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텔・관광 전공생들의 비교과 프로그램과 진로준비행동 영향관계 연구

        우현아,이광우 한국관광연구학회 2023 관광연구저널 Vol.37 No.5

        본 연구는 호텔・관광을 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의 비교과 프로그램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은 인턴십, 현장답사, 특강프로그램으로 구분하였고, 그릿개념(흥미유지, 노력지속)과 진로준비행동의 변수를 사용하여 연구모델과 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조사대상은 국내 호텔・관광을 전공으로 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약 3주 동안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총 203부의 설문지가 연구자료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호텔・관광을 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이 이들의 대학생활에 있어 흥미유지와 노력지속 그리고 진로준비행동에 모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에서 제공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파악하여 호텔・관광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대학의 다양한 교수법 및 교육 운영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토대가 되길 기대해본다. 후속 연구로는 인턴십, 현장답사, 특강프로그램 이외에 존재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요인을 활용한 연구를 진행할 것을 고찰한다.

      • KCI등재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어 수준과 한국관광에 대한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우현아,노정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4 호텔경영학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관광에 대한 행동의도를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알아보고베트남 유학생의 한국어 수준의 조절효과에 따라 계획행동이론의 각 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어 수준은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점수를 기준으로 언어능력을 분류하였다. 연구조사는 국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베트남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12부의 설문지가연구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 분석결과,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관광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행동통제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어 수준(TOPIK)에 따라 한국관광에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와 행동의도는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고 조절됨이 입증되었다. 본연구의 결과는 국내 베트남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관광에 대한 마케팅 및 홍보전략의 자료로 사용 될수 있으며 국내 대학에서 베트남 유학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후속연구로 국내의 여러 지역에서 공부하는 베트남 유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어수준과 관광활동과 관련하여 다양한 국적의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한국어능력검정시험 점수 외 다른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고려하여 연구를 확장하길 제안한다. The study applie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on Korean tourism intentions among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at domestic universities. It also investigates the role of the students' proficiency in the Korean language in this relationship. A survey was conducted over approximately four weeks among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4-year domestic universities, and a total of 312 valid survey responses collected as research data. As a result, this study substantiates that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OPIK) of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within the context of their studies in South Korea, plays a significant role in moderating the impact of attitude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intentions re lated to Korean tourism.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aim to provide insights into how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impacts their engagement in Korean tourism. These insights can be used to develop marketing and promotional strategies for potential Vietnamese tourists and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omestic universities in effectively managing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 KCI등재

        유형원의 잡학교육개혁론 재고

        우현정(禹賢貞) 교육사학회 2013 교육사학연구 Vol.2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반계수록』「제학선제부」에 나타난 반계 유형원의 잡학교육개혁안을 살펴보고, 그가 인식한 17세기 잡학교육의 문제점이 당시 실제 ‘잡과방목’에 나타난 입격자들의 선발 인원과 사회적 지위, 입격 당시 직위 등을 통해 볼 때 적절하였는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학선제부」에서 나타난 반계 유형원의 잡학교육개혁안에는 당시 잡학 취재와 잡과 선발 인원이 과다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잡학 종사자에게 정직과 정록이 제공되지 않아 입격자들의 능력과 사회적 지위가 낮다는 것을 문제시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잡학 취재와 잡과 선발 인원을 줄이고, 줄어든 인원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제공하여 잡학의 위상을 전체적으로 높이고자 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잡과방목’에 나타난 17세기 잡학취재와 잡과에 합격한 이들의 수는 당시 법전인 『경국대전』의 규정 인원보다 비교적 적었으며, 합격 당시의 본인과 가계의 사회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높고 전공을 학습하기 위한 배경 또한 마련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술관으로 입격한 자들 중 상당수의 품계가 승급되어 반계가 제기하고 있는 당시 문제점 중 재검토되어야 할 부분이 상당히 존재하였다.

      • KCI등재

        기억매체로서의 사진과 포스트메모리 – 마르셀 바이어의 『스파이』를 예로 들어

        우현아 한국독어독문학회 2023 獨逸文學 Vol.64 No.3

        2000년에 출간된 마르셀 바이어의 소설 『스파이』는 세대 간 소통의 부재로 인해 과거를 포스트메모리의 형태로 전유하는 사후세대의 모습을 그린다. 소설은 ‘실재의 발산’이라는 전통적인 사진 토포스를 변형시켜 기억매체로서 사진의 서사성과 허구성을 전면에 내세운다. 가족의 과거를 들여다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지만, 곧이어 가족사가 의문스러운 점들로 가득하다는 점을 일깨워주는 가족 앨범은 궁극적으로 소설의 내러티브의 계기이지만, 사진을 기반으로 구성된 포스트메모리는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진다. 뺷스파이뺸에서 사진은 다층적인 과거가 숨겨져 있는 이미지의 표면일 뿐이므로 포스트메모리 구성 과정에서 상상력과 내러티브를 통한 의미 부여 과정을 거친 후에야 비로소 의미를 획득한다. 이로써 과거를 가장 객관적으로 재현하는 매체라고 여겨지는 사진조차도 허구적 기억의 창조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이 분명해진다. 기억매체로서 사진은 소설 속에서 포스트 메모리 구성 과정을 통해 발생한 정서적 유대와 비판적 인식, 동일시와 거리두기, 허구과 진실 사이의 긴장된 관계에 대한 성찰의 계기가 된다. 메타비평적 차원에서는 역사적 지식의 시각적 원천으로서 사진이라는 기억매체를 통한 과거의 재구성에 수반되는 인식론적 어려움과 사진적 재현의 지표성 및 신뢰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Marcel Beyers im Jahr 2000 erschienener Roman Spione schildert die Geschichte von vier Kindern, die sich aufgrund der fehlenden Kommunikation zwischen den Generationen in der Familie die Vergangenheit in Form eines postmemory aneignen. Dabei wird die Narrativität und Fiktionalität in der Fotografie als Erinnerungsmedium in den Vordergrund gerückt. Ein altes Familienalbum, das die Neugier der Kinder weckt, indem es ihnen einen Zugang zur Vergangenheit der Familie bietet, aber auch bald an den Tag bringt, dass ihre Familiengeschichte voller Lücken und Geheimnisse ist, ist letztlich der Auslöser für die Suche nach der eigenen Familiengeschichte. Auf einer metafiktionalen Ebene symbolisiert es den narrativen und fiktionalen Charakter der Rekonstruktion von Geschichte durch visuelle Aneignung. In Spione fungieren die Fotografien zum einen als zentraler Erzählimpuls und sind somit integraler Bestandteil des postmemorialen Verfahrens. Zum anderen dienen sie als Anlass zur Reflexion über das durch diesen postmemorialen Rekonstruktionsprozess entstandene Spannungsverhältnis zwischen emotionaler Annäherung und kritischem Bewusstsein, Identifikation und Distanz, Imagination und Wahrheitsanspruch. Auf einer metakritischen Ebene geht es um die epistemologischen Schwierigkeiten, die alle Rekonstruktionen der Vergangenheit durch das Medium Fotografie als visuelle Quelle historischer Erkenntnis und die damit verbundenen Fragen der Referenzialität und Authentizität im Hinblick auf mimetische Funktion begleiten.

      • KCI등재

        모순된 역사적 경험들의 진실에 관하여 - 다그마 로이폴트의 『두 번의 전쟁이 지나간 후에. 어떤 인생에 대한 소설』

        우현아 한국독어독문학회 2023 獨逸文學 Vol.64 No.4

        Während in der deutschen Erinnerungskultur in den 90er Jahren das Gedenken an die Opfer der NS-Vernichtungspolitik und die Beschäftigung mit den Tätern im Vordergrund standen, rückte in den 2000er Jahren ein “neuer deutscher Opferdiskurs” ins Zentrum der Erinnerungskultur, der das Leid der Deutschen im Krieg, einschließlich Flucht und Vertreibung, Flächenbombardierung und der von Sowjetsoldaten begangenen Vergewaltigungen deutscher Frauen, thematisiert. Günter Grass’ Novelle Im Krebsgang, Jörg Friedrichs Buch Der Brand. Deutschland im Bombenkrieg 1940-1945 und das dokumentarisch-literarische Tagebuch der Anonyma Eine Frau in Berlin waren gerade deshalb so auflagenstark, weil sie, so Harald Welzer, der gefühlten Geschichte der Deutschen viel näher stehen als die offizielle Erzählung über die Vernichtung der europäischen Juden und andere Verbrechen des Dritten Reiches. In einer Zeit, in der die Generation der Zeitzeugen, sowohl der Täter als auch der Opfer, allmählich verschwindet und damit auch die ‘Historisierung’ des Dritten Reiches unvermeidlich ist, ist die Frage nach der Weitergabe des offiziellen Gedächtnisses und des Familiengedächtnisses, die sich nicht ohne weiteres in ein einheitliches Narrativ integrieren lassen, seit der Jahrtausendwende ein zentrales Thema in der deutschen Erinnerungskultur. In ihrem 2004 erschienenen autobiografischen Familienroman Nach zwei Kriegen. Roman eines Lebens setzt sich Dagmar Leupold kritisch mit den Opfernarrativen des Familiengedächtnisses auseinander, die der offiziellen Erinnerung widersprechen. Indem sie zwei gegensätzliche Familiengedächtnisse(Täterschaft und Opferschaft) in den historischen Kontext stellt, statt sich auf nur eine Achse der historischen Erfahrung zu fokussieren, führt ihre Familienerzählung weder zum großen Bruch mit der Elterngeneration, noch gleitet sie in den Revisionismus ab.

      • KCI등재

        2000년대 이후 독일 기억문화 – 나치 과거의 ‘역사화’를 둘러싼 기억들의 충돌

        우현아 한국독어독문학회 2024 獨逸文學 Vol.65 No.1

        오랫동안 부담으로 인식되었던 나치 과거에 대한 비판적 기억은 더 이상 긍정적 국가 정체성과 상충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일부가 되어 홀로코스트는 현대 독일의정체성을 형성하는 내러티브로 기능한다. 독일의 기억문화에 대해 국제사회는 물론이고 독일 내에서도 성공 사례라는 평가가 지배적이지만 2000년대 들어서며 독일 내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른바 ‘새로운 독일인 희생자 담론’을 통해 공적인 기억과 개인 및 가족 기억 사이에 모순이 존재하고, 홀로코스트가 역사의식의 주요 원천인 가족 기억에 자리 잡지 못했다는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공적인 영역에서의 계몽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족 영역에서 무의식적으로 전승되며 독일에 드리워진 나치 과거의 그림자를 걷어내기 위하여 하나의 내러티브로 통합하기 쉽지 않은 공식적 기억(가해자 기억)과 가족 기억(독일인 희생자 기억)을 미래 세대의 역사의식에 통합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나치 과거를 바람직하게 ‘역사화’하는 것이 2000년대 이후 독일 기억문화가 당면한 과제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나치 역사와 그 잔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열기위해 기존의 규범적인 ‘희생자 중심 추모 의식’에서 탈피하여 나치 과거가 독일인에게 갖는 모순되고 감정적으로 양가적인 부분에 공간을 내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미래세대의 역사의식에 나치 역사를 통합하기 위한 과정으로 여겨지는 ‘역사화’는 과거 사실에 대한 도덕적 판단에 머무르지 않고, 이를 현재 세계의 이해와 체험에 적용하는, 즉 현실에 기반한 ‘주체적’ 과거 재구성 작업을 의미한다. Die lange Zeit als Belastung empfundene selbstkritische Erinnerung an die NS-Vergangenheit steht nicht mehr im Widerspruch zu einer positiven nationalen Identität, sondern wird Teil davon, und der Holocaust fungiert als identitätsstiftendes Narrativ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Während die deutsche Erinnerungskultur sowohl international als auch in Deutschland weithin als Erfolgsgeschichte angesehen wird, gibt es seit den 2000er Jahren eine wachsende Zahl von Kritikern in Deutschland. Der so genannte neue deutsche Opferdiskurs offenbarte die Widersprüche zwischen dem öffentlichen und familiären Gedächtnis sowie die Tatsache, dass der Holocaust im Familiengedächtnis, der Hauptquelle des historischen Bewusstseins, keinen Platz gefunden hat. Die Herausforderung für die deutsche Erinnerungskultur besteht in einer angemessenen Historisierung der NS-Vergangenheit, die es ermöglicht, das offizielle Gedächtnis(Tätergedächtnis) und das familiäre Gedächtnis(deutsches Opfergedächtnis), die sich nicht ohne weiteres in ein einheitliches Narrativ integrieren lassen, in das Geschichtsbewusstsein zukünftiger Generationen zu integrieren, um das trotz öffentlicher Aufklärung im familiären Bereich immer noch unbewusst tradierte Wissen über die NS-Vergangenheit zu erhellen. In diesem Zusammenhang argumentieren viele Wissenschaftler, dass es, um neue Perspektiven auf die NS-Geschichte und ihre Überreste zu eröffnen, notwendig sei, sich von den bestehenden normativen, opferzentrierten Erinnerungsritualen zu lösen und den widersprüchlichen und emotional ambivalenten Aspekten der NS-Vergangenheit Raum zu geben. Historisierung als Prozess, die NS-Geschichte in das Geschichtsbewusstsein zukünftiger Generationen zu integrieren, bedeutet nicht nur eine moralische Bewertung der Geschichte, sondern auch eine subjektive Rekonstruktion der Vergangenheit, gestützt auf Erfahrungen in der gegenwärtigen Welt.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우현아,이희수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21 평생교육 · HRD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student’s four types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over,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between the two main variables. In order to verify these question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462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four types of social support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ereas four types of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Secondly,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ly, the mediated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types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development of instrument to measure social support is required in relation to the career.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to various types of support through active support in family, friend, professors and counseling centers. Finally, in order to promo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is necessary to prepare programs or institutional devices that can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이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각 지지 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생 4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모든 지지 유형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보였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어, 사회적 지지의 네 가지 지지 유형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사회적 지지를 네 가지 지지 유형으로 나누어 지지 유형별 타당도와 신뢰도, 상관관계, 영향관계 및 구조적 관계 등 어떠한 경로를 통해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지닌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와 의의는 향후 대학생의 진로·취업 고취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SNS의 구전정보특성이 한국관광태도, 구전의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베트남 유학생을 대상으로

        우현아,노정희 한국관광연구학회 2022 관광연구저널 Vol.36 No.5

        본 연구는 국내 베트남유학생을 대상으로 SNS에서의 한국관광 구전정보특성과 한국관광의 태도, 구전의도,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SNS구전정보특성은 동의성, 생생함, 신뢰성, 유용성으로 구분하였고 태도, 구전의도, 행동의도의 변수를 사용하여 연구모델과 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조사대상은 국내 베트남유학생으로 약 5주 동안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총 312부의 설문지가 연구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NS 구전정보특성은 태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태도는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도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전의도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베트남 유학생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페이스북에서의 한국관광정보 특성이 한국관광에 대한 태도, 구전의도 및 행동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베트남 유학생을 통해서 향후 잠재 베트남 관광객 유치에 필요한 전략수립에 자료로 국내관광산업계 SNS 마케팅 실무자들에게 베트남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후속연구로 국내 다양한 지역에서 공부하고 있는 베트남 유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가 있으며 동의성, 생생함, 신뢰성, 유용성 외에도 존재하는 구전정보 특성이나 다른 SNS의 구전정보 특성과 구전의도 및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를 고찰해 볼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네트워크의 신뢰도를 고려한 OLSR 프로토콜

        우현재(Hyun-Jae Woo),이동열(Dong-Yul Lee),이채우(Chae-Woo Lee) 대한전자공학회 2008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5 No.6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MANET)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변화로 인해 데이터 전송의 정지확률과 경로가 끊어질 확률이 높아 경로 유지가 힘들다. 이러한 MANET의 특성 때문에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률을 보장하기 어렵다. 따라서 노드 간 링크의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하고, 이에 기반을 둔 라우팅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링크 신뢰도 기반 라우팅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먼저 과거 정보를 사용하여 가설을 추론하는 베이지안 추론을 적용하여 노드 간 링크의 신뢰도를 측정 할 수 있는 링크 신뢰도 측정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노드의 홉 수와 노드 간의 연결성을 고려한 기존의 OLSR 프로토콜에 추가적으로 링크 신뢰도 측정 모델을 적용한 링크 신뢰도 기반 OLSR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NS-2를 사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링크 신뢰도 측정 모델을 적용한 OLSR 프로토콜이 기존의 OLSR 프로토콜에 비해 전송 성공률과 안정성 측면에서 성능이 우수함을 보여준다. It is difficult to maintain routes in the mobile ad hoc network (MANET) due to the high probability of disconnected routes break by frequent change of topology. The links can have the different reliability about data transmission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Hence a measure which can evaluate this reliability and a algorithm which reflects this are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routing algorithm based on reliability about transmission. First the bayesian inference which infers the hypothesis by past information is considered to obtain the link's transmission reliability. The other is that the link-based reliability estimation model which considers each link's reliability additionally is proposed while the standard uses only Dijkstra’s shortest path algorithm. the simulation results using NS-2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proposed algorithm is superior to the standard OLSR in terms of throughput and stability.

      • KCI등재

        2017년 대한민국 영상의학검사 원격판독의 실태: 수련병원 및 원격판독기관 설문조사와 인터뷰

        우현,최문형,어홍,정승은,도경현,이종석,김승훈,정우경,조은석,최준일,황재연 대한영상의학회 2019 대한영상의학회지 Vol.80 No.3

        Purpose Teleradiology has been widely used nationwide in various ways. In order to prepare a guideline, it was recognized that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eleradiology in Korea was necessary. Materials and Methods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training hospitals.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with teleradiology centers and teleradiologists. The bid records of Government e-Procurement System (Narajangteo) was examined. Results The main reason for requesting teleradiology was manpower shortage. The contracts were made on a per-case basis and all were interpreted with the reading radiolgists’ names on the report. The report seemed to be delivered timely and access to clinical information was possible in some cases. The teleradiology fees collected from the e-procurement system were lower than those from other subjects, which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the lowest bid method. Conclusion Guidelines for teleradiology should be developed on legitimate interpretations. In addition, continuous efforts to solve the problem of quality deterioration of teleradiology will be needed. 목적 원격판독은 다양한 방법으로 전국적으로 광범위하게 시행되고 있다. 원격판독에 대한학회의 입장과 방향을 제시하기에 앞서 우선적으로 원격판독에 대한 실태 조사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있었고, 이에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대상과 방법 수련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원격판독기관, 원격판독의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공공의료기관에서의 원격판독에 대한 최저가 입찰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나라장터의 입찰기록을 조사하였다. 결과 원격판독을 의뢰하는 주된 이유는 인력부족이었다. 계약 조건은 모두 건당 계약이었으며 모두 실명으로 판독하였다. 판독의 적시성은 확보된 것으로 보이며 임상정보에 대한 접근은 일부에서만 가능하였다. 나라장터에서 조사된 원격판독료는 다른 방식으로 조사된 원격판독료보다 낮았으며 이는 최저가 입찰 방식의 결과로 생각된다. 결론 원격판독에 대한 학회의 가이드라인이 명확한 법적 유권해석을 바탕으로 만들어져야하며, 원격판독의 질적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회 차원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