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후반 관상감 생도의 입속 유형과 입속유형별 과거 진출 양상 분석 -『삼력청완천안』및『별천안』수록 인원을 중심으로

        우현정 한국교육사학회 2025 한국교육사학 Vol.47 No.1

        이 연구는 19세기 후반 조선의 관상감 생도들의 입속 유형과 그에 따른 과거 진출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삼력청완천안』과『별천안』에 수록된 인물들을 중심으로 입속 유형별 특성과 진출 경로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관상감의 입속유형으로 천거와 서경, 별천이 확인된다. 각각의 절차는 조선후기 법령의 용례와 비교했을 때, 차이점이 확인된다. 천거의 경우, 법령에서는 능력 있는 인물을 추천하는 제도이며, 관상감 입속 절차에서는 관상감 구성원으로 입속하는 첫 단계로 볼 수 있다. 이 제도는 주로 추천을 통해 입속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일정한 자격을 갖춘 인물들을 선발하는 방식이다. 서경은 법령에서는 신원 확인 절차의 의미로 각종 직에 제수된 인물이 해당 직을 맡을 능력이 있는지 검증하는 제도인 한편 관상감 입속에서 서경은 주로 동복형제를 통해 이미 신분이 검증된 인물들의 신원 확인 절차가 면제된 경우를 지칭한다. 별천의 경우, 법령에서는 특정 자격이 되는 인물을 별도로 추천하는 제도인 반면 관상감 입속에서는 다른 잡학교육기관으로부터 보증을 받아 인원을 추천하는 방식으로 적용되어 일반적인 천거와 구별된다. 두 번째, 관상감의 입속유형별 인물들의 개인정보 및 과거진출양상 등에서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천거로 입속한 인물들은 10대 초반 연령으로 부친의 관직계열은 음양학 계열이 다수이고, 본인의 관로 역시 음양과를 통한 운관 진출이 가장 많았다. 천거는 다른 입속유형에 비하여 관로 진출에 가계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다. 다음으로 서경으로 입속한 인물들은 10대 미만 연령으로 부친의 관직 계열은 음양학 계열이지만 본인의 관로는 전통적인 체제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이들의 동복형제들은 음양학 계열로 진출한 인물이 다수였다. 서경은 동복형의 신분을 통해 입속한 유형이기 때문에 천거와 유사하게 가계의 영향력이 비교적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별천으로 입속한 인물들은 10대 후반 연령으로 부친의 관직계열은 잡학이 아닌 기타 계열의 관료가 많았고, 본인의 관로는 음양학이 아닌 사역원 역관으로의 진출이 다수였다. 이들은 타 기관의 추천으로 인해 관상감에 입속하였으나 대체로 본인이 원래 속해 있던 기관의 전공에 진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연구를 통해, 관상감에서의 입속과 음양과 응시 과정이 입속 유형별로 그리고 개인별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별천을 통해 다른 학문을 학습한 후 전공을 바꾸거나 여러 직업에 응시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ypes of entrance and the subsequent career advancement patterns of Gwangsanggam students in the late 19th century Joseon. To do this, the study focused on individuals listed in the Samnyeokcheongwancheonan and Byeolcheonan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ntrance type and their career trajectories.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three types of entrance to Gwangsanggam: Cheongeo, Seogyeong, and Byeolcheon. Each type showed differences when compared to the legal definitions and practices. Cheongeo is a system where capable individuals are recommended, serving as the first step for entering Gwangsanggam. Seogyeong is a flexible procedure given to individuals whose identities are confirmed through Cheongeo, often involving the exemption of identity verification for those already verified through their full-blooded siblings. Byeolcheon is a system where individuals with specific qualifications are specially recommended, typically involving recommendations from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When examining the family background and career paths of individuals according to entrance type, it was found that those entering through Cheongeo typically advanced in the Eumyanghak (Yin-Yang studies) field. Individuals entering through Seogyeong also tended to advance in the Eumyanghak field, often alongside full-blooded siblings. Those entering through Byeolcheon pursued careers in fields other than Eumyanghak, often advancing in the Yeokgwa (calendar studies) field, based on recommendations from other institutions. These individuals entered Gwangsanggam through recommendations from other institutions, and their career paths were diverse.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entering Gwangsanggam and advancing in the Eumyanggwa (Yin-Yang studies) field varied by entrance type and individual. Particularly, through Byeolcheon, individuals had the opportunity to study different fields and later shift to other majors or apply for various positions based on their academic history.

      • KCI등재후보

        육영공원(育英公院) 입원생의 사회적 배경과 입원 동기: 그들은 왜 새로운 학교에 입학하게 되었는가?

        우현정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2 한국교육논총 Vol.43 No.3

        이 글에서는 육영공원 입원생의 사회적 배경을 통해 전통사회에서 새로운 사회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새로운 학교에 진학한 인물들을 유형화하여 이들의 입학동기를 직·간접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육영공원 좌원생은 대체로 문과에 합격하여 육영공원 입원 전후에 전형적인 문관에 해당하는 관직을 수행하는 한편 육영공원 우원생은 문과, 소과, 잡과 등에 합격하였고, 육영공원 입원 이후에 문관 및 신제관료로 진출하는 등 다양한 이력을 가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육영공원 좌원생은 문과 출신 문관의 자제가 전체 인원의 70%로 대체로 동질한 집단이었다. 육영공원 우원생은 비교적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가졌으나 문과 출신 문관의 자제와 신제관료의 자제가 각각 전체 인원의 9.4%로 가장 많은 인원이 해당되었다. 세 번째, 육영공원 입원생의 개인정보와 부친정보 등을 고려하여 ‘1유형: 좌원생으로 입원하여 좌원으로 감하한 인물들’, ‘2유형: 우원생으로 입원한 이후 좌원생으로 승원한 인물들’, ‘3유형: 우원생으로 문과에 합격하였으나 좌원생으로 승원하지 않은 인물들’, ‘4유형: 우원생 중 기술관 가계 출신 인물들’ 등 4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1유형부터 3유형까지 해당하는 인물들은 새로운 교육기관을 통해 대체로 고위 관료로의 진출 가능성을 선점하고자 하였고, 4유형의 인물들은 가계의 가업과 재능을 활용하여 기술관 이외에 더 다양한 범주의 진로를 모색하고자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19세기 후반 사역원 생도의 과거 진출에 관한 연구 -『완천기(完薦記)』수록 인원을 중심으로

        우현정 한국교육사학회 2018 한국교육사학 Vol.4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whether the students of Sayeok-won (司譯院) in the 19th century have passed the Yeog-kwa (譯科) and other civil service examinations, and that the promotion of human resources and the selection in Sayeok-won were closely linked. Through this mutual review with the previous research, 1,303 persons in『Wancheon-gi (完薦記)』were confirmed. Among them, 1,224 persons were successful in entering Sayeok-won. As a result of checking the contents of『Wancheon-gi』and various passengers list of civil service examinations and genealogy, many of the 1,303 candidates for Sayeok-won entrance examination were under 15 years old and one's childhood name was recorded. Among them, 186 people who received official name or changed their names. Through this process, out of 1,224 students enrolled in Sayeok-won from 1861 to 1893, 263 confirmed that they passed the Yeog-kwa, which accounts for 21.5% of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When the share of the total Yeok-gwa applicants was calculated, it was found to be about 47.9% out of the total 549 Yeok-gwa applicants from 1861 to 1891. This is about 23.4%P higher than the previous study. Some of the Sayeok-won students also passed other tests such as Ui-kwa (醫科), Eumyang-kwa (陰陽科), Assesment of Classics and Literary Licentiate (生員進士試), but these ratios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Yeog-kwa. And those who fail to enter Sayeok-won were opposed to passing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other civil service examination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ntrance into Sayeok-won as a student and the passage of a certain curriculum are closely linked to the passing of Yeog-kwa. If the list of students enrolled in Sayeok-won before 1861 and the list of students majoring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the province are acquired and the students of the birth name can additionally confirm that they have received or renewed their official names, The relevance of selection and selection will be revealed in detail.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후반 사역원에 입속한 인물들의 진출 경로로서 역과 및 타과 합격여부를 확인하여 사역원에서의 인재양성과 선발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음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에 선행연구와의 상호검토를 통하여『완천기』에 수록된 인원을 총 1,303명으로 확정하였으며, 이 중 사역원 입속에 성공한 인원은 1,224명으로 집계하였다. 또한『완천기』내 수록내용과 각종 방목, 족보자료 등을 통하여 사역원 입속지원자 1,303명 중 상당수가 15세 미만으로서 아명으로 입속시험에 응시하였고, 이들 중 관명을 받거나 성명을 개명한 인원 186명의 명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1861년부터 1893년까지 사역원에 생도로서 입속한 인물 1,224명 중 총 263명이 역과에 합격한 것을 확인하였고, 이들은 전체 입속 인원의 21.5%에 해당하였다. 이들이 전체 역과 합격자 중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을 산출하였을 때, 1861년부터 1891년까지의 전체 역과 합격자 549명 중 약 47.9%로 기존의 선행연구에 비하여 약 23.4%P가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사역원 입속생도 중 일부는 의과, 음양과, 소과 등 다른 과거시험에 합격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역과 합격률에 비하여 월등히 그 비율이 낮았고, 사역원 입속에 실패한 인원이 타과에 상대적으로 많이 합격한 결과와는 상반되었다. 따라서 사역원에 생도로서 입속하여 일정한 교육과정을 거치는 것이 역과 합격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추후 1861년 이전 사역원 입속생도의 명단과 지방 역학생도의 명단 확보, 아명 입속자의 추가 관명 및 개명성명 확인작업 등이 이루어진다면 사역원에서의 인재양성과 선발의 연관성에 대해 더욱 뚜렷하게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조선 후기 사역원 생도의 진로: 『완천록(完薦錄)』과『완천기(完薦記)』를 중심으로

        우현정 한국교육사학회 2023 한국교육사학 Vol.45 No.2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career changes of Sayeok-won(司譯院) students in Wacheon-lok(完薦錄) and Wacheon-gi(完薦記) an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prominent career path of Sayeok-won students is the entry of bureaucrats through Yeok-gwa(譯科) and another test, and differences between periods could be confirmed. Second, the most special career path of Sayeok-won students is identified as passing the Mun-gwa(文科) in the 18th century, passing the So-gwa(小科) in the 19th century, and entering a foreign language school. First, after entering Sayeok-won, those who passed Mun-gwa in the 18th century passed So-gwa and passed Mun-gwa. In addition, other So-gwa successful candidates have been identified in their families. Next, After attending Sayeok-won, So-gwa successful candidates in the 19th century passed the So-gwa and went back to a foreign language school. In their families, many foreign students and those who went to new schools are identified. Through the above, the characteristics of Sayeok-won students in the late Chosun Dynast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reer path with the largest number of people in both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s invariably the entry of interpreters through Yeok-gwa. Second, on the contrary, in both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re were people and families seeking various career paths in addition to the entry of interpreters, which is considered a general career path. As a result, if there were social limitations in which Sayeok-won students or interpreters were placed, effort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re attempted at all times. In addition, these efforts may have been made by the efforts of certain individuals and families, but most of them were made through the search for various paths through education. 이 글에서는『완천록(完薦錄)』과『완천기(完薦記)』에 수록된 사역원 생도의 진로 변화를 확인하고, 시기별 특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사역원 생도의 가장 두드러진 진로는 역과 및 타과를 통한 관료진출로 역과 및 타과 입격률, 역과 점유율, 타과 입격 양상 에서 각 시기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사역원 생도의 가장 특별한 진로는 18세기 문과합격, 19세기 소과입격 및 외국어학교로 진출로 확인된다. 18세기 문과합격자는 사역원 입속 이후 소과 입격을 거쳐 문과에 합격하였고, 이들의 가계에서는 일부지만 이들 외에도 소과 입격자가 확인된다. 19세기 소과입격자는 사역원 입속 이후 외국어학교 입학을 거쳐 소과에 입격하였고, 이들의 가계에서는 유학이나 신식 학교로의 진학자가 다수 확인된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 사역원 생도의 양성과 진로에 관한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18세기와 19세기에 공통적으로 가장 많은 인원이 진출하고 있는 진로는 역과를 통한 역관 진출이다. 다음으로 양 시기에는 모두 기술관 진출 외에 다양한 진로를 모색하는 인물들과 가계가 존재하였다. 결과적으로 만약 당시 사역원 생도나 역관들이 가졌던 사회적 한계가 있었다면 이를 뛰어넘기 위한 노력은 특정 시기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시기에 시도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노력은 특정 개인과 가계의 노력에 의한 것일 수 있으나 대부분 교육을 통한 다양한 경로의 모색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18세기 혜민서의 의학교육 연구: 혜국지(惠局志) 를 중심으로

        우현정,신은정 한국교육사학회 2023 한국교육사학 Vol.45 No.1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education in the 18th century through Hyeguk-ji (惠局志) , a government journal of Hyemin-seo (惠民署). First, in Hyeminseo, there were The Administrations, The Local officers, and The Instructors for various roles such as Operation, Medical work, and Medical education of Hyeminseo based on Original Registration. learners and instructors can be distinguished by focusing on the function of medical education. Learners include Student, Successful candidates, Experienced men, and Medical women, nd instructors include Medical professor, and Medical trainer. Second, Hyemin-seo’s medical education consisted of three stages: preliminary medical doctor selection, training program, regular evaluation, and customized education. Preliminary medical doctor selection includes student admission and medical women selection, training program includes student’s oral test, medical women’s oral test, and regular evaluation and customized education confirmation for administration’s selection, examination for talented young men, examination for high ranking officers. Each stage has a certain period of time, conducts a fair and continuous evaluation, and shows a high level of learning needs. The system within Hyemin-seo, based on this thoroughly ability, shows that even if a person receives preferential treatment as a member’s family in the admission process of students, he must have both a high-intensity learning process and ability to become a medical doctor in the future. Third, Hyemin-seo divided roles in a relatively equal position to Jeonui-gam (典醫監), the same medical office, and was connected to Naeui-weon (內醫院) in a top-down relationship. When appointing some medical doctors, Hyemin-seo alternately selected and dispatched them on an equal footing with Jeonui-gam. On the other hand, the regulations on educating medical women, achieving achievements, and then promoting them to Naeui-weon, and the records of the best doctor Hyemin-seo being recommended as Naeui-weon, give us an idea of the relationship with Naeui-weon. These characteristics also provide clues as to why Ui-kwa (醫科) was not mentioned much in Hyeguk-ji. 본 연구에서는 혜민서 관청지 혜국지(惠局志) 를 통해 18세기 의학교육의 단면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혜민서에서는 원적(原籍)을 기초로 하여 혜민서의 운영과 치료업무, 의학교육 등의 다양한 역할을 위한 직제인 녹직(祿職), 외임(外任), 교관(敎官) 등을 두었다. 이 중 의학교육을 중심으로 볼 때, 학습자로서 생도(生徒), 출신(出身), 전함(前銜) 등 원적에 수록된 모든 이들과 의녀(醫女), 교수자로서 의학교수, 훈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둘째, 혜민서의 의학교육은 예비의관 선발, 양성교육, 정기평가와 맞춤교육의 3단계로 구성되었다. 예비의관 선발에는 생도입속과 의녀선발, 양성교육에는 생도고강과 의녀고강, 정기평가와 맞춤교육에는 녹시(祿試), 총민시(聰敏試), 권장시(勸獎試)가 확인된다. 각 단계는 일정한 기간을 두고, 공정하고 지속적인 평가를 하며, 높은 수준의 학습 요구사항을 보여준다. 이러한 철저히 능력에 기반한 혜민서 내의 직제체계는 생도의 입속과정에서 의원 가문이라는 특혜를 받았더라도, 이후 의관이 되기 위해서는 높은 강도의 학습과정과 이에 따른 능력이 겸비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혜민서는 같은 의료관청인 전의감과는 비교적 동등한 위치에서 역할분담을 했으며, 내의원과는 상․하관계로 연결되어 있었다. 혜민서는 활인서 참봉, 심약, 관청약방 등의 의관을 임명할 때, 전의감과 동등한 입장에서 교대로 차정했다. 한편 의녀를 교육하여 재예를 이룬 뒤 내의원으로 승차시키는 모습과 혜민서 최고의 의관이 내의원으로 추천되는 기록들은 내의원과의 관계를 짐작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특징은 혜민서에서 의과가 별로 언급되지 않았던 이유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 KCI등재

        사회·문화’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인권교육 내용 분석 - 인권 감수성을 중심으로 -

        우현정,박선웅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2018 법과인권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법 교육, 정치 교육에 편중되어 진행된 인권 교육적 논의를 확장하고 보완 하기 위해 인권 감수성 함양의 관점에서 ‘사회・문화’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고 제언하는 것이 다. 이를 위해 ‘사회・문화’ 교육에서 인권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고, 인권교육에서 인권 감수성이 가 지는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인권 감수성 함양이라는 관점에서 2015 개정 사회・문화 교과서를 검토하기 위한 분석 기준을 마련하고 교과서 4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및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4종 모두 다양한 사회적 범주의 사람들을 사회적 소수자 및 사회적 약자로 제시하고 있었고 비교적 골고루 언급하여 균형성을 갖추었다. 그러나 양심적 병역 거부자나 성 소수자 등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어 추가적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둘째, 성 불평등 양상은 매우 다양하게 제시되는 반면, 빈곤 문제나 사회적 소수자의 문제는 다양 하게 제시되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또한 성 불평등의 사례를 여성이 경험하는 차별 양상에 한정하 여 제시하는 부분은 양성 평등적 관점에서 반드시 수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인권문제 상황을 인권적 시각에서 접근해볼 수 있는 직접적인 서술이 제시되어야 하고, 이를 넘어서 인권과 사회 통합 양자를 종합하는 차원에서 인권 문제를 해석하고 분석하는 내용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적 소수자, 성 불평등, 빈곤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안은 구체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개인적 차원과 함께 사회・제도적 차원에서 포괄적으로 제시되었다. 차별의 근원에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존재하고, 차이가 결국 사회적 가치 배분의 차별을 정당화하는 기제로 작동함을 본문에 서술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적 소수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볼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의 내러티브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 소 수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구체적인 질문을 직접 제시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문제 해결 과 관련된 자신의 역할을 사회적 관계 속에서 파악해보는 내용이 부족했지만 차별 양상을 알리고 개선 책을 찾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활동이 제시되었다. 여섯째, 학습자 수준에 적절한 사회 문제는 다수 제시되었지만 딜레마 상황을 포함하는 사회적 쟁점의 제시는 미흡했다. 가치 딜레마 상황이 부각될 수 있는 다양한 쟁점을 개발하고 교육 내용으로 포섭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기 위해 제시한 내용이 오히려 편견을 강화시킬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내용이나 구성 방식에 있어서 민감성을 갖추고 검토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