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쑥 펠렛사료 급여가 돈육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김병기,우선창,김영직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mugwort pelleted on the storage stability of pork. barrow (T1) and boar (T2) were alloted into six treatments: 1) control (commercial feed) 2) T1-1 and T2-1(commercial feed supplemented with 3.0% mugwort pelleted) 3) T1-2 and T2-2 (commercial feed supplemented with 5.0% mugwort pelleted). They were fed with the experimental diets for 60 days and slaughtered. Meat samples were in wrap package and stored at 4${\pm}$1$^{\circ}C$ for 10 days. pH, WHC and cooking loss were not siginificanly different in all treatment. But these values were tended to increase during storage for all treatment groups (p<0.05).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Volatile Basic Nitrogen (VBN) values were low for pork samples prepared from pigs supplemented mugwort pelleted diet and the values were increased as storage period increased for all treatment groups (p<0.05). But L value was highest for pork samples prepared from pigs supplemented of 3.0% mugwort pelleted diet among treatments group. 본 연구는 쑥 펠렛 사료를 거세돈과 비거세돈에게 각각 0, 3, 5%를 배합사료에 첨가급여 한 후 도축하여 등심부위를 4$\pm$1$^{\circ}C$에서 보관하면서 저장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돈육의 pH는 시험구에서 거세돈이 대조구에 비하여 약간 낮았지만 비거세돈은 차이가 없었으며, 가열감량과 보수력은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간 높았다. 저장기간 중 돈육의 pH나 가열감량 보수력은 저장기간이 증감함에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p<0.05). 육색의 명도(L)는 쑥 펠렛 3%첨가구가 모든 처리구 중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후보

        사료내 쑥 첨가 수준이 돈육의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병기,우선창,김영직,박창일 한국축산식품학회 2002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2 No.4

        The effects of addition of mugwort pellet to feed pig on meat quality were investigated. Approximately 40 pigs were divided by 4 groups and different levels(0∼7%) of mugwort pellet were fed to each group up to 4 months. In the proximate composition, moisture contents were slightly higher in the T1(3%), and crude fat contents were lower(p

      • KCI등재

        배터리 용량측정을 위한 고해상도 Integrating Sigma-Delta ADC 설계

        박철규,장기,우선,최중호,Park, Chul-Kyu,Jang, Ki-Chang,Woo, Sun-Sik,Choi, Joong-Ho 한국전기전자학회 2012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6 No.1

        최근 모바일 기기의 수요의 증가와 더불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요구함에 따라 배터리 사용시간이 줄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이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상태를 정확히 알아야 하며, 이를 위한 고해상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필요로 하게 된다. 기존의 integrating sigma-delta ADC의 경우, 초기화-시간 변환시간을 해상도로 변환을 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으로 인해 bit수에 해당되는 모든 디지털 값을 표현 할 수 없게 된다. 위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올림/내림 계수기를 사용함으로써 초기화-시간 변환시간을 해상도로 변환을 하지 않고도 bit수에 해상되는 모든 디지털 값을 표현 가능하게 하였다. 이로 인해 기존 변환기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비해 향상된 SDNR을 보여주었다. 또한 휴대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저전력으로 설계를 진행 하였으며, 0.35-um 공정으로 제작이 이루어졌다. Recently, with mobile devices increasing, as a variety of multimedia functions are needed, battery life is decreased. Accordingly the methods for extending the battery life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implement these methods, we have to know exactly the status of the battery, so we need a high resolution analog to digital converter(ADC). In case of the existing integrating sigma-delta ADC, it have not convert reset-time conversion cycle to function of resolution. Because of this reason, all digital values corresponding to the all number of bits will not be able to be expressed. To compensated this drawback, this paper propose that all digital valu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its can be expressed without having to convert reset-time additional conversion cycle to function of resolution by using a up-down counter. The proposed circuit achieves improved SNDR compared to conventional converters simulation result. Also, this was designed for low power suitable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s and fabricated in 0.35um process.

      • KCI등재

        인삼,산약,한약부산물의 급여가 재래닭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김병기,황인업,강삼순,신상희,우선창,김영직,황영현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2 한국축산학회지 Vol.44 No.3

        본 연구는 경상북도 축산기술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재래닭 160수를 공시하여 인삼부산물(잎·줄기), 산약부산물(박피후 건조껍질), 한약(달인후 찌꺼기) 부산물을 각각 5%씩 기본사료에 첨가 급여하였다. 시험기간은 부화후 8주령에 시작하여 20주령에 종료하였으며, 재래닭의 사료섭취량, 증체량, 사료요구율, 폐사율 등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영양소 섭취량에서 건물섭취량은 대조구가 125.79g 인삼구 122.26g, 산약구 122.30g, 한약구 123.72g으로 대조구가 처리구에 비해 가장 많이 섭취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건물소화율은 대조구와 산약구에서 62.89% 및 61.20%로서 인삼구의 55.44%, 한약구의 59.76%보다 높았다(p<0.05). 체중변화는 전체적으로 수탉이 암탉보다 월등히 무거웠으며, 16주령에서는 대조구, 인삼구, 산약구, 한약구가 각각 1,436.6g, 1,427.2g, 1,546g, 1,442.0g로서 특히 산약구가 가장 무거웠다(p<0.05). 사료섭취량은 대조구 인삼구, 산약구, 한약구에서 각각 6,087g, 5,947g, 5,816g and 5,852g으로 대조구가 가장 높았다. 사료요구율은 전 시험기간 동안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가 다소 높은 경향이었고, 특히 인삼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폐사수는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유의성 있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재래닭의 생체중, 도체중 및 각 부분육 생산량은 처리구 사이에 유의성이 없었으나, 복강지방량은 대조구와 한약구에서 산약구와 인삼구에 비해 높았다(p<0.0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etary Panax Ginseng Refuse(PGR), Dioscorea Japonica Refuse(DJR) and Oriental Medicine Refuse(OMR) on performance(feed intake, body weight gain, feed conversion, mortality) of Korean Native Chicken(KNC). KNC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4 dietary treatment : 1) control(commercial feed), 2) PGR(commercial feed supplemented with 5% panax ginseng leaves) 3) DJR(commercial feed with 5% dioscorea japonica hulls and 4) OMR(commercial feed with 5% oriental medicine refuse). 160 KNC were fed one of the above experimental diet for 12 weeks and slaughtered at 20 weeks of age. Daily DM intake of control, PGR, DJR and OMR diet were 125.79g, 122.26g, 122.30g and 123.72g, respectively, with no significantly difference(p<0.05). The DM utilizability of control and DJR(62.89% and 61.20%) diets were higher(p<0.05) than those of PGR and OMR(55.44% and 59.76%)(p<0.05). 16 weeks weight of bird fed control, PGR, DJR and OMR diets were 1,436.6g, 1,427.2g, 1,546g and 1,422.0g respectively with DJR being the highest than other treatments(p<0.05). Total feed intake of control, PGR, DJR and OMR diets were 6,087g, 5,947g, 5,816g and 5,852g, respectively where control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The feed conversion of PGR, DJR and OMR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Chicken housed mortality of control, PGR, DJR and OMR were respectively 24, 15, 13 and 20 birds with rather lower mortality in the supplented groups(p<0.05). The body weight, carcass weight and carcass yield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 But abdominal fat of chicken in control and OMR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DJR and PGR groups.

      • KCI등재

        가루, 크럼블 및 펠렛사료 급여가 브로일러육의 이화학적특성에 미치는 영향

        조헌조,강신곤,차용호,김병기,우선창,여영수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2 한국축산학회지 Vol.44 No.5

        본 시험은 대형육계에 있어서 생산체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영양수준(2∼3주령, ME 2,843㎉/㎏, 체 19.46%; 4∼6주령, ME 3,072㎉/㎏, 체 17.85%; 7∼8주령, ME 3,109㎉/㎏, 체 17.26%)에 따른 사료가공형태(대조구: 가루→크럼블→펠렛 ; 처리1구 : 가루→크럼블→펠렛 ; 처리2구 : 크럼블→크럼블→펠렛 ; 처리3구 : 펠렛→펠렛→펠렛)로 활성탄(1%)을 혼합첨가하여 8주(56일간)동안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육의 일반성분에서 조단백질 함량이 22.22∼23.40%였고, 조지방 함량은 0.30∼0.45% 범위로서 처리구가 낮았으며, 특히 처리2구는 0.28로서 가장 낮았다(P<0.05). 계육의 가열감량은 대조구가 높은 경향이었고, 전단력과 pH는 처리3구가(1.21㎏, 5.85) 낮은 경향이었다. 육색에서 명도(L)는 대조구와 처리2구가 가장 밝았고, 적색도(a)는 0.19∼0.85의 범위였고, 황색도(b)는 처리1구가 가장 낮았다. 관능검사와 조직감, 향미에서 시험구간에서는 유의차는 없었다(P<0.05). 지방산에서의 myristic acid와 arachidoic acid는 처리1구가, oleic acid과 지방의 불포화도가 처리2구가 가장 높았다(P<0.05). 또한 아미노산에서 cystine, glutamic acid, val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arginine은 처리1구와 처리2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utrient level (metabolizable energy and crude protein, 2,843㎉/㎏ and 19.46% at 2 to 3 week, 3,072㎉/㎏ and 18.38% at 4 to 6 week, 3,109㎉/㎏ and 17.26% at 7 to 8 week, respectively, and feeding form was ground → crumble → pellet in control, ground → crumble → pellet in treatment 1, crumble → crumble → pellet in treatment 2, pellet → pellet → pellet in treatment 3 for broiler during 8 weeks. Also the effects of supplemented with charcoal(1%) in total mixed treatment feed was investigated. The crude protein, crude fat in broiler meat range from 22.22∼23.40%, and 0.30∼0.45%, respectively. Especially, treatment 2 was lower than other treatment (P<0.05). The heating loss tend to be increased at control. Shear force and pH tend to be decreased at T3(1.21㎏, 5.89). Control and T2 were significantly lighter in color (“L”) than the T1 and the “a” ranged from 0.19∼0.85 and T1 was the lowest “b” among other treatment. The panel test, texture, Aroma were not significantly among the an experimental group (P<0.05). Myristic acid and arachidonic acid of T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ther treatment and oleic acid, U/S(unsaturated/ saturated) rate T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experimental group(P<0.05). Among amino acid, cystine, glutamic acid, val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arginine in T1 and T2 was higher than control and T3.

      • 신뢰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백유성,최재욱,김성근,우선창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3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3 No.1

        본 연구는 2개 대학교 교수와 교직원 243명을 대상으로 신뢰성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 있어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실증분석 결과는 조직신뢰가 신뢰성과 조직유효성 변수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매개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동료신뢰성, 상사신뢰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는 조직신뢰가 강한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조직신뢰는 상사신뢰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강한 매개효과를 보인 반면, 동료신뢰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약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점은 대학과 같은 비영리 조직에서도 조직신뢰를 구축하고 조직신뢰 수준을 높이는 것이 조직유효성 제고에 중요한 방안이라는 점을 확인시켜 준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