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나주 정촌고분을 통해 본 5~6세기 백제 중앙과 지방의 무덤 양식 공유

        우재병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appearance of a new tomb style found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Paekche between 5th and 6th century. Around the end of the 5th century, square tombs were adopted as the chief tombs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Paekche. The appearance of these tombs is similar to that of the King's tomb in Paekche, but the difference in rank of the tombs is different according to class before the death. Sharing the tomb's style among the central and local politicians was apparently a policy to strengthen the political solidarity. In the early 6th century, the Wa-style keyhole-shaped tombs appeared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Paekche. These tombs were political monuments built to publicize the close diplomatic solidarity between Paekche and Wa. Paekche tried to deter Goguryeo from military intimidation by strengthening diplomatic ties with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Dae-Kaya and Wa. At this time, Paekche's strategy of adopting the highest tombs of these friendly allies reached its peak. 이글에서는 5세기 후엽과 6세기 전엽경 백제 서남부지역에서 관찰된 새로운 무덤 양식 변화의 배경을 찾고자하였다. 5세기 후엽경, 백제 서남부지역 최고위급 수장묘에는 백제 중앙 석촌동 고분군의 방형 적석총과 유사한 무덤들이 채용된다. 이 양상의 특징 중에는 방형이라는 무덤 형태 뿐만 아니라 무덤 규모와 축조 방식의 유사성도 포함된다. 백제 서남부지역 최고 수장묘 중 하나인 나주 정촌고분 사례를 관찰하면, 이 고분의 외관이 백제 중앙의 적석총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분구 축조 과정에는 積石기법 보다는 주로 葺石 기법이 사용되었다. 그렇지만 정촌고분의 분구 축조 방식을 자세히 관찰하면, 커다란 돌을 가공하여 분구 하단에 배치한 축조 양상이 매우 특징적이다. 이 축조 방식은 일반적인 분구 즙석 기법과는 다른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석촌동 3호분 등 백제 왕급 적석총의 하부 적석 기단의 모방으로 판단된다. 즉 분구 전체를 적석으로 축조하지는 않았지만, 백제 중앙의 적석총과 유사한 외관을 부분적으로 구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양상은 백제 중앙과의 위계에 따른 축조,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한 축조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백제 중앙과 지방 사이의 무덤 양식 공유는 백제 중앙과 지방 사이의 강력한 정치적 연대 강화책의 일환이었다고 판단된다. 이들 수장묘 분구에 원통형 토기를 장식하는 왜 양식 장례 의례가 추가된 것은 백제와 왜 사이의 외교적 연대 강화를 과시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6세기 전엽경이 되면, 백제 서남부지역에서는 왜 양식 전방후원분이 새롭게 출현한다. 6세기 전엽경 일시적으로 등장하였다가 쇠퇴한 이들 전방후원분은 백제와 왜 사이의 긴밀한 외교관계 강화를 고구려에 과시하기 위한 정치적 기념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공주로 천도한 직후의 백제는 중국 남조, 대가야 등 가야서부지역 정치체, 왜를 잇는 외교적 연대 강화를 통하여 고구려의 군사적 위협을 저지하려 하였다. 이들 우호적인 동맹국의 최고급 무덤 양식을 채용하는 백제의 외교 전략 시행은 이 시기 최고조에 달하였다.

      • KCI등재

        5세기 후엽~6세기 전엽경 백제 죽막동제사에 왜양식 제의가 포함된 배경

        우재병 한국고대학회 2022 先史와 古代 Vol.- No.70

        During the late 5th century to theearly 6th century, Wa-style religious services were held at the Baekje's Chungmakdong ritual site. Therecognition of the participation of theJapanesein Baekje's national religious services symbolizes the close political solidar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During the war with Goguryeo, Baekje's most important task wa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west coast route. In particular, Baekje needed to strengthen maritime trade with Wa in order to secure the necessary costs for carrying out the war with Goguryeo. The two countries staged joint religious services to show off their close diplomatic solidarity to Goguryeo. Built in the southwestern area of Baekje in the early 6th century, the keyhole tombs symbolizes the clos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Wa, which was strengthened during this period. These actions are believed to have been intentional to prevent Goguryeo's attack. The deep ties between King Muryeong and Keitai administration also seem to have been an important factor in clos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during this period. 5세기 후엽~6세기 전엽경 백제의 죽막동제사유적에서는 왜양식 제의가 포함된 정황이 발견되었다. 죽막동제사유적에서의 제의 활동 강화는 이 시기 백제 서해안 항로에서의 안전 확보가 중요한 과제였음을 시사한다. 백제의 서울지역 수도가 함락되는 등 고구려의 공격이 더욱강화된 상황에서 서해안항로를 통한 전쟁물자와 국제적인 교역품의 안전한 운송은 백제의 국가적 과제였다. 특히 백제의 경우, 고구려와의 전쟁 비용‧물자를 마련하기 위해서도 왜와의해상교역은 매우 중요하였다. 백제에서 생산된 철 등 전략물자와 장식 환두대도, 금 귀걸이 등은 특히 왜에게 필요한 물품들이었다. 백제는 이러한 경제적인 이유에서도 왜 사신‧상인들을 우대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이 시기 죽막동제사에서는 중국 남조양식 제의와 가야양식 제의도 왜양식 제의와 더불어 거행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현재 확실하게 인정되는 외국양식 제의는 소형석제모조품을 헌공하는 왜양식 제의가 유일하다. 왜인들이 백제의 국가적인 제사 장소에서 왜양식 제의를 거행할 수 있었던 것은 백제 측의 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양국이 합동으로 죽막동제사를거행하는 장면을 연출한 것은 고구려를 포함한 주변국에게 백제와 왜 사이의 긴밀한 외교적연대를 과시하기 위한 연출된 행위였다고 추정된다. 죽막동제사에 왜양식 제의가 추가된 또 하나의 배경은 백제와의 외교적 연대 강화를 목표로하는 왜의 새로운 정치‧경제적인 전략 수립이다. 고구려의 대규모 침공으로 교역의 중심축역할을 상실한 금관가야를 대체할 새로운 교역 중심축을 확보해야하는 것이 왜의 최우선과제였다. 5세기 전엽 이후, 왜가 백제로 향하는 해상항로에 위치하는 아라가야, 소가야, 대가야등 가야서부지역 정치체들과의 교역‧교류를 강화한 것도 이러한 전략목표를 달성하기 위한선결과제였기 때문이다. 6세기 전엽 무령왕 시기가 되면, 왜인들의 죽막동제사 참여와 더불어 백제 서남부지역 일부수장묘에 왜양식 전방후원분이 채용되는 현상이 함께 등장한다. 이것은 전방후원분이 아닌원통형토기라는 왜 무덤양식을 채용하던 5세기 후엽 단계에 비하여 양국 간의 상호 신뢰가증가되었음을 시사한다. 백제와 왜에서 새롭게 정권을 잡은 무령왕과 게이타이(繼體)왕 사이의 개별적인 정치적 신뢰감도 매우 높았음을 의미한다. 고구려의 남하정책 저지라는 이들의전략적 목표와 더불어 상호 신뢰감이 이 시기 백제의 친왜정책 강화를 유도한 것으로 볼 수있다.

      • KCI등재

        「環濠都市」論을 통해본 日本 古代 都市의 萌芽

        우재병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7 百濟硏究 Vol.46 No.-

        This paper aims to argue that, viewed from an archeological approach, the huge moated settlements during the Middle Yayoi Period were, in fact, not cities, but something suggestive of the budding of Ancient Japanese Cities. In what follows, I propose to reconsider the view that the huge moated settlements were cities. Rather I would argue that the huge moated settlements were cities at an infant stage. It is a universally acknowledged fact that the huge moated settlements with more than 10ha in level size emerged in major parts of Japan during the Middle Yayoi Period. In these historic sites, some essential elements of cities such as population concentration, a trading centre for craftsmen, and the long distance trade networks system were traceable. With this approach, it has been claimed that the huge moated settlements were cities during the Middle Yayoi Period. However, precisely speaking, the aforementioned settlements were not cities. There is some archeological evidence to consider. One of them is that there was no sign of the population concentration threatening self-sufficiency. Also, the ratio of craftsmen and traders were not higher than that of farmers. Furthermore, in exploring the long distance trade networks system, priorities had to be given to analyzing bronze and iron tools imported from Korea, not stone tools that were easily available in Japan at that time. In conclusion, some hard evidence shows that the huge moated settlements during the Middle Yayoi Period were not cities. Rather they were the germination of cities, to say the least. 기원전 1세기 전후 야요이시대 중기 일본열도 주요부에서는 평면 규모 10헥타르가 넘는 거대환호취락이 나타난다. 이들 거대환호취락에서는 인구 集住, 수공업 생산거점, 장거리 교역망의 센터 등 도시적 요소가 일부 확인된다. 이것을 근거로 이러한 취락유형은 종종 야요이시대 도시로 명명되기도 한다. 한편, 이 거대환호취락을 도시로 볼 수 없다는 주장도 제시되었다. 그 근거는 이들 거대환호취락 내부에 자급자족을 상실할 정도의 과도한 인구 集住 양상이 보이지 않고, 수공업과 교역에 종사하는 사람과 같은 비농민의 비율도 높지 않다는 점 등이다. 장거리 교역망 사례연구의 경우, 도시적 요소의 존재를 설득력 있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석재·석기 등 일본열도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물자보다는, 한반도에서 도입된 청동기·철기 등 선진적인 물자를 우선적으로 분석하여야한다. 결론적으로 현재까지의 고고학적인 정황을 고려하면, 야요이시대 중기 거대환호취락에서 도시의 萌芽는 발견할 수 있지만, 도시라고 명명할 수 있는 근거는 매우 미약하다.

      • KCI등재후보

        5世紀頃 日本列島 住居樣式에 보이는 韓半島系 - 炊事ㆍ煖房시스템의 普及과 背景

        우재병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5 百濟硏究 Vol.41 No.-

        It is assumed that a new Korean-style cooking and heating systems by using kitchen range and stove-pipe were spreading across the Japanese islands in the 5th century. By the 5th century, Wa's trade routes to the Korean peninsula were diversified, ranging from Kumguan-Kaya in the regions of the lower Nakdong River through the West Kaya near the West Nakdong River to the valley of the Yungsan River and that of the Kumgang River which were known as Paekche territories. In the process of state formation, Wa's had no choice but to diversify its trade routes into the Korean peninsula. This was made possible by Wa's ship constructing and navigating skills in the 5th century, which is supported by the current archaeological data. It can be thus concluded that Japan in the 5th century adopted a new Korean-style cooking and heating systems. This was largely due to Wa's strategy for diversifying its trade routes into the Korean peninsula. 5세기경 일본열도에는 부뚜막과 연도를 이용한 한반도계 취사⦁난방문화가 보급된다. 5세기경은 왜에서 한반도로의 교역루트가 낙동강하류지역의 금관가야에서 낙동강 서쪽의 가야서부지역, 그리고 영산강유역⦁금강유역을 비롯한 백제지역으로 다원화되는 경향이 뚜렷한 시기이다. 왜의 5세기경 선박제작기술과 항해술을 고려하면, 한반도 여러 나라와의 안정적 교역루트 확보는 고대국가로 성장해 가는 왜에게는 유일한 선택이었을 것이다. 즉 5세기경 이후 일본열도 주요부에서 한반도계 취사⦁난방시스템이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은 왜가 한반도 여러 나라와의 교류를 보다 다원화하는 과정에서 한반도계 사람들이 일본열도에 대규모로 이입되었고, 이들이 왜의 중앙권력이 소재한 나라⦁오사카를 위시한 일본열도 각지에서 정착⦁활동하는 과정에서 한반도계 선진문화로서 급속히 보급되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왜 오키노시마 제사유적과 백제 죽막동제사유적을 통해 본 왜 상인들의 역할

        우재병 고려사학회 2023 한국사학보 Vol.- No.93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role of Japanese merchants who traveled between Baekje and Japan in the late 5th and early 6th centuries. It is believed that economic purposes as well as political ones were behind the active exchange between Baekje and Japan during this period. Japanese Umbrella pine, Baekje-made ornamental sword, earrings, and glass beads are the main items exported and imported by Japanese merchants through maritime trade activities. In some cases, the central authority of Baekje gave gilt-bronze crowns to Japanese merchants. This seems to have been a strategic move by Baekje's central authority to secure economic benefits through exports. Compared to Japan, Baekje needed to earn money for the war against Goguryeo. Another part of Baekje's preferential policy toward them is that Japanese merchants held Japanese-style rituals at the Chungmak- dong Ritual Site in Baekje. Also, the adoption of a Japanese tomb style for the chief's grave in southwestern Baekje may be part of a diplomatic strategy to inform them that Baekje's pro-Japan policies have been strengthened.

      • KCI등재
      • KCI등재

        무덤과 祭祀遺蹟을 통해 본 5~6세기 百濟와 倭

        우재병(Woo, Jae-pyoung) 고려사학회 2011 한국사학보 Vol.- No.4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mbs and Ritual Sites related to Wa that appear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Baekje and southern coastal region of Baekje and Gaya during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For this, the paper first looks at the aspects of the tombs and Ritual Sites related to the marine trade route i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first and fourth centuries. Then, it compares and analyzes the features of the trading system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during the first and fourth centuries with that during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In this respect, the following conclusion regarding the trading system in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was attained. First, the emergence of a new trading system which reinforced the interaction between Baekje and Wa during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was caused by the political transforma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spread by attacks from Goguryo on Keumguan Gaya and Baekje. Second, the new trading system between Baekje and Wa in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mainly used the southern coastal trade route that places the Gaya region as an intermediary. This southern coastal trade route was able to be established based on the amicable diplimatic relationship among Baekje, Gaya, and Wa. Thirdly, the Wa-style keyhole-tombs applied in some of the master tombs of the southwestern Baekje region and the traces of the Wa-style ritual activities found in the Chukmakdong Ritual Site of Baekje are assumed to be the results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trading system between Baekje and Wa in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Fourth of all, the representative historical remains that were found in the southern coastal trade route connecting Baekje, Gaya, and Wa in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are the Geoje Jangmok Tomb, Sacheon Sunjinli Tomb, Goheung Andong Tomb, Shinan Baenale Tomb Noo.3, and so on. The owners of these tombs seem to be the maritime powers that had economically developed through the invigorating process of the international southern coastal trade route, initi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s of Baekje, Gaya, and Wa. Especially the fact that a Baekje gilt-bronze crown was excavated from the Goheung Andong Tomb signifies that the main strategic goal of the central government in Baekje during this time was to secure a stability in the southern coastal trade route.

      • KCI등재

        죽막동 제사유적과 오키노시마 제사유적을 통해 본 5~6세기 백제와 왜의 해상 교류

        우재병(Woo Jae-Pyoung)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8

        5~6세기경, 백제와 왜 사이 해상 교류를 시사하는 결정적인 고고학적 자료는 죽막동 제사유 적에서 출토된 왜 양식 석제 모조품들이다. 이 석제 모조품들은 죽막동 제사에 왜 관리ㆍ상인 들의 참석 사례가 있었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죽막동 제사유적에서 보이는 이러한 정황 은 5~6세기경, 백제와 왜 사이에 정치 경제적 연대 강화를 위한 새로운 외교적 노력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죽막동 제사유적이 백제 중앙이 관여한 국가적 제의 장소였다는 점은 백제 중앙 양식의 최상급 헌공품의 존재로부터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다. 4세기경, 백제 서해안 항로 상의 교역선 안전을 기원하기 위해 죽막동 제사는 시작되었다. 그런데 5세기 후엽경, 서울지역 백제 수도가 함락되고 공주로 천도하는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죽막동 제사에서는 기능의 변환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시기에는 국가의 안정을 기원하는 제사 기능이 새롭게 추가 ㆍ강화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오키노시마 제사유적도 교역선의 안전 항행을 기원하는 왜의 국가적인 해안 제사유적 이었다. 그런데 오키노시마 제사유적은 현해탄 항로의 메인 루트에서 조금 떨어진 무인도에 형성된 제사유적이라는 독창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오키노시마 섬은 왜 교역선의 일상적인 휴식 물자보급과 교역을 위한 장소는 아니었다. 그러나 이들 제사유적은 5~6세기경 백제와 왜 사이 해상 교류의 실체를 입증하는 대규모 해안 제사유적이라는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A decisive archaeological evidence indicating that Paekche and Wa engaged in maritime trade with each other around the 5-6C is the Wa-style miniature stone goods excavated from the Chungmakdong Ritual Site. These miniature stone goods clearly show that officials and merchants from Wa participated in rituals held at Chungmakdong. This means that there were new diplomatic efforts to strengthen the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Wa and Paekche in the 5-6C. The existence of best quality Paekche-style offerings found at the Chungmakdong Ritual Site implies that the site was a venue for national rituals organized by the central government of Paekche. Rituals at Chungmakdong began around the 4C, to pray for the safety of the trading vessels that used the sea route along the west coast of Paekche. But in the late 5C, amidst the national crisis in which the capital of Paekche in the Seoul area was captured and the government had to move its capital to Kongju, it is presumed that the function of the Chungmakdong Ritual Site had changed. For instance, rituals wishing for national stability were newly added and further solidified. The Okinoshima Ritual Site was also a national seaside ritual site of Wa, established for safe navigations of its trading vessels. Yet, the Okinoshima Ritual Site is distinct in the sense that it is located at a deserted island quite far from the main route of the Genkai Sea. In other words, the Okinoshima Island was not a place for the Wa trading vessels to rest, trade, or receive materials. The two ritual sites, however, share a commonality in that they were both large-scale seaside ritual sites demonstrating the substance of maritime trade between Paekche and Wa during the 5-6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