교육경비보조금의 교육재정 공평성을 분석한 결과, 학교급 간에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일한 학교급이더라도 특별·광역시 및 도지역에 따라서 교육재정 공평성 지수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특별·광역시 대비 도지역의 교육재정 공평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경비보조금 제도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경비보조금이 학교회계를 통해 단위학교에 직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자율적 성격의 재원이라 하더라도 연도별, 학교급별, 지역별 격차가 매년 크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학교급, 소재지, 특별·광역시/도지역 구분 및 학교규모를 고려하여 격차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강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경비보조금이 특정학교에 집중되지 않고 지역 내 학교 간에 공평하게 배분될 수 있도록 배분과정을 주민참여예산제도와 연계시키고 지방교육재정 분석지표에 교육경비보조금 배분 및 운영의 투명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비교모형 기반의 고등교육재정 적정 규모 추정과 재정지원 확충 방안

        원세림,남수경,이희숙,김훈호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appropriate size of higher education financing based on the concept of education financing adequacy and to propose a policy realization plan to expand financial support based on special accounting for higher and lifelong education suppor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scale of domestic higher education financing is very low. Domestic total government expenditure, education budget, OECD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per capita, and OECD higher education expenditure per capita as a percentage of GDP were all low. Second, the comparative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the appropriate size of higher education financing, and the size of the required resources increased as the reference group fo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comparison was set. Third, the newly established special account for higher education finance is problematic in terms of the stability of revenues, the adequacy of revenue sources, and the feasibility of expenditure projects. In particular, there is no explicit provision for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and the special account is temporary, so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law and find a way to provide long-term financial support. Finally, in order to secure the estimated amount of financial resources needed in the future, it is proposed to link the direction of sharing between the state and the private sector with the government's plan and operate the fund in the long term.

      • KCI등재

        교사쏠림 완화를 위한 지역구분 교사 임용제도의 도입 가능성 탐색 - A도교육청을 중심으로 -

        원세림,송충진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

        본 연구는 벽지와 농어촌학교의 분포가 높은 A도교육청을 중심으로 교사쏠림 현상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타 시·도에서 적용하고 있는 ‘지역구분 교사 임용제도’를 바탕으로 제도 도입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총 1,645명의 초·중·고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지에 따라 교사의 만족도와 근무 사유에 차이가 있었다. 벽지 소속 교사의 경우 만족도는 낮고, 승진 가산점을 위해 한시적 비거주 형태로 근무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관리직 교사일수록 교사쏠림 현상으로 야기되는 문제를 심각하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의사기 저하 및 생활의 불안정, 학생에 대한 이해 부족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셋째, 지역구분 교사 임용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반면, 교사쏠림 현상의 심각성과 기피지역에 장기적으로 정주할 교사의필요성은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경력 교사의 장기 정주를 위한 행·재정 지원과장기 정주가 가능한 신규 교사의 채용제도의 운영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encourage teachers to stay in areas where they are reluctant to work.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eachers' satisfaction and reasons for working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chool. Second, the higher the school level, the more seriously the vice principal and principal recognized the problems caused by teacher attrition. Third, while they recognize the problem of teachers avoiding certain areas as a serious problem and recognize the need for a regionalized teacher appointment system, they are not familiar with the system. They also believe that teachers who can stay in the areas they avoid for a long period of time are needed. In other words, incentives should be provided for teachers to stay in the areas they avoid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also necessary to operate a recruitment system for new teachers who can stay for a long time.

      • KCI등재

        교원양성기관 졸업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원세림(Won, Serim),남수경(Nam, Sookyo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사범대 및 교육대 등 4년제 교원양성기관 졸업자의 취업형태를 정교사와 비(非)교사(정규직), 미취업으로 구분하고 개인변수, 학교변수, 취업준비 행동변수의 단계별 투입을 통해 대졸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영향력의 크기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2007~2016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데이터에 포함된 4년제 대학 교육계열 졸업자 9,394명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형태에 따라 대학의 시설, 지원제도, 교육과정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모든 항목에서 정교사, 비교사(정규직), 미취업 순으로 평균치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미취업 집단을 기준으로 정교사와 비교사(정규직)에 속할 확률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개인변수의 경우 가구소득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정교사와 비교사(정규직)가 상반된 양상을 나타냈다. 셋째, 학교변수에서는 진로상담 및 학생 지원제도 만족도가 양 집단에 공통적으로 취업 확률을 높이는데 기여해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사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취업준비 행동변수의 경우 학점이 높을수록, 취업 목표 설정시기가 빠를수록 정교사가 될 가능성을 증가시켰다. 한편 비교사(정규직)를 선택하는데 있어서는 남성인 경우, 연령이 높아질수록, 학자금을 대출한 경험이 있을수록, 수도권 소재에 사립대학 졸업자일수록, 진로 및 취업준비 프로그램과 재학 중 일자리 경험이 있을수록 그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employment type of graduates of four - year teacher training institutes such as teachers colleges and education colleges as full-time teachers, regular non-teachers, and unemployed, an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and the magnitude of influence, through the input of personal variables, school variabl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variables. To this end, we analyzed 9,394 graduates of the 4-year college standard education curriculum included in the 2007 ~ 2016 college graduate job movement survey (GOMS) dat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facilities, support system, an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type of employment, and the average value in all categories was lower in order of full-time teachers, regular non-teachers, and non-teachers. Second, in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probability of becoming a full-time and regular non-teachers comparator based on the unemployed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full-time and regular non-teachers was found to be opposite, in all variables except for the household income. Third, in the school variables,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areer counseling and student support syste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in raising employment probability in both groups. Finally, the higher the number of credits and the faster time to set the job goal,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becoming a full-time teacher. The likelihood of choosing a regular non-teacher higher in male, the aged, those with student loans, and the college graduates of the capital area.

      • KCI등재

        범정부 고등교육 재정투자 방향 및 재정 확충 방안

        원세림(Serim Won),남수경(Sookyong Nam),이희숙(Heesook Lee)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교육의 경쟁력 확보와 교육 혁신을 지원할 수 있는 적정 재원을 추정하고 이를확충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고등교육 재정과 관련된 선행연구 검토를 기반으로 첫째, 고등교육에 대한 공적재원 확대의 필요성과 고등교육재정 지원의 근거, 정부별 고등교육재정 지원정책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둘째, 국내 고등교육재정 지원 규모와 해외 고등교육재정 지원 규모를 비교 분석하고, 국내 고등교육기관의 재정 실태와 현안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범정부 차원에서 재정투자 방향을 확인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재정 소요와 확충 방안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학령인구의 감소와 인구구조의 변화, 고등교육 경쟁력 향상을 위해 고등교육기관에대한 투자가 요구되는 상황이나, 고등교육재정지원의 법률적 근거는 재량적·임의적 성격이 강하며 공적재원의 지원 규모나 기준, 방식 등에 대한 구체성은 미흡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국제비교를통해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는 고등교육기관의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재정 수준이 부족한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대학은 재정여건 악화와 이로 인한 교육의 질 하락을 경험하고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국가적 차원의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해 신산업 분야 중심의고급·실무 인재 양성 계획이 발표되고 있으나, 이를 지원하기 위한 고등교육 예산은 실질적으로 정체 수준이었다. 국제적 규범모형에 근거하여 OECD 평균을 중심으로 고등교육재정 적정 규모를 추정한 결과, 약10조 원의 추가 재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교육재정 현안을 개선하기 위한 재정 확충 방안으로는 법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등록금 규제를 완화하는 동시에, 고등교육재정 지원에 대한 법률적 근거 마련, 대학의 재정여건 개선을 위한 재정지원 계획의 실효성 확보와 안정적인 재원 확보를 위한 특별회계 설치 및 고등교육재정교부금 도입, 대학의 경상비지원 범위 확대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appropriate financial resources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higher education and attempt educational innovation, and to seek specific measures to expand it.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higher education finance, first, the necessity of expanding public resources for higher education, the basis of higher education support, and the main contents of each government's higher education support policy were examined, and second, the scale of domestic higher education financial support and overseas higher education financial support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financial status of domestic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as analyzed. Finally, the direction of fiscal investment was confirmed at the government level, and the fiscal scale and expansion plans to realize this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irst, investment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necessary, but there is not enough legal basis to support higher education fina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financial support to support innovat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standards. Third, plans to cultivate human resources at the national level are being announced, but the budget for higher education to support this has been stagnant.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appropriate size of higher education finances based on the OECD average, about 10 trillion won was required. As a way to finance higher education, it proposed a method of easing tuition regulations and preparing a legal basis for financial support for higher education. In addition, to improve the financial conditions of universities, it was proposed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the financial support plan and to expand the scope of the university's current expenses support.

      • KCI등재

        대학생 학사경고자를 위한 정규교과목 개발 및 학업성취도 분석

        원세림(Serim Won),최지연(Jiyeon Cho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연구는 학사경고 극복을 목적으로 ‘학습전략’이라는 정규 교과목을 개발하고, 2회 연속 학사경고를 받은 학생을 대상으로 해당 수업을 운영한 후 이수 학생의 학업성취 변화를 분석하였다. ‘학습전략’ 교과목은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높여 자기주도적 학습을 수행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대학생활 적응 및 학업성취를 돕고,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대학생활의 의미와 시간관리, 학습전략과 자기주도적 학습 설계 등 15주차 교육과정으로구성되며, 학사규정 상 2회 연속 학사경고를 받은 재학생은 의무 이수해야 졸업이 가능하다. 교과목 운영 취지를고려하여 2021학년도 1학기 학사경고자 62명을 대상으로 교과목 이수 전후 평점평균, 이수학점 수를 비교하고 학사경고 극복 비율을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7차에 걸친 전문가 협의 과정을 통해 학사경고 극복을 위한 ‘학습전략’ 교과목을 개발하였다. 전문가 협의 과정에는 교과 운영의 목적 및 목표 설정, 교육내용 선정, 교수 학습방법, 교과목 가이드북 개발, 예상 운영 성과에 대한 검토 과정이 포함되었다. 둘째, 개발된 ‘학습전략’ 교과목 수업은 15 주차 동안 다양한 세부주제로 운영되었다. 대학생활의 의미부터 시간관리 방법, 자기주도적 학습과 맞춤형 학습전략 방법, 대학생활 스트레스 관리까지 인지적 정서적 요인을 포함하였다. 셋째, 학습전략 교과를 이수한 재학생은 직전학기 대비 평점 및 이수학점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1학년도 1학기 교과 이수자 62명 중 49명(79.03%)이 학사경고 판단 기준을 상회하여 학사경고를 벗어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 차원의 학사경고자 경감 대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cademic strategic class in curriculum-based and analyse the change of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students placed under two times academic probation. This academic strategic class is that the students with two times academic probation are obligatory to participate in the class and take the grade. The academic strategic class is consisted of 15 weeks in regular semester. The students of this class are encouraged to have the interest in academic life and motivate to learn. Therefore, the basic purpose of this class is to prevent students form dropout college. The class was conducted among 62 the students placed under academic probation and the grade, credits and the escaping ratio from the bachelor’s warning was analysed comparing to previous semest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strategic class for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was designed and developed in regular curriculum-based. The developed class was provided for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during 15 weeks with detailed subject. Second, the grade and credits of all the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was improved comparing to previous semester’s. Third, 49 out of 62 the students(about 79.03%) placed under academic probation escaped from the bachelor’s w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es, I would like to give some specific suggestions about academic strategic class that operate under the bachelor’s warning system in the university.

      • KCI등재

        대졸자의 학자금 대출 상환부담 인식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원세림(Won, Serim),남수경(Nam, Sookyo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0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학자금 대출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대졸 취업자(1,735명)를 대상으로 상환부담 인식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장학패널(KOSAPS)의 3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개인 및 가정, 직장, 대출 변수 등을 투입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자금 대출 상환부담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 학교 유형(4년제), 학교 설립유형(사립대), 전공계열(예체능 및 의학), 가구소득, 이직경험, 일자리 만족도, 가구 연소득 대비 대출 총액 비중 등으로 나타났으며, 상환 미완료 집단의 경우 가구 소득이 적은 경우, 완료 집단은 근로소득이 적은 경우 상환부담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자금 대출 상환부담 정도를 포함해 현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상환 미완료 집단의 경우 사립대를 졸업하고 첫 직장 입직 이후 이직 경험이 없고 중도 상환 경험이 있을수록 현재 삶의 만족도가 높은 반면, 가구소득 대비 대출액 비중이 크고 대출 상환부담이 강할수록 삶의 만족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끝으로 학자금 대출 이용자의 졸업 후 근로소득 수준에 따라 상환부담 인식 정도가 현재 삶의 만족도에 상이하게 영향을 주었다. 즉, 상환기준소득 미만 근로소득 집단과 비교할 때 상환기준소득 초과 근로소득 집단의 경우 대출금에 대한 상환율은 높으면서 동시에, 대출에 대한 상환부담이 현재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향후 대출 상환 제도의 개선과 관련하여 학자금 대출 이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환 개시와 장기 미상환자 관리 기준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awareness of burden on repayment and the impa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1,735 university graduated employees who have used student loans. For this purpose, KOSAPS’s 3rd year data was used. Individual and household, work and loan variables were introduc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ariables affecting student loan repayment burden significantly were age, type of school (4 years), type of school establishment (private college), majors (arts and medicine), household income, turnover experience, job satisfaction, household annual income, and the ratio of total loan to annual household incom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by using the repayment burden as an explanatory variable,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repayment of student loans. In the case of the unpaid group, unlike the repaid group, students who graduated from private college, matched their first job and their current job, and had a repayment experience, had a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greater the proportion of loans and the greater the burden of repaying loans, the lower the satisfaction of life. Lastly, the background of repayment and the recognition of repayment burden diff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earned income of loan users. If the income level is stable, the repayment rate is high, while the repayment burden did not adversely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rovided significant information to reduce the burden of repayment recognized by the lender and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an user and to reconsider the income on the basis of repayment ba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loan system.

      • KCI등재

        일본 고등교육재정 지원 제도의 현황과 시사점

        원세림(Se-Rim Won),남수경(Soo-Kyong Nam),쯔카다아야코(Tsukada Ayako ),김보민(Bo-Min Kim) 한국비교교육학회 2023 比較敎育硏究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대학 설립유형에 따른 정부 재정 배분 기준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일본의 고등교육 현황과 대학의 설립 유형별 재정지원 현황을 고찰하고, 정부 재정 지원의 유형과 의미, 지원 구조와 규모, 지원 기준 등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정부는 국립대학에 대해서는 운영비교부금을, 사립대학에 대해서는 경상비보조금을 바탕으로 고등교육재정을 지원하고 있다. 둘째, 대학 설립유형에 따라 지원 범위와 규모는 상이하지만, 대학의 일반적 경비를 지원하는 동시에 대학의 경쟁력 강화나 국가의 교육 현안 해결을 위한 별도의 경비를 지원하고 있다. 셋째, 고등교육재정 지원 과정에서 평가에 의한 배분을 병행하고 있다. 특히 사립대학에 대한 경상비보조금 지원 시 산출 기준과 단가의 구체성, 증감을 위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어 재정 지원과 동시에 대학의 질 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끝으로, 일본의 대학 재정지원제도에 대한 고찰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고등교육재정 지원 방향, 지원 범위와 규모, 대상에 대해 재구조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lications to Korea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government's financial alloc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in Japan.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the current status of higher education in Japan and the current status of financial support at universities were checked, and the type, meaning, scale, and criteria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were analyzed.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Japan provides operating expenses grants to national universities and ordinary expenses subsidies to private universities to support higher education finance. Second, the scope of support and budget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but it supports general expenses of universities and provides separate budget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and solve educational problems. Third, the university was financially supported by evaluation. In particular, when supporting ordinary expenses subsidies to private universities, the calculation standards and unit prices are specific, and clear standards for adjusting the budget are presented. This becomes a means of managing the quality of universities while supporting finance. Finally, based on Japan's higher education financial support system,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for the direction, scope, size, and target of higher education financial support in Korea.

      • KCI등재

        대학탁구선수의 진로선택과 대학탁구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질적 연구 - 2021청두 세계대학경기대회에 참여한 대학대표팀을 대상으로

        이지형,원세림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

        본 연구는 탁구종목을 중심으로 국제적 수준에서 경쟁력 저하의 원인을 파악하고, 현재 대학탁구의 문제점과 원인,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청두 세계대학경기대회에 국가대표자격으로 참석한 대표선수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그들의 대학입학과정과 대학에서의 선수활동, 세계대학경기대회에서의 경험에 대해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주요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프로로의 진출을 희망했지만, 기량미달 등의 사유로 대학에 진학할 수밖에 없었다. 둘째, 대학 선수로 활동하며 소외된 감정을 느꼈으며, 환경적 요인에 의해 선수로서의 정체성이 희미해졌다. 셋째, 차선책으로 대학에 진학했지만 대학 생활을 통해 선수로서의 기량을 발전시켰다. 넷째, 대학탁구의 경쟁력을 강화와 독자적 시스템 구축으로 진로진출 시 대학선택을 배제하는 현재의 기형적 구조를 타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auses of the decline in competitiveness at the international level, the current problems of university table tennis, and ways to improve competitiveness, focusing on the sport of table tennis. To this end, 10 representative players who attended the 2021 Chengdu World University Game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experiences at their universities and competitions. Key findings include First, the participants had hoped to go pro, but were forced to go to college due to inadequate skills. Second, they felt marginalized as college athletes, and their identity as athletes was blurred by environmental factors. Third, they went to college as the next best option, but they developed their skills as players through college life. Four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college table tennis and establish an independent system to include college as a career o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