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리적 진로장벽과 진로미결정의 관계 : 2 SLS 추정을 통한 접근

        우예영(Woo, Yeyoung),김동일(Kim, Dongil)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연령을 도구변수로 활용하고, 2 SLS 추정방법을 사용하여 심리적 진로장벽과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사회인지진로이론(SCCT)의 관점에서 심리적 진로장벽과 진로미결정의 유의한 관계가 일관되게 제시되었으며, 대체로 심리적 진로장벽이 설명 변인으로서 해석되었다. 그러나 최근 국외 연구에서는 심리적 진로장벽 및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인과관계로 해석하는 것의 위험성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국내의 선행연구들이 대체로 상관분석이나 OLS 회귀분석을 통해 심리적 진로장벽과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인과관계 해석에 대한 우려는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제시되어 온 심리적 진로장벽과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청년 패널 2007(YP2007)데이터를 대상으로 2 SLS 방법을 통해 재확인했다. 연구 대상은 1977-1993년 출생한 밀레니얼 621명이었으며, 이들의 심리적 진로장벽 문항 응답 결과와 진로미결정 문항 응답결과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OLS 회귀분석 결과 심리적 진로장벽 → 진로미결정의 관계와 진로미결정 → 심리적 진로장벽의 관계가 모두 유의하게 제시되되었다. 또한 2 SLS 분석 결과 연령을 도구변수로 활용한 후에, 심리적 진로장벽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음이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심리적 진로장벽과 진로미결정 간의 인과관계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상담 실제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reer barriers and career indecision.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most of the research used correlation analysis or regression analysis to present the results. In this research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reer barriers and career indecision is re-examined through the 2SLS procedure which is one of the Instrumental Variable Regression methods. By using age as an instrumental variable,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e bias from endogenous problem and present consistent estimation through the IV method. To apply IV method, 2SLS is conducted using YP 2007 data.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Millennials who were born between 1977 and 1993. From the OLS results, it is shown that both psychological career barriers → career indecision path and career indecision → psychological career barriers path are significant. However, the 2SLS result is not significant.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deduced tha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career barriers and career indecision should not be easily assumed.

      • KCI등재

        성찰일지 평가법을 활용한 상담전공 학부생의 첫 상담실습 경험 분석

        우예영(Ye-Young WOO),박현정(Hyun-Jung PARK),정진원(Jin-Won JEONG)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4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찰일지 평가법을 활용하여 상담전공 학부생의 첫 상담실습 경험에 대한 성찰수준과 내용을 체계적으로 평가·분석하는 데 있다. 3명의 평가자가 상담실습 과목 수강생 38명으로부터 수집된 112건의 성찰일지를 분석하였다. 성찰일지 평가법에 따라 수준 1에서는 성찰내용을 9 개 요소에 근거하여 평가하였고, 수준 2에서는 각 성찰일지를 성찰의 전반적 수준에 따라 3개 수준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내용분석을 통해 상담실습 경험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의 성찰이 일어나는지 살펴보았다. 성찰의 9개 요소에 대한 평가자 쌍 간 일치율은 53.6%~90.2%, Φ 계수는0.01~0.75, ICC(2,1) 값은 0.39~0.87 사이로 나타났다. 성찰일지 전반의 성찰수준에 대한 평가자 쌍간 일치율은 56.3%~74.1% 범위였으며 γ 계수는 0.63±0.12~0.86±0.06, 모든 평가자 간 ICC(2,1)는0.67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담실습 분야에서 성찰일지 평가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상담사교육에서 성찰일지 활용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evaluate and analyze the level and content of reflection on counseling major undergraduates' first counseling practicum experience using reflective journal writing assessment method. Three evaluators analyzed 112 reflective journals collected from 38 students enrolled in a counseling practicum course. According to the reflective journal assessment method, level 1 evaluation was based on nine elements of reflection, and level 2 evaluation categorized each journal into three levels based on the overall level of reflection. Additionally,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pecific content of reflection occurring during counseling practicum experiences. Percent agreement for the nine elements of reflection ranged from 53.6% to 90.2%, Φ coefficients ranged from 0.01 to 0.75, and ICC(2,1) values ranged from 0.39 to 0.87. Inter-rater agreement for the overall level of reflection in the journals ranged from 56.3% to 74.1%, with γ coefficients ranging from 0.63±0.12 to 0.86±0.06, and an ICC(2,1) of 0.67 among all evaluators. This study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assessment in the field of counseling practicum and provided insights into the utilization of reflective journals for counselor education.

      • KCI등재

        청년 취업자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이 지니는 매개효과

        우예영(Yeyoung Woo),박현정(Hyunjung Park) 한국열린교육학회 2024 열린교육연구 Vol.32 No.4

        현대 직업현장에서는 진로의사결정이 더더욱 복잡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년 취업자의 진로의사결정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년 취업자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변인으로서 구직효능감을 가정하고, 구직효능감이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패널2021(YP2021) 데이터의 청년 취업자 1992명을 대상으로, 전통적 매개분석결과와 통제변수를 투입한 전통적 매개분석 결과, 인과매개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전통적 매개분석과 통제변수를 활용한 전통적 매개분석에서는 동일한 완전매개분석 결과가 제시되었다. 또한 인과매개분석을 통해, 직접효과의 경우 DE(0)과 DE(1) 모두 유의하지만 상반된 방향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간접효과의 경우 IE(0)과 IE(1) 모두 양의 방향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년 취업자의 진로의사결정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Despite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career decision-making in modern workplaces, there remains a lack of discussion regarding career decision-making among youth employe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youth employees and assumed job search self-efficacy as a mediating variable influencing their career decisions. We examined whether job search self-effica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To achieve this, we compared the results of traditional mediation analysis, traditional mediation analysis with control variables, and causal mediatio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Youth Panel 2021, consisting of 1992 youth employees. The analysis revealed consistent results of complete mediation in both traditional mediation analysis and traditional mediation analysis with control variables. Additionally, through causal media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for the direct effects, both DE (0) and DE (1) were significant but showed opposite directions of influence. For the indirect effects, both IE (0) and IE (1) were significant in a positive dire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career decision-making among young job seek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진로문제 관련 심리적 변인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인지진로이론(SCCT)을 중심으로

        우예영(Woo, Yeyoung),유애영(Yu Ae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진로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에 관한 국내외 최신 연구를 분석하였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진행된 국내외 연구를 대상으로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초기 연구 진행 단계에서 이전 선행연구와의 분석 결과와의 차이가 발견되어 최신 연구에서 드러나는 심리문제의 특성을 보다 잘 드러내기 위해 사회인지진로이론(SCCT)을 적용하여 진로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문제를 추가로 추려내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 125편을 대상으로, 국내 연구 79편 국외 연구 46편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의 대상이 되는 논문들의 연구대상, 주제, 연구방법, 측정도구를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가장 많이 연구되는 대상은 대학(원)생이었으며 진로문제 키워드 중에서는 진로미결정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SCCT에 기반하여 심리문제를 추가적으로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전 국내 동향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최신 연구 동향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세대별로 주목받는 진로문제 및 심리문제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방법과 측정도구와 관련된 분석 결과를 통해서 이전 연구들의 경우, 회귀분석을 활용한 연구가 많았으나, 최근 5년 간의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의 활용이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후 진로상담에서 진로문제별로 어떤 심리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개입할 것인가를 고민할 때, 기초적인 방향 제시 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of the latest studies 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variables on career related problem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125 research papers published between 2015 to 2019. Among subjects, 79 studies were conducted in Korea, and 46 studies were conducted oversea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latest studies, this study used SCCT model as the theoretical frame for defining psychological variables which have effects on career related problems.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and career indecision were the most studied subjects. Moreover, according to the SCCT model, self-efficacy was the most studied psychological variable,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latest studies and studies prior to 2015. In the latest stud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the most used analysis strategy while regression analysis was the most used strategy previously.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rationale for deciding which career problem or psychological variable should get attention in the education or counseling fields.

      • KCI등재

        사회정서학습 기반 중학생 인성 집단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김동일(Dongil Kim),우예영(Yeyoung Woo),박찬훈(Chanhoon Park),한다솜(Dasom Han)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3

        본 연구는 사회정서학습 이론 기반의 중학생 대상 인성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인성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733명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 552명을 포함한 총 1,28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실험집단에게는 사회정서학습이론을 두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개발된 집단 프로그램이 12회기에 걸쳐 실시되었다. 실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게 사전-사후에 자기인식 및 자기관리 역량, 사회인식 및 관계관리 역량, 학교적응역량을 측정하였다. 이후 수집된 사전-사후점수는 순위 공변량분석(ranked ANCOVA)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인식 및 자기관리 역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 구인인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식 및 관계관리 역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하위 구인인 사회결속, 공감, 협력에 모두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학교적응 역량에서는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본 프로그램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서, 사회정서학습의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의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본 연구는 중학교에서 실시되는 일반 학생 대상 사회정서학습 기반 비교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외부평가팀에 의하여 검증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Of the 1,285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comprised 733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 comprised 552 students. The group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based on SEL, and it was conducted over 12 session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elf-awareness and self-management competencies,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ship skills competencies, and school adjustment were surveyed, and pre-pos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anked ANC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changes in self-awareness and self-management competencies were found. However, among the subfactors, the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Second, it showed significant changes among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ship skills competencies and all of the subfactors. Finally, the program was not significantly effective for school adjustment. These results reflect the unique features of the program, and correspond with preceding research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SEL.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n external evaluation team assessed the effectiveness of the SEL-based extracurricular program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청소년 사이버 윤리 집단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타당성 연구

        김동일(Kim, Dongil),우예영(Woo, Yeyoung),송주석(Song, Jusuk),손수빈(Son, Subi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1

        인터넷으로 인한 여러 심각한 사회문제들이 대두되면서, 사이버 윤리 규범과 가치를 제고할 필요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더 나아가 사이버 공간에서 지켜야 할 도덕적 원리를 표면적으로 학습하는 수준에 머물기보다, 가치판단이 필요한 상황에서 주어진 문제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주체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주체적인 윤리적 의사결정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결정에 초점을 둔 사이버 윤리 구조화 집단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 및 개발하였다. 대상자인 초기 청소년이 이해하기 적합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프로그램을 기획 및 수정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효과성 검증 결과, 측정 시기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참여 이후 참여 청소년들의 사이버 윤리의식이 평균 8.1%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이버 윤리의식 구인 별로 살펴보면 책임과 지식에서 측정 시기에 따른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인 별 하위 척도의 결과를 살펴보면 시기에 따라서 책임의 책임 인지와 지식의 이용지식과 윤리지식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초기 청소년의 사이버 윤리교육에 대한 제안점을 도출하였다. With the emergence of several serious social problems due to the internet, the need to enhance cyber ethics norms and values is increasing. Furthermore, instead of remaining at the superficial level of learning moral principles, active ethical decisions are emphasized to enable youth to critically understand problems and express their thoughts independently. In response to this need, this study developed a cyber ethics group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ethical decisions. To create a program that would be suitable for early adolescence, the program was planned, modified, and reorganized following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We also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ffectiveness assessment found that the difference by measurement period was significan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yber ethical awareness of participating adolescents improved by an average of 8.1%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Additionally, the subfactors of cyber ethical awareness indicated a significant chang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period in terms of responsibility and knowledge. Finally, the results of the sub-scale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erception of responsibility and knowledge of the use and ethics of knowledge in relation to time. From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cyber ethics education for early adolescents were developed.

      • KCI등재
      • KCI등재

        비대면 온라인 수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수업 구성요소: 대학교 이론 수업 수강생을 중심으로

        김동일 ( Kim Dong Il ),임정은 ( Lim Jung Eun ),우예영 ( Woo Ye Young ),한다솜 ( Han Da Som ),이진우 ( Lee Jin Woo ),연준모 ( Yun Joon Mo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2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온라인 수업의 구성요소로 나누어 각 변인들의 영향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20년 2학기 비대면 온라인 이론 수업을 수강한 국내 K 대학교 학생 507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수자 수업 운영 변인과 학생참여 변인은 모두 비대면 온라인 수업 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 및 환경 변인의 경우 ‘시스템 안정성’, ‘사용 편의성’을 제외한 변인들이 비대면 온라인 수업 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수업의 구성요소 변인들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 효과성에 대한 설명력은 총 54.2%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자 수업 운영 변인 중 ‘상호소통 원활(β=0.260)’, 기술 및 환경 변인 중 ‘동영상 품질 적합성(β=0.215)’, 학생 참여 변인 중 ‘학습충실도(β=0.166)’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온라인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하고 각 변인간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밝힌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비대면 온라인 수업 설계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s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07 students at K University in Korea, who took online theory clas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different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instructor’s management and student’s participation variabl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With the exception of system stability and ease of use, sub-factors of technology and environment significantly predicted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Second, technology and environment, instructor, and student variables accounted for 54.2% of the variance in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learning.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were “mutual communication smoothness”(β=0.260) among the instructor variables, “video quality suitability”(β=0.215) among the technic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and “learning faithfulness”(β=0.166) among the learner student variable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explore variables influencing effective online classes and reveal the relative influence of each variabl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determining the future direction of online class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