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 남서대륙붕 표층퇴적물의 살아있는 저서성 유공충 분포

        우한준,오재경,김효영,최동림,이치원,Woo, Han-Jun,Oh, Jae-Kyung,Kim, Hyo-Young,Choi, Dong-Lim,Lee, Chi-Won 한국해양학회 1997 바다 Vol.2 No.1

        The southwestern continental shelf of the East Sea, Korea developed mud deposits as a belt in the inner shelf area from Pusan to Pohang. The general surface sediments consist of very poorly to poorly sorted muddy sediment. The differences of physical, geological and geomorphic conditions in the study area may control and produce distinctive foraminiferal populations. To establish a baseline of environment for the muddy sediments in the southwestern continental shelf of the East Sea, 17 stations were sampled and proved to contain 45 species of living benthic foraminifera. Analysis of the foraminiferal populations in cluster analysis recognized to five habitat zones. These habitat zones contain distinctive cooccurrences of the entire occurring species. Foraminiferal community composition appeared to be closely interrelated of water masses, depths, nutrients and sediment characters. 동해 남서대륙붕은 부산에서 포항까지 내대륙붕에 니질퇴적물이 띠형태로 형성되어있다. 이 지역은 분급도가 대체적으로 불량한 니질퇴적물로 구성되어있다. 연구지역의 물리적, 지질적 그리고 지형학적인 차이는 아마도 살아있는 유공충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리라 생각된다. 동해 남서니질퇴적물의 환경기준선을 설정하기 위하여 총 17개의 정점에서 45종의 살아있는 저서성유공충을 이용하여 검증을 해보았다. 살아있는 저서성유공충의 집괴분석은 5개의 서식지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서식지는 각 서식지의 모든 정점에서 나타나는 종에 의하여 각각이 뚜렷하게 구별되고 있다. 각 서식지를 구성하는 종들은 해류, 수심, 영양염 그리고 해저퇴적물의 특정이 서로 연관되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신두리 해안 Side Scan Sonar 해저면 음향영상과 해저퇴적물

        우한준,이용국,정갑식,제종길,박건태,정백훈,조진형,김성렬,Woo, Han-Jun,Lee, Yong-Kuk,Jeong, Kap-Sik,Je, Jong-Geel,Park, Gun-Tae,Jung, Baek-Hun,Cho, Jin-Hyung,Kim, Seong-Ryul 한국지구과학회 2002 韓國地球科學會誌 Vol.23 No.8

        사이드 스캔 소-나 시스템을 이용하여 태안반도 부근 신두리 해역에서 해저면 음향영상 자료를 획득하였다. 후방산란 음향강도와 해저퇴적물의 물성에 대한 상호관계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위의 두 자료 모두 해저수심과 각각 비교해석 하였다. 해저퇴적물의 물성 대부분은 음향강도와 좋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지만, 퇴적물의 분포양상은 암반노출지역을 제외하고는 해저면 음향영상과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았다. 해저수심은 해저면 음향영상의 분포형태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해저퇴적물의 물성 분포에서도 선형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Seafloor acoustic image data using the side scan sonar system were gathered on the Sindu-ri offshore near the Taean peninsula, middle western Kore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scattering acoustic intensity and the sea-bottom sediment properties was studied. And these two data sets were compared and interpreted with the water depth, respectively. Most of sediment properties were correlated well to the acoustic intensity, however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sea-bottom sediment and the seafloor acoustic image were not similar to each other except the rocky bottom area. The water depth was not only influential o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seafloor acoustic image but also showed a linear relation with the sediment properties distribution.

      • KCI등재

        마산만 퇴적환경 오염에 따른 저서성 유공충 분포 변화

        우한준,김효영,정갑식,천종화,김성은,추용식,Woo, Han-Jun,Kim, Hyo-Young,Jeong, Kap-Sik,Chun, Jong-Hwa,Kim, Seong-Eun,Chu, Yong-Shik 한국해양학회 1999 바다 Vol.4 No.2

        Masan Bay is highly polluted by the discharge of large quantities of effluents from the industrial complex and domestic sewage of Masan City, Southeast Korea. Surface sediments from 9 stations were used for geochemical and foraminiferal analyses in order to investigate foraminiferal response to sedimentary pollution in the Bay.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ediments a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Kyeonggi Bay and Daesan area, west coastal region of Korea. Zn, Cd, Pb, and As are more concentrated than in world average shale, indicating that the municipal and industrial effluents cause sediment contamination. Responses of benthic foraminifera to the sedimentary pollution effect document a degree of pollution in Masan Bay. The species number and diversity in Masan Bay had lower values than those in Gadeog Channel. In Masan Bay, agglutinated foraminifera are abundant and calcareous foraminiferal tests were frequently pyritized. Eggerella advena and Trochammina pacifica dominated at levels of pollution and could be opportunistic species. These data will provide a baseline for future assessments of environmental quality in Masan Bay. 마산만은 인근도시로부터 산업폐수와 생활오수가 유입되어 매우 오염된 지역이다. 오염된 퇴적환경에 대한 저서성 유공충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하여 9정점의 표층퇴적물에서 지화학 및 유공충 분석을 하였다. 마산만은 경기만과 대산해역에 비하여 높은 중금속 함량을 나타내며 세계 평균세일의 중금속 함량과 비교하여도 Zn, Cd, Pb, As의 함량이 높아 이 지역의 퇴적물이 산업폐수에 의하여 오염된 것을 지시한다. 마산만의 퇴적물에 분포하는 저서성 유공충의 반응은 마산만이 오염된 것을 나타낸다. 마산만에 분포하는 저서성 유공충의 종의 수와 다양성은 가덕수로에 비해 크게 감소한다. 마산만에서는 사질 유공충이 우세하며 유공충 외각에서는 황철반점이 발견된다. 오염된 마산만에서 우세하게 나타나는 Eggerella advena와 Trochammina pacifica는 이 지역에 높은 적응력을 가진 기회종이다. 이러한 자료들은 이 지역의 미래 환경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선이 될 것이다.

      • SCOPUSKCI등재
      • 강진만 표층 퇴적물의 저서성 유공충 분포 특성

        우한준(Han Jun Woo) 한국고생물학회 2007 고생물학회지 Vol.23 No.1

        강진만의 퇴적환경을 조사하기 위하여 27 정점의 표층퇴적물에서 유공충 분석을 하였다. 살아있는 유공충 34종을 포함하여 총 98종이 확인되었다. 살아있는 유공충에서는 Ammonia beccarii, 전체군집에서는 Ammonia beccarii와 Quindueloquina seminulum이 연구지역에서 넓게 분포하였다. 일반적으로 종수와 종다양성은 창선도와 사천시 사이의 해역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며 이는 남해와 강진만의 해수교환으로 외해종이 혼합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전체 유공충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 6개의 생물상으로 구분되었다. 생물상1과 2는 강진만의 저서환경을 대표하는 것으로 보이며, 생물상 3과 4는 남해와 생물상 6은 여수만과 해수교환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전이환경, 그리고 생물상 5는 만의 국지적인 환경으로 보인다. 저서성 유공충 특성은 향후 퇴적환경 변화를 파악하고, 변화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퇴적 환경 기준선(baseline)과 이 지역의 제4기 후반 고해 양 환경을 해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Surface sediments from 27 stations were used for foraminiferal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sedimentary environments in Gangjin Bay. Ninety-eight species were recorded in total assemblages, including 34 species of living population. Ammonia beccarii in living population and Ammonia beccarii and Quinqueloculina seminulum in total assemblage were widely distributed in the study area. Generally, the high numbers of species and the high values of species diversity occurred in the sea area between Changseon-Do and Sacheon-Si caused by a mixing of faunas from the bay and South sea. Cluster analysis of total assemblages discriminated to six biofacies. Biofacies 1 and 2 indicated typical subenvironments of Gangjin Bay. Biofacies 3, 4 and 6 were transitional zones affected by inflow water from South sea and Yosu Bay. Biofacies 5 showed local environment in the bay. Characteristics of benthic foraminiferal distributions are useful baseline for estimating environmental changes and for interpreting paleoenvironment during late Quaternary in deposits of Gangjin Bay,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원소분석기를 이용한 형도 퇴적물의 총탄소 및 총유기탄소 특성

        이준호(Jun-Ho Lee),박갑성(Kap-Song Park),우한준(Han-Jun Wo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2 자원환경지질 Vol.45 No.6

        해양 퇴적물내 함유된 총탄소(total carbon; TC), 총무기탄소(total inorganic carbon; TIC)와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의 정량적 이해는 해양 저서 퇴적 환경 해석을 위한 기본 자료이다. 원소분석기(elemental analyzer; EA)는 내륙 토양 및 해양 퇴적물의 탄소성분 분석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원소분석기로 분석한 표준시료샘플(soil reference material; SRM)의 탄소 및 질소함량은 평균 2.30%와 0.21%이었으며,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는 각 각 0.02, 0.01이었다, 상대표준편차(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는 각각 0.01, 0.06으로 높은 정밀도를 나타내 었다. 형도 부지의 총유기탄소(TOC) 2.0% 이하 샘플에 대해 총유기탄소(TOC)와 총탄소(TC) 분석치의 회귀분석은 기 울기가 0.9743인 직선형 관계(R2=0.9989, n=38)를 보였으며, 2개 샘플을 제외한 총유기탄소 0.5% 이하의 총유기탄 소량 및 평균입도의 관계 회귀분석 결과는 기울기가 0.0444인 직선형 관계(R2=0.6937 n=36)를 나타내었다. 형도 표 층퇴적물의 총유기탄소(TOC) 함량은 0.10~1.67%(평균 0.26±0.37%) 범위로 S02 정점에서 1.67%, S07 정점에서 1.31%이고 나머지 점점은 1.00% 이하의 총유기탄소(TOC) 함량을 나타냈다. 주상퇴적물 PC 01 정점의 경우 70 cm 부근에서 총유기탄소(TOC)가 가장 높은 0.20%을 보였고, 주상퇴적물 PC 02 정점의 경우 60 cm 부근에서 가장 높 은 0.24%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형도 샘플의 총유기탄소(TOC) 0.5% 이상 함유 샘플에 대해서는 탄산염 같은 무기 탄소량이 높은 퇴적물 분석시 오차가 발생할수 있지만,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얻어진 유기탄소분석 방법은 해양 퇴적 물의 유기탄소분석에 적용 될 수 있다. 그리고 원소분석기(EA) 정밀도 및 정확도로 해양 퇴적물 표층 및 주상 퇴적 물 유기탄소분석 분석 실험에 유용 할 것으로 사료된다. Quantitative understanding of total carbon, total inorganic carbon and total organic carbon contained in ocean sediments is a basic data for interpretation of oceanic sediment environments. Elemental analyzer(EA) is frequently used for the analysis of carbon contents in inland soils and ocean sediments.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of the soil reference material analyzed by an EA were 2.30% and 0.21% with standard deviations of 0.02 and 0.01,respectively.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were 0.01 and 0.06, respectively, representing a high precision. Regression analysis of TOC and TC analysis results for the samples with TOC of less than 2.0% for the site in Hyung-Do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with a slope of 0.9743(R2=0.9989, n=38), and the results of a relationship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otal organic carbon contents less than 0.5% and average grain size except for two samples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with a slope of 0.0444(R2=0.6937 n=36). TOC contents of surface sediments were in the ranges of 0.10~1.67%(Average 0.26±0.37%) with TOC values of 1.67% at S02 sampling site, 1.13% at S07 sampling site, and less than 1.00% at remaining sites. In the case of PC 01 core sediments, TOC showed the highest value of 0.20% near 70 cm. In the case of PC 02 core sediments, the highest value of 0.24% was indicated near 60 cm. The analysis method of organic carbon obtained from Hyung-Do Intertidal zone sediment sample results may be considered applicable to an organic carbon analysis for ocean sediments and useful for organic carbon analysis experiments of ocean sediments with a reduction in time required for the analysis and a high precision coupled with a high accu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