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나카무라 킨페이(中村錦平)의 작품에 관한 연구

        원경환(Won, Kyung-hwan),김현숙(Kim, Hyun-suk)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3 조형디자인연구 Vol.16 No.4

        Japan has rapidly modernized itself after the 2nd World War. Nakamura has experienced American Modern Crafts which reflect the social phenomenon in 1960s for the first time, and realized that Japan was not the 'Kingdom of Crafts' but was sunk in the 'Cultural Poverty'. In fact, Japan could not reflect the phases of the times and only stuck to the old tradition and focused on acquisition of technology at that time. Ceramics in Japan obtain their names according to the local color and origin. As an example, potteries in area of Kutani(Kanazawa in present) are called 'Kutani yaki', and 'Hagi yaki' is a unique name for the pottery in 'Hagi' area. Each name of local potteries reveals very distinctive qualities of the relevant places. Nakamura judged that Tokyo where there are no local color and tradition would be more effective place to make 'progressive history reflecting the phases of times' rather than the places, such as Kutani Yaki or Imari Yaki where there are powerful tradition trends. Then he issued his challenge to the Japanese unsociable traditional method based on Tokyo, his jumping-off place. The Japanese obsessions for ornamentation appear in the act of filling space blindly with the 'aesthetic consciousnesses' based on spirituality that established by Sen no Rikyu. Therefore, there is no 'beauty' underlies that. Nakamura tries to reproduce tradition through the denegation of tradition with his works of art consist of dry fakes which parody Japanese exoteric sense of beauty and tradition for ornament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reconsidering the enlargement of expression realm and the value of handicraft in modern crafts through the world of artworks of the leader of post-war Japanese ceramics, Nakamura, who has made an efforts to go beyond pottery tradition and material limitations, and to reflect the phases of the times with his new perspective and challenge spirit. 전후 일본사회는 근대화를 위한 움직임이 빠르게 진행된다. 1960년대 미국의 사회현상을 반영한 미국현대도예를 처음 접한 나카무라는 일본을 ‘도예왕국’이 아닌, 동시대상을 반영하지 못하고 전통양식의 답습과 기술습득에만 머무른 ‘문화적 빈곤’ 상태에 빠져 있다는 것을 자각한다. 일본 도예는 산지나 지방색에 따라 도예의 명칭을 달리하는 특징이 있다. 쿠타니(현재의 가나지와)지역 도자는 ‘쿠타니 야끼’라 칭하며, 하기지역의 도자는 ‘하기 야끼’라고 부르기 때문에 도예의 명칭만으로 산지나 지방색이 확연히 드러난다. 나카무라는 이러한 ‘쿠타니 야끼’나 ‘이마리 야끼’와 같이 전통적 경향이 강한 도예보다는 지방색도 전통도 산지로서의 특징도 없는 토오쿄가 시대상을 반영한 ‘현재진행형 역사’를 잘 만들 수 있다고 판단하여, 토오쿄를 기점으로 폐쇄적인 일본 전통방식에 도전장을 던진다. 또한 일본인은 ‘장식’에 대해 센노리큐에 의해 정립된 다도정신에 입각한 미의식을 비판 없이 받아들여 공간을 채우려고 한다. 그 의식의 저변에는 ‘아름다움’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나카무라는 장식에 대한 일본인의 통속적인 미의식과 전통을 패러디한 무미건조하게 복제된 모조품으로 구성된 작품군을 통해 전통을 부정함으로써 전통을 재생시키려고 한다. 본 연구는 도예의 전통과 재료의 한계를 넘어서 새로운 시각과 도전정신을 가지고 시대를 반영하기 위해 노력한 전후 일본도예의 대표주자, 나카무라의 작품세계를 통해 현대도예에 있어서의 표현영역의 확장과 수공예의 가치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코이에 료지鯉江良二의 작품에 관한 연구 : 60 년대부터 90 년대까지의 도자조형작품을 중심으로

        원경환(Won Kyung hwan)김현숙(Kim Hyun suk)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1

        1960년대 초 일본전역을 휩쓴 '반예술 운동'은 기존의 전통과 규범, 규칙 등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표현을 위한 움직임으로, 1960년에 열린 요미우리 앙데팡당전을 계기로 일본다다이즘의 결성까지 이끌어낸다. 이러한 전후戰後 일본미술계의 상황은 도예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단지 그릇을 잘 만들기 위해 옛것을 모방하고 답습하던 코이에 료지鯉江良二에게 다다이스트들은 전통의 틀을 벗어나 자신들만의 창작세계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이들로 비쳤으며, 그러한 운동을 지지하는 미술계 역시 부러움의 대상이자 충격이었다. 코이에 료지는 야기 카즈오八木㊀夫의 자유분방한 전위도예작품을 모방하기 시작하면서 전통의 틀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색을 모색하는 길로 접어든다. 그는 1971년대부터 시작한 시리즈를 통해, 도예를 '구조'로 보고 '해체'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등 흙의 본질에 대해 자문하면서 자신만의 철학과 사고에 입각, 일반적인 '성형-건조-소성'의 과정 속에 숨겨진 인간의 '흔적'에 초점을 맞춘다. '소성하지 않는 도예', '모든 사물을 소성한다'고 하는 표현은 그만의 독특한 철학을 대변하는 것으로, 위생도기분말을 이용해서 시간과 함께 흔적을 소멸시키거나 때로는 타 재료를 함께 소성함으로서 실체는 없애고 개념만을 존재시키기도 한다. 본 연구는 코이에 료지의 작품을 통해 일본현대도예의 태동기의 움직임과 함께 '도예로 무엇이 될 수 있을까', '도예란 무엇인가'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들에 대한 해답에 접근하고자 한다. Neo dada swept over the whole Japan in early 1960s was the activity to express arts freely sloughed off old traditions, regulations, and rules. It arrived to the organization of Japanese Anti art upon 'YOMIURI's INDEPENDENT' held in 1960. That circumstance of Japanese art field during the postwar period influenced ceramic art field more than a little. To Koie Ryoji who just had imitated and followed an old traditions in order to make bowls and vessels 'skillfully', dadaists were the artists who express their own creative works freely sloughed off old traditions. And art circle endorsing them also something to envy and impact to him. Koie Ryoji then started to grope for his own identity imitating Yagi Kazuo's far-out and avant-garde ceramic artworks. Koie Ryoji then observed ceramic arts as a 'structure' and perceived it as a 'dismantling' object through the series called which started in 1971s, and finally started to ask himself about the real substance of clay. He place the focus on human 'vestiges' hidden inside the typical process, 'molding-drying-firing' based on his own philosophy and thought. His mentions like 'not firing clay also ceramic art', 'firing all things' are the expressions which represent his unique philosophy. And according to that philosophy, he sometimes extinguish the vestiges with time passed using porcelain powder, also sometimes remove real substance and then maintain the conception through firing other materials with cla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make an approach to the movement of the quickening period of Japanese modern ceramic arts through Koie Ryoji's artworks and to make an approach to ultimate answers to questions like 'What will be with ceramic arts?' and 'What is ceramic arts?'.

      • KCI등재

        아키야마 요(秋山 陽)의 작품에 관한 연구

        원경환(Won, Kyung-Hwan),이희정(Lee, Hi-J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2

        본 논문은 일본의 현대공예와 현대미술의 동향 안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도예가 그룹인 소데이샤(走泥社)의 일원이자 대형화된 설치작품 조각가로도 알려진 아키야마 요의 흑도 작품에 관한 연구이다. 소데이샤는 교토(京都)를 중심으로 활동한 전위적인 그룹으로 1948년부터 98년 해산되기 전 까지 전통공예와 미술의 벽을 허물며 일본현대도예의 기반이 되어주었다. 이들이 선보인 실험방식 중에서 야기 가즈오(八木一夫)의 오브제 야키로 확장하며 다양한 조형언어를 지닌 현대미술의 한 장르로 인정받는데 기여한다. 야기가 작품제작에 사용하였던 흑도기법은 현대도예작가인 아키야마의 흑도로 제작된 설치도예 작품에서 심화되어 나타난다. 아키야마는 야기의 급진적인 도자기와 순수미술가들의 사상 등을 토대로 작품의 개념, 크기 및 형태를 통합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형 추상조각을 연상시키는 흑도를 제시한다. 작가의 작품 분석 시 살펴볼 사항은 창의적 표현을 가능하게 한 재료인 흙과 흑도 제작기술이다. 작가는 물레성형기법에서 발전된 형태, 즉 오브제인 흑도를 공간에 설치하여 보여주는데, 이와 같은 작품사례는 미술계에 입체조형을 표현하는 방식으로서 클레이워크(Claywork)가 지닌 가능성을 환기시킨다. 그의 작품은 주제, 소성방법 및 시기별로 <Untitled> · <Peneplain> · <Oscillation> · <Pho> · <Zone> ·<Geological Age> · <Metavoid> · <Heterophony> · <Incubation> 등의 연작으로 나뉜다. 전 세계의 주요 공공 및 사설 컬렉션에서 대형설치를 선보인 그는 미술과 공예, 전통과 현대, 그리고 조각과 도자기를 재해석한다. 작가는 독특한 작가주의를 발산해 현대미술 작품 안에서 공존하는 이러한 분류된 개념들의 경계를 흐리게 만들고 흑도작품을 완성한다. 현재 아키야마의 비 기능적이며 실험적인 세라믹 오브제들은 전통적인 도예를 반영하고 공예의 위상을 현대적으로 부각시켰다고 평가된다. 결론적으로 아키야마의 도자조각에 관한 연구는 독자적인 작품성향과 함께 일본의 조형도자의 흐름과 맥락을 살펴볼 수 있는 계기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works of Akiyama Yo, a contemporary ceramic artist of large-scale installation works and a member of Sodeisha. Sodeisha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vant-garde pottery group in the trend of modern craft and contemporary art in Japan which started in Kyoto. It was the foundation of modern ceramics in Japan which caused to tear down the wall of traditional crafts and art during the periods between 1948 to 1998. Among the experimental methods introduced by Sodeisha, the model-oriented works of Yagi Kazuo, the leader of Sodeisha, have extended the trend of Japanese ceramic art from a traditional vessel to a new expression of kiln-fired objects by using a variety of formative languages. The black firing technique used in producing Yagi’s works is deepened in the installation ceramic works produced by the black pottery of Akiyama. Based on the radical ceramics of Yagi’s and the ideas of other fine artists, Akiyama presents black ceramics which is incorporate reminiscing elements of postmodernism: concept, size and form of the work. The factors that will be looked up in the analysis of the artist’s works are the clay and technique of creating black ceramics, which enabled artist’s creative expression. Akiyama shows works of black ceramics, developed from wheel technique, by placing it in the exhibition space. Such a case of work is a ways of expressing three dimensional molding which inspires the possibilities of claywork. His series of works are divided into <Untitled>, <Peneplain>, <Oscillation>, <Pho>, <Zone>, <Geological Age>, <Metavoid>, <Heterophony>, and <Incubation> by their themes, methods, and periods. Presenting large installations in major public and private collections around the world, he reinterpreted arts and crafts, tradition and modernity, and sculpture and ceramics. The artist has blurred the boundaries of these classified concepts that coexist in contemporary art by expressing unique artistic intentions. It is estimated that his non-functional and experimental ceramic objects reflect traditional ceramics and enhance the status of modern crafts. In conclusion, studies on the ceramic sculpture of Akiyama can be considered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 flow and context of the Japanese formative artist, as well as the original works.

      • KCI등재

        현대 도예에 나타난 Installation에 대한 연구 비교 연구

        원경환(Won, Kyung-Hwan),안민성(Ahn, Min-S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08 조형디자인연구 Vol.11 No.3

        Installation Art is the art form of inducing the audience's participation by including the sense of sight, tactile sense, auditory sense, and sometimes the olfactory sensation in 3-dimensional space without remaining in the limitation of visual expression, escaping from the limitation of traditional art genre, which is divided into painting and sculpture, through expanding space of including choice and environment in diverse materials. The installation art has close relationship with a concept called ‘space.’ The installation, which was used in the whole space of exhibition, needs to allow the work to form one relationship rather than being separated from place. Here, the audience is emerged as an important role. An artist allows the audience to participate in the work, thereby leading to the accidental and unpredictable result. And, this can be seen to be the aim to cause the audience to have interest in the work and to provide the artist oneself with an opportunity that can be given inspiration. One of main characteristics in the work of installation art is what has ‘one-time attribute’ of coming to disappear with leaving just photos other records simultaneously with being withdrawal after a number of works had been installed for the fixed period. This is the plastic form that pursues the momentary behavior of escaping from the traditional art idea with saying that art needs to have perpetuity. Thus, in order to avoid a problem that is left just by these materials, the work is preserved by being permanently installed in a public place, or, the special attention is also paid to materials and techniques aiming to prevent damage, if possible. Meanwhile, since the start of the clay revolution centering on Peter Voulkos at the end of the 1950s, the modern art trend and modern ceramic art can be reminisced on one line. The installation art, which is recently showing the remarkable bullish trend in modern art, had natural influence upon modern ceramic art. And, this is possessing one genre in modern ceramic art in the contextual and methodological aspect. The modern ceramic art accepted a concept of modern sculpture, passed through more abundant experience, and arranged the firm position in the new ceramic-art aesthetics. The installation art arranged modern ceramists with the breakthrough of possibility for expression. As this is the sculpture of having the field base after passing through the form like performance, it is adding the motive power to development in ceramic art. Clay comes to have the semi-permanent property after passing through the process of plasticity. This is the part that can judge the possibility of ceramic art as the excellent art medium while supplementing a weak point in the installation art with saying of failing to have independence and permanence as the artistic work.

      • KCI등재후보

        랄프 바세라(Ralph Bacerra)의 작품에 관한 연구

        원경환(Won, Kyung-hwan),김일완(Kim, Il-wa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2 조형디자인연구 Vol.15 No.4

        1950년대 중반 이후 현대도예는 추상표현주의 도자를 시작으로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모더니즘(modernism)의 탈피와 포스트 모더니즘(post-modernism)으로 이르는 광대한 전개를 보이고 있다. 이 가운데 1960년대 반지적(反知的), 반형식적(反形式的)인 표현을 추구하는 펑크아트(funk art)의 성향과 대조를 이루는 세밀한 표현 양식의 슈퍼 오브제(super object)가 대두되는데 이는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 지역을 중심으로 극히 공예적 이면서도 현대적이고 마무리가 완벽한 스타일로 발전한다. 1970년대에 이르러 기(器)의 형태에 조각과 같은 조형성을 가미한 작품들이 등장하며 새로운 도자기 미학(美學)을 확립하게 되는데 랄프 바세라(Ralph Bacerra)는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있는 작가이자 교육자로서 기술적인 정교함을 추구하는 많은 작품을 남겼지만 국내에는 그의 공적에 비해 알려진 바가 미비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랄프의 경력과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그의 작품을 통해 다양한 현대도예영역의 폭넓은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랄프의 생애와 작품배경 및 발전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 1장에서는 그의 생애를 통해 조형개념을 형성하게 된 배경을 알아보고, 제2장에서는 작품에 쓰인 문양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작품의 이론적 토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제 3장에서는 작업 발전 과정을 시기별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한다. 랄프의 작품은 어떠한 의미나 이념보다는 많은 실험을 통해 얻어진 다양한 색채와 광택의 유약들로 채색된 장식적인 미(美)가 돋보였으며 기(器)의 전형적인 형태부터 여러 가지 형태를 조합하여 재구성하는 실험적인 형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조형성을 제시하였다. Since the mid-1950s, the modern pottery used the abstract expressionism ceramics as a start, and since the 1960s, it is showing massive deployment using the modernism exuviations and post-modernism. Amongst these, the Funk art seeks semi-intellectual and semi-formal representations. And its’ tendency and contrast are fulfilled by the fine-grained representation super object. This loomed super object, with Los Angeles as the central region, develops into an extremely crafty, modern and perfectly finishing style. Reaching the 1970s, new Porcelain aesthetics were established due to the appearances of edited art works similar to the shape of plates and with additional data concerning the ‘plates’ shape. Due to this, a writer and an educator named Ralph Bacerra left lots of art works with the base knowledge of these changes. However, as compared with her exceptional achievements, her deeds are less known domestically. Hence, this experience will search out for Ralph’s career and development stages. And through her art works, it is predicted to promote vast understanding of variety of Contemporary Ceramics. Hence, in this thesis paper, it is divided into three major sections talking about Ralph’s life career, background of his artworks and his development stages. In the first chapter, with the help of Ralph’s life career, we get to know about the background which aided in the production of the formative concept. In the second chapter, the patterns written on the artworks were examined to consider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he artworks. Finally, in the third chapter, the work development stages are examined according to their periods. Ralph’s artworks went through more several experiments than that of any ideologies or meanings. Hence, the variety of color and colored ornaments with glossy gazes showed outstanding beauty and also presents the formativeness from different methods which were used to reach experimental form with the help of process of combining and construction from the state of the typical ‘plate’ form.

      • KCI등재

        비푸 스리빌라사(Vipoo Srivilasa)의 작품에 관한 연구- 혼종성 이론을 중심으로

        원경환(Won, Kyung-hwan),우혜승(Woo, Hye-se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4

        현대 사회는 모더니즘 붕괴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부상으로 차이와 다원화에 대한 담론이 활성화되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혼종성(混種性)과 타자성(他者性)을 강조하는 포스트식민주의가 등장하여 제3세계 작가들과 성적 소수자를 표현한 작가들의 미술계 진입을 용이하게 했다. 이러한 미술계의 흐름에서 현대도예를 볼 때, 비푸 스리빌라사(Vipoo Srivilasa)의 작품은 혼종성을 기반으로 이주민의 정체성, 동성애, 환경 등의 사회문제를 드로잉과 키치적 형태를 빌어 유머 있게 풀어냈다는 점에서 주목받을 만하다. 그는 백토를 이용해 불상을 모티프로 인간 또는 동물의 형상을 본뜬 키치적 성격의 피규어를 제작하고 작품의 표면에는 청화 안료로 다양한 패턴을 그려 넣거나 식물 모양의 유니트로 장식을 한다. 그는 이러한 키치적 형태를 통해 관람자들이 작품의 주제에 쉽게 접근하도록 한다. 또한, 개인의 정체성 문제에서 나아가 문화 정체성에 관심을 가지며 세계화, 정보화, 다원화라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예술을 매개로 세계 각지의 사람들과 소통하고 있다. 이로써 비푸 스리빌라사는 예술을 통해 자신의 삶을 표현하고 다양한 사람들과 이를 향유하므로 현대도예에 예술의 사회적 기능과 효과적인 소통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In modern society, the discourse of difference and diversification is activated by the collapse of modernism and the rise of postmodernism. With the appearance of post-colonialism emphasizing the hybridity and otherness, it became easier for the third world artists and the artists expressing the sexual minorities to enter the art world. Looking at modern pottery in this tendency, the works by Vipoo Srivilasa are worth noticing in the aspect of humorously expressing the social problems such as the identity of immigrants, homosexuality, and environment based on the hybridity in the kitschy form and drawing. He produces a kitschy figure taking after a form of human or animal with the motif of Buddha statue using the white clay, and then draws diverse patterns with blue paints on the surface of the work, or decorates it with a plant-shaped unit. His kitsch shapes allow the viewers to approach the themes of his works more easily. Furthermore, the themes of his works range from individual identity problem to cultural identity issues, which shows that Srivilasa intends to communicate with people around the world in the time of globalization, information and diversification. As Vipoo Srivilasa is expressing his own life through art and also enjoying this with diverse people, he is suggesting the social function and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s of art to modern pottery.

      • KCI등재

        에드먼드 드 발의 작품에 관한 연구

        원경환(Won, Kyung-hwan),이영희(Lee, Young-hee)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4

        도예는 ‘용도’를 전제로 하는 공예의 한 분야에서 20세기 이후에는 현대미술의 한 장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대미술에서 사물은 인지적 상상력과 주관적 해석이 적용되어 본연의 기능, 의미,이데올로기로부터 해방되었다. 이러한 현대미술의 관점에서 도자기의 용도나 기능을 배제하고 특정 공간의 오브제로 재해석한 영국출신의 도예가이자 작가인 에드먼드 드 발(Edmund de Waal)의 작품은 주목받을 만하다. 대형설치작가로 알려진 드 발은 자기질 태토가 가지는 순백색의 특성과 물레성형이라는 전통적 제작 기법을 이용해 단순한 실린더 형태의 용기를 대량 제작한다. 그러나 용기는 용도를 전제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유닛의 최소단위로 존재하게 되며 다양한 설치방법을 통해 공간을 구성하게 된다. 그가 제작한 단순한 형태와 소지의 흰색은 중세 해상실크로드의 주요 교역품 중 하나였던 ‘중국 도자기’와 바우하우스의 간결한 선을 모티브로 한 것인데, 이것은 동∙서양의 문화 교류를 작품을 통해 드러내려는 그의 의도가 담겨있다. 공간구성방법에도 그만의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음악적 요소를 가미하기 위해 실린더 형태를 음표로 상정하여 공간을 구성하거나, 인식하지 못 하는 어두운 공간에 작품을 설치하여 날씨나 계절과의 연계성을 표현하는 등 관객과 소통 할 수있는 공간을 연출한다. 이러한 설치방법은 오브제와 건축공간의 교류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한편 도자기가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다양한 조형언어로 해석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드 발의 작품에 나타나는 간결한 색과 형태 그리고 유닛 구성이라는 시각적 요소와 특정 공간에 설치하는 공간적 요소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도자예술의 영역확장 및 동시대적 표현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Pottery is establishing itself as a genre of modern art since the 20th century from a field of crafts based on the premise of ‘usage.’ Objects in modern art became free from their original function, meaning, and ideology by application of cognitive imagination and subjective interpre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art, works by Edmund de Waal, a potter and writer from England who excluded the usage and function of pottery and reinterpreted them into an objet of a specific space, are particularly noteworthy. De Waal, known as a large installation artist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pure white in porcelain and wheel-thrown of traditional production techniques, is producing works that a large number of simple cylinder type containers. However, vessels are not made for the purpose of usage, but exist as the smallest substance of unit and comprises in the space by various installation methods. His simple form and white of vessels is produced with motifs that the simple line of Bauhaus and ‘Chinese porcelain’ which was the major trading good of medieval Maritime Silk Road. This is his intention to symbolize cultural exchange between East and West through his works. It is the special point of his works in the space composition method. He composes a space where interact with the spectators. For example, cylinder shape vessels assume the form of a note to add musical elements, or is installed in a dark space where is not recognized to express the connection with the weather and seasons. In the installation method, the function of exhibition space was assigned on space of building to suggest possibility of architectural exchange of a sculpture. In addition, ceramics are interpreted as a formative language of various meaning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study intends to expand area and to find a new possibility of contemporary expression as modern art by looking at visual elements of simple colors, shapes and unit construction and the spatial elements that are installed in a specific space.

      • KCI등재

        주디 폭스(Judy Fox)의 작품에 관한 연구

        원경환(Won Kyung hwan),이재준(Lee Jae jo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1

        20세기 전반의 모더니즘 미술에서 인간의 몸에 대한 예술적 탐구는 분열된 자아와 상실된 인간성 등에 집중한 결과 순수성이 배재된 그로테스크한 모습으로 표현되어져 왔다. 예컨대, 자코메티(Alberto Giacometti, 1901~1966)의 1932년 作〈목잘린 여인〉은 차라리 인간의 몸이 아닌 벌레의 형상에 가까운데 이는 모더니즘 미술이 지녔던 인간 몸에 대한 왜곡된 시각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주디 폭스Judy Fox는 르네상스 시기 완벽한 아름다움으로 표현된 인간의 몸에 주목하며 현 시대상을 반영한 사실주의적 인체형상을 표현해냄으로써 그 계보를 잇고자 했다. 도자, 조각, 회화의 기법들이 혼용된, 독특한 조형기법을 통해 창조된 그녀의 어린아이와 성인 형상의 누드 도자조형들은 고대로부터 지속되어 온 인체 구상조각이 지니고 있는 예술작품으로서의 가치와 의의를 보여주고 있다. 폭스는 미술사에 나타난 동서양의 고대유적과 유물, 조각과 회화작품 중 인체형상에 기반을 둔 작품들을 연구하고 자신의 작품과 연계시킨다. 고전 작품에 함축된 역사적 사건과 의미는 그녀의 사실적인 인체형상을 만나 현재로 지속되고, 서사적인 구도의 배치는 새롭게 그 관계성을 전개시킨다. 아이들의 형상은 구상조각에의 열망과 아직 분화되기 전의 상태인 순수한 인간의 몸을 그려보고자 하는 의지에서 만들어졌으나 결국 이 시대 어른들의 일그러진 시선으로 그 본질은 훼손되고 퇴색 된다. 그러나 폭스는 이것 역시 결국 인간사가 그러한 것처럼 자연발생적인 것에 대한 거스를 수 없는 힘, 어쩌면 작품 스스로의 진화라고 간주한다. 결국 아이 형상의 작품들은 이 사회의 불편한 性 의식을 다루게 되었으며, 그녀의 섬세한 성인의 누드는 여성주의 문제(feminism issue)에 대한 그녀의 관심을 반영하며 여성성에 관한 새로운 담론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주디 폭스의 작품 양식 중 198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 발표한 인체형상의 도자조형작품을 중심으로 사실주의 표현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한 것으로, 그 내용은 연구자를 포함한 동시대 작가들에게 시사 하는바가 매우 크다고 생각된다. Exploring human body in modern art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focused on the subjects such as schizophrenia or loss of humanity, which resulted in grotesque expressions and no more pure observation. Woman with Her Throat Cut (1932) of Alberto Giacometti (1901-1966), for example, can be seen as an insect rather than a human, which shows well enough the distorted eyes of modern art. Judy Fox (1957- ), however, pays attention to those beautifully executed studies of human body in the Renaissance period and joins this sculptural genealogy through realistic expression of human form that reflects today. Her nude images of babies, children, and grown-ups are created by her combined techniques from sculptural and ceramic ones and they tell viewers the value and meaning of figurative human body sculptures as art work. Fox studies human forms from the relics, remains, sculptures and paintings of the past, from East and West and links them with her own work. Historical events and its meaning implicated in the existing art are re-presented today through her realistic human bodies, and the narrative installations of her objects exp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a new way. Her sculptures of nude children were made with her affection for figurative sculpture and her will to depict pure form of body before puberty, but her original intent was distorted and faded by adults with an improper thought today. Fox, however, regards this too as kind of evolution of work of art and a natural force we cannot control like human history. In the end, these sculptures of nude children come to deal with our society’s uncomfortable consciousness towards sex, and her meticulously finished adult nudes are interpreted as her interest in feminis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analyse the root of Judy Fox’s realistic expression for formative art especially with her works from mid-1980s to the present, and it stimulates the artists of this generation including I, the author of this thesis.

      • KCI등재

        이사무 노구치의 작품에 관한 연구

        원경환(Won, kyung-hwan),안민성(Ahn, min-s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09 조형디자인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samu Noguchi's (1904 ∼1988) works and Japan's traditional characteristics. This can be done by trying to analyze his ceramic sculpture made in Japan, in which when this modern sculptor was immersed in seeking for his identity. The analysis will include and be compared to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typically environmental sculptures that brought motif from Japanese traditional garden. Noguchi pursued a way to the sculpture that has an abstract quality, as well as a social relationship while concentrating on nature and a human being. He aimed to create sculptural environment for human activities as the actual place that art and society are connected, by introducing sculpture to the daily life. Isamu Noguchi's perspective of modern art was disciplined in Paris Studio of the sculptor Constantin Brancusi (1876〜1957), and was lively-integrated space by combining with the experience on Japan's traditional garden. The forms (what is geometrical and what is organic, what is traditional and what is modern), which are diversely shown in Noguchi's works, are maintaining the dialectical tension between oppositive propensities (what is spiritual and what is scientific, what is ideal and what is practical). Its reason can be found in Noguchi's personal experience and his individual history. These are composed of opposite elements such as his childhood in Japan and his adolescence in America, and the et tic difference that he felt simultaneously between his American mother and Japanese father. Ceramic work became the medium he explores his identity. Through ceramic work in Japan, Noguchi tried to establish his identity by experiencing combination of nature and abstraction and by pursuing connection with Japan. In order to seek for cultural identity in Japan, Noguchi maintained his characteristic of modernism, while utilizing elements in Japan's traditional aesthetics. Noguchi's continuous effort for exploring identity was shown as the uniquely formative characteristic in his work, and brought about expansion in sphere of modern sculpture as a pioneer of new environmental art.

      • KCI등재후보

        피엣 스탁만(Piet Stockmans)의 작품에 관한 연구

        원경환(Won, Kyung-hwan),김문경(Kim, Mun-ky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1 조형디자인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현대도예의 영역 확장이라는 명제 안에서 피엣 스탁만의 작품이 가진 의의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그는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예술 활동의 산물인 작품과 산업 활동의 산물인 상품과의 접점을 잘 찾아 작업하고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실용도자기와 감상용 장식도자기를 넘어 예술행위로서 다양하고 확장된 영역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급변하는 인간의 삶 속에 현대도예가 기존의 고정관념을 깨고 미술 영역안에서 진화되어, 새로운 형식으로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 현상을 반영하고 있는 한 작가를 주목하게 되었다. 그는 자신만의 통찰력으로 과거 이래로 그어졌던 순수미술, 디자인 등 예술 분야의 경계를 허물며 정통적인 공예기법과 경험을 바탕으로 생활 속에 개입된 도예영역의 상호 연관성을 찾아 작품으로 표현하고 있다. 재료의 특성과 기법을 중시하여 실용성과 조형성, 수공성, 공간성 등 총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스탁만의 작품을 통해 다양한 도예 영역의 작품을 폭넓게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스탁만의 작품을 연구하였는데 제1장에서는 스탁만의 작품 활동과 조형개념을 다룸으로써 그의 작가적 배경과 작품의 이론적 토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2장은 작품의 형식을 도예작업, 스튜디오 컬렉션, 산업디자인 작업 세 가지로 분류하여 연구함으로써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특징과 경향 그 의의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도자기의 대중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확보를 꾀하는 피엣 스탁만의 작품은 도예와 대중과의 괴리를 극복하기 위한 도전과 도예영역의 확장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의 산물로서 그 의의를 가진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research clarifies the significance of Piet Stockmans’ work within the proposition of extending the territory of Contemporary ceramic art. He escaped from the traditional way and is now working by finding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work, which is the product of art activity, and goods, which is the product of industrial activity. Moreover, beyond the ordinary practical ceramics and decorative ceramics, he shows variety and extended area as art activities. This research focuses on one artist who broke the ordinary stereotype of contemporary potter within the changing human life, evolved within the area of art, and reflects the phenomenon of development with a new format. He, with his insight, got rid of the boundaries between the fields of arts like Fine Art and Design and express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elds of ceramic art that is involved in our life as an art work with his experience and traditional craft techniques. Through Stockmans’ works, which show practicality, formativeness, skillfulness, and spaciousness, the work of various ceramic fields could be widely understood. Therefore, this thesis researched about Stockmans’ works by dividing into two parts. From first part, it tackles about Stockmans’ career and molding concept to observe his background as an artist and theoretical foundation of his works. From second part, characteristics, tendencies, and significances were discussed by classifying the type of work into three sections; Ceramic artworks, Studio collection, and Industrial designs. As a result, the fact that Piet Stockmans’ artwork, which attempted to secure popular appeal and artistry of ceramics, was a challenge to overcome the gap between ceramics and public and a product of an endless effort to extend the field of ceramic art can be conclu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