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중 언어자의 언어 전환 비용: 언어 산출을 중심으로

        우연화(Woo, Yonhwa),이혜원(Hye-Won Lee) 언어과학회 2017 언어과학연구 Vol.0 No.82

        In this article, we review studies which investigated the language process of bilinguals by examining how switch costs were incurred in the language switch processes, particularly in language production. We included not only the studies of unbalanced bilinguals and balanced bilinguals, but also voluntary language switching studies. In language production studies, larger costs are observed when switching from a non-dominant language to a dominant language than vice versa in cued language switching studies. However, symmetry language switch costs were observed in the studies of balanced bilinguals and voluntary language switching studies. This paper also deals with theories about the language switch costs: the language inhibition account vs. the response selection account. We tried to apply the results of the studies we reviewed to these theories and to figure out the limitations of these theories.

      • KCI등재

        기혼 여성 근로자가 출산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우울감과 서비스 품질저하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우연화(Yeon Hwa Woo),오상도(Sangdo Oh),김준환(Joonhwan Kim)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24 地域發展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직장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기혼 여성 근로자가 출산과 관련하여 겪는 우울감과 그들이 제공하는 낮은 서비스 품질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출산과 관련하여 기혼 여성근로자들은 직장과 가정사이에서 역할 갈등을 겪으며 출산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역할 갈등과 심리적 소진이 우울감과 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야기하며, 우울감과 심리적 소진은 근로자의 이직 의도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가설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직장과 가정 사이에서 생기는 갈등은 서비스 품질 저하를 야기하며, 심리적 소진은 우울감과 서비스 품질 저하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감이 증가할수록 이직 의도가 높아지며, 서비스 품질이 저하 될수록 근로자의 이직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근로자들이 출산과 관련하여 직장에서 겪는 어려움이 출산율 저하의 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만큼, 출생율의 심각한 저하를 겪는 대한민국에서 이는 눈여겨보아야 할 주제이다. 본 연구는 기혼 여성 근로자의 이직 의도가 출산과 관려한 우울감과 서비스 품질 저하에서 비롯되며, 이는 직장과 가정 사이에서의 역할 갈등과 심리적 소진이 원인임을 보여 주어 여성 근로자들의 역할 갈등과 심리적 소진을 줄여 줄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analyzes how depression and service quality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of female workers who experienced pregnancy. Female workers who are experienced pregnancy ecounter their role conflicts between work and family. The workers also suffer from psychological burnout while due to the pregnancy. This research shows that role conflict and burnout lead to depression and poor service quality, resulting in high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 suggests that we should develop methods to reduce work-family role conflict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female workers who experience pregnancy to reduce their turnover intention. That will reduce depression levels and increase the service quality of the workers, resulting in lower turnover intention.

      • KCI등재

        『자평삼명통변연원』의 관격론 고찰

        우연화(Yeon-hwa Woo) 바른역사학술원 2024 역사와융합 Vol.- No.18

        본 연구는 자평명리학의 시조인 서자평의 관격론이 서대승에게 어떻게 계승되고 변천되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초기 관격론의 원형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관격은 일간과 정관이 함께 왕성함을 중시했다. 또한, 형충파해 등으로 파괴되거나 상관을 보는 것을 꺼리고, 합을 이루는 지지를 반기며, 財와 印을 함께 참조하여 보았다. 편관격은 일간과 편관의 왕성함과 편관을 전환하여 쓸 것을 강조했다. 편관을 전용하는 방법인 制, 合, 化에 대해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이 있었다. 또한, 정관과 편관이 섞여서 관살혼잡이 되면 하나만 남겨야 한다. 잡기재관격은 월지가 辰戌丑未일 때 지장간에서 官이 투간 되면 격으로 삼는다. 『자평삼명통변연원』의 관격론은 대부분 『명통부』의 내용과 연결되어 있으며 서대승이 십성의 정의와 격의 정의를 최초로 내렸다. 정관격은 성립조건과 특성을 대부분 그대로 계승하였고, 편관격은 전용하지 못한 편관의 흉함에 더욱 집중하였으며 편관을 가난과 연관 지어 언급하였다. 그리고 서자평은 지장간의 존재와 투간을 암시함에 그쳤으나 서대승은 투간을 보는 잡기재관격을 정식으로 채택하였다. 이것은 격국론을 확대, 발전시킨 부분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Seo Ja-pyeong's Gwangyeok theory(官格論) was inherited and changed to Seo Da-seung. Jeonggwangyeok(正官格) emphasized the strength of Ilgan(日干) and Jeonggwan(正官) together. In addition, not to be destroyed by Hyeongchungpahae(刑沖破害), not to see Sanggwan(傷官). Pyeongwangyeok(偏官格) emphasized the strength of Ilgan(日干) and Pyeongwan(偏官) together and It emphasized the use of changing Pyeongwan(偏官). If Jeonggwan(正官) and Pyeongwan(偏官) are together, It should leave only one. Japgijaegwangyeok(雜氣財官格) is when Wolji(月支) is Japgi(雜氣), If Gwan(官) from Jijanggan(支藏干) becomes Tugan(透干), think Gyeok(格). Seo Dae-seung inherited most of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Jeonggwangyeok(正官格) and characteristics of the establishment and Pyeongwangyeok(偏官格) focused more on the ominousness of Pyeongwan(偏官), which could not be corrected and replaced, and spoke of Pyeongwan(偏官) in relation to poverty. Seo Ja-pyeong only hinted at the existence of Jijanggan(支藏干) and Tugan(透干) but Seo Dae-seung formally adopted Japgijaegwangyeok(雜氣財官格) considering Tugan(透干).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