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악치료교육이 정서지능과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우덕상,손윤영,남현우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9 국악교육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new classroom model of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by reconstructing lesson plans of teaching-learning in various ways, thus employing group Korean music therapy classes in practice. The study recognized that 'music and health' was first introduced to the curricular elements in the domain of ‘music in daily life’ for 5th and 6th graders under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was applied to school practice from 2019. It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on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ity by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lesson plans using traditional music elements. To thi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usic therapy and Korean music therapy for the past ten years were reviewed for analysis. The program for the study was designed targeting fifth and sixth graders of Dongdae elementary school in Ulsan.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developed for Korean music therapy included creating one’s own songs, Korean music and writing, Korean music and dance, vocal psychotherapy, Korean music and relaxation, Korean music and recreation, respiratory retention and deep breathing, slow tempo and softness in dynamics. To promote ​​sociality,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developed for Korean music therapy included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in groups, imitating sounds, transferring physical rhythms, improvising rhythms, playing motion musical instruments, therapy Nanta, playing together in gueum, and learning jandan in jangdan relays. By applying the instructional measures above to regular music class,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in enhanc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bility before and after the lessons. Through this experimental study, it can be expected that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can have a very positive therapeutic effect on enhanc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be able to apply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to all general students while it has been applied only to a few special subjects such as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typically dur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or any other time but music class. It is also meaningful that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can have educational and therapeutic effects at the same time that can allow character education and emotion-focused therapy and psychotherapy. 본 연구는 집단 국악치료 수업이 병행 가능 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과정안을 다양하게 재구성하여 국악치료교육이라는 새로운 장르의 수업모델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5~6학년군 생활화 영역 내용요소에 ‘음악과 건강’이 처음으로 도입되어 2019년부터 적용됨을 파악하고, 국악 요소를 활용한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해 정서지능과 사회성증진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미리 알아보려 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10여 년간의 음악치료와 국악치료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고, 울산의 동대초등학교 5~6학년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정서지능 증진영역에서는 나의 노래 만들기, 국악과 글, 국악과 춤, 노래심리치료, 국악 긴장 이완법, 국악유희기법, 호흡유지 연장활동, 느린 장단, 부드러운 세기 등을 활용하여 정서지능 증진을 위한 국악치료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사회성 증진 영역에서는 집단 악기연주활동하기, 소리 모방 기법, 신체리듬 전달, 즉흥리듬연주법, 동작악기연주법, 치료난타, 구음으로 합주하기, 장단 릴레이로 장단 익히기 등을 활용하여 사회성 증진을 위한 국악치료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학교 음악정규 시간에 적용해봄으로써 수업 전과 수업 후에 달라진 정서지능과 사회성 증진 영역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번 실험연구를 통하여 국악치료교육이 아동․청소년의 정서지능과 사회성 증진 영역에 매우 긍정적 치유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었다. 그동안 주로 음악교과 시간 외나 창의적 체험시간을 활용해 다문화가정, 특수아동, 중증 장애 등 소수의 특정 대상에게만 적용하여 진행하던 국악치료교육을 본 연구를 통하여 모든 일반학생에게도 평소 국악 수업에 적용해 진행할 수 있다는 것에 커다란 의의가 있으며, 국악치료교육으로 인성교육과 정서․심리 치료를 함께 할 수 있는 교육적․치료적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는 것에 그 의의가 크다 하겠다.

      • ADHD 아동의 신경생리학적 국악 심리치료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우덕상 한국융복합예술심리치료학회 2023 융복합예술심리치료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현재 약물치료에 의존한 18명의 U광역시 ADHD 아동 중 실험군 9명을 대상으로 신경생 리학적 국악 심리치료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한 후, 신경생리학적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최초 1회기 국악 심리치료 교육프로그램 전, 후에 각 1회씩 2회 채혈과 최종 16회기 전, 후에 각 1회씩 2회 채혈하 였다. 프로그램 적용 효과는 세로토닌, 도파민 분비량을 측정·분석해 유의수준 p〈.05 에서 사전-사후의 차이를 검정했다. 그 결과 최초 실행 1회기에 치료 전 수준보다 실행 후에 유의미하게 세로토닌, 도파 민 발현량이 증가하였고(***p<.001). 최종회인 16회기도 실행 전보다 실행 후에 유의미하게 세로토닌, 도파민 발현량이 증가했다(***p<.001). 본 연구로, 치료적 힘을 가진 국악 구성 요소로 신경생리학적 국 악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하고 적용하면 세로토닌과 도파민 발현량이 증가하여 신경생리학적 효과 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a neurophysiological Korean traditional music psychotherapy education program to 9 experimental group among 18 U Metropolitan ADHD children who were currently dependent on drug treatment, and then investigated the neurophysiological relevance. Blood was drawn twice, once before and after the first Korean music psychotherapy education program, and twice before and after the final 16th session. The effect of applying the program was measured and analyzed for the secretion of serotonin and dopamine, and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 was tested at the significance level p<.05. As a result, the expression levels of serotonin and dopamin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run compared to the level before the treatment in the first run (***p<.001). The expression levels of serotonin and dopamin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16th prayer, the final session, compared to before (***p<.001).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neurophysiological effects can be obtained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serotonin and dopamine when a neurophysiological Korean music psychotherapy program is developed and applied as a component of Korean music with therapeutic power.

      • KCI등재

        전통악기 소금 연주 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정서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아정,우덕상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0 국악교육연구 Vol.14 No.2

        The elementary school years is a period when one should build the foundation of one’s personality. It is time to develop adaptable and coping skills to lead a happier and healthier life than ever. In order to develop adaptability and coping skills, first of all, emotional stability is required. Children's emotional stability is closely related to one's inner ability, which can be controlled by an individual's will. Emotional stability develops through constant interaction between oneself and the environment throughout childhood and affects each child’s thinking and psychological function. An activity of performing musical instruments is needed as a way for children to find their positive energy and increase their emotional stability by regaining confidence and loving themselves during the growing-up perio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playing the sogeum on Korean music piece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and how the sogeum performing activity affects the emotional st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It was first divided into group A(children of a single mother) and group B(children of low-income households), and music therap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emotions of elementary students. For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tests were done by dividing the sub-factors of personality such as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regulation, and anxiety into pre- and post-tests. Targeting 24 children divided into groups A and B, the study used SPSS Windows 19.0 version for statistical processing to find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ir soguem performing activity. The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verify pre group homogeneity of group A and B. The matched sample t-test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pre-and post-test of the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improvements in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 expression, and anxiety and positive changes in school life due to the reduction of anxiety. It was found that the music therapy program through the soguem activity was effective in reducing emotional expression and anxiety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experiencing psychological stability by helping express one’s emotions and feeling with the sogeum. 초등 아동 시기는 인성의 기초가 형성되어야 하는 시기이다. 그리고 어느 때보다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살기 위한 적응 및 대처 능력을 키워야 하는 시기이다. 이런 적응과 대처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서안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아동의 정서안정은 개인의 의지로 조절 가능한 내적 능력으로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정서안정은 아동기에 걸쳐 자신과 환경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으로 발달 되며, 아동 개개인의 사고와 심리적 기능에 영향을 준다. 성장기에 있는 아동들에게 자신감을 회복하고 자신을 좋아함으로써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에너지를 찾고 정서적인 안정감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 악기 연주 활동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곡을 소금 연주를 함으로써 전통음악의 특성에 관한 교육적 효과뿐만 아니라 소금 연주 활동이 초등 아동의 정서적 안정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 분석해보았다. 우선, 편모 자녀의 A집단과 저소득층 자녀의 B집단으로 구분하여 음악치료가 초등아동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정서표현, 정서조절, 불안 등 인성의 하위요소를 사전, 사후로 나누어 검사를 진행하였고, A집단과 B집단으로 구분하여 전체 아동 24명에게 진행한 국악곡 소금 연주 활동의 전과 후의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Windows 버전 19.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그리고 A집단과 B집단의 사전 집단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 t-검증을 사용하였으며, 집단의 사전·사후 변화 검정은 대응 표본 t-검증을 사용하여 사전과 사후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 조절, 정서 표현, 불안정서 측면에서 향상되었고, 불안을 감소시켜 학교생활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소금 연주 활동을 통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정서 표현과 불안의 감소에 효과가 있으며 정서적 표현과 감정을 소금으로 쉽게 표현하게 해 심리적 안정감을 경험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국악 융합 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권미현,우덕상,강상우,남현우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2 국악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유아 중심의 전래놀이를 활용한 놀이치료와 전래동요를 활용한 국악 교육활동을 융합한 ‘국악 융합 놀이 활동’ 프로그램 재구성으로 주 2회 60분씩, 총 10차시를 적용해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사회성 증진의 기능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윤치연이 개발한 ‘한국 유아 사회성 기술 검사지’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의 기술 통계량, Cronbach’s α 계수산출, 독립표본 -검정, 유아의 사회성, 확률적 사고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 대응 표본 -검정을 하였으며, K-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질성 검정에 있어,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 동질적 집단임을 알 수 있었고, 사회성 행동 영향 검정에 있어, 두 집단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실험집단의 사회성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사후 검사 차이에 따른 효과 검정에서도,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검사 평균 점수 차이가 있으나 통제집단은 유의미하지 않아 실험집단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국악 융합 놀이 활동’은 교육적 효과는 물론 사회성 증진 효과도 있음이 입증되어, 유아교육 활동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전통음악요소를 활용한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청소년의 집중력․창의성 증진을 중심으로-

        손윤영,우덕상,김민,남현우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8 국악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5~6학년 생활화 영역에 ‘음악과 건강’ 내용요소가 도입된 것에 주목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성취 기준을 중심으로 정규 음악 수업에서 자연스럽게 집단 국악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전통음악요소를 활용한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적용하여 국악수업을 통한 국악치료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 중 생활화 영역 중 ‘음악과 건강’ 내용요소와 국악교육 영역의 2015 개정 초등 5~6학년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내용을 분석 후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Ⅱ’에서 제시된 성취 기준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예시도 분석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초등 5~6학년 대상으로 전통음악 요소와 국악치료 기법을 융합하여 집중력․창의성 증진을 치료목적으로 집단치료활동중심의 학습목표와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적용하고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국악치료가 초등 5~6학년 음악수업 시간에 자연스럽게 도입될 수 있는 실제적인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다음과 같은 국악치료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였다. 첫째, 집중력 증진 영역의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 안은 선호하는 국악 듣기, 민요 메기고 받으며 각자에게 주어진 역할에 최선을 다해 노래하기, 자기순서가 될 때까지 기다리다 교사의 지시에 따라 자기 순번에 노래하기, 장단과 간단한 가락 따라 하기, 합주, 합창, 율동에 자기 순서를 기다렸다가 국악 활동에 참여하기, 장단에 맞추어 신체표현하기, 가락선을 그리고 표현하기, 1인 1국악기 배우기 등을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둘째, 창의성 증진 영역의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 안은 가락 바꾸기, 오음음계 활동, 인간조각 기법, 노랫말 바꾸기, 말붙임새 붙이기, 즉흥연주, 국악적 대화, 가락 창작, 즉흥 노래 부르기 등을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 안을 수업에 적용하기 전과 적용한 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못하였으나 집중력․창의성 증진에는 놀라울 만한 긍정적 치유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주로 음악교과 시간 외나 창의적 체험시간을 활용해 행해졌던 국악치료교육을 정규 음악시간을 통해 실행할 수 있는 발판을 구축했으며, 다문화가정, 탈북가정, 특수아, 중증 장애 등의 학생으로 행해졌던 소수의 치료대상을 일반학생으로 전체 확산 시켜 행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초기 단계에서 발견 될 수 있는 집중력 저하로 인한 수업 부적응이나 부족한 창의성 등을 그대로 방치하지 않고 담임교사나 음악 전담교사가 음악시간을 통해 5~6학년 학생들의 유전적 DNA와 사회적 DNA를 함께 공유하는 전통음악 요소를 활용한 국악치료를 해야 하는 당위성과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악교육과 국악치료를 융합한 국악치료교육이 이제 학교 교육현장에서 음악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생활화해야 할 새로운 과제로 제시될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 커다란 의미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겠다.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and to closely observe the introduction of the ‘music and health’ element in the domain of ‘musical application in daily life’ to music education for 5th and 6th grades. Based on this, it also aimed to develop and apply ‘a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through Korean music therapy,’ with the use of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that could naturally combine Korean music therapy in regular music classes in conformity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elementary music education, thu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usic therapy through Korean music classes. To this, the study examined ‘music and health’ in the domain of ‘musical application in daily life’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and the revised content of music curriculum for 5th and 6th grades in Korean music education and analyze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examples for each achievement criterion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oposal development research II.' Combining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and Korean music therapy skills to improve concentration and creativity as a therapeutic purpose targeting 5th and 6th grades, the study verified its positive effect through developing and applying a learning objective and a teaching-learning plan that centered on group therapy activities. Afterwards, It proposed a practical teaching-learning plan that enabled Korean music therapy to be seamlessly introduced to the 5th and 6th music classes and sought new direction of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in Korean music classes as follows. For the area of ​​concentration improvement, the plan include the following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to one’s favorite Korean music, singing while responding to one’s given role in a call and respond form of folk songs, waiting for one’s turn and then following teacher's instructions to sing in order, playing along rhythmic patterns and simple melodies, participating at Korean music activities such as ensemble, choir, dance in one’s turn, making physical expression to rhythmic patterns, expressing melodic contour, and learning an musical instrument. For the area of creativity enhancement, the plan included the following activities such as music composition, activities using a pentatonic scale, sculpture techniques for human figures, modifying lyrics, exploring rhythmic variations of lyrics, improvised performance, musical dialogue, melodic composition, and improvised singing. As a result of verifying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through Korean music therapy develop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ffect of music education, but there was a remarkably positive healing effect on concentration and creativity improvement. Thi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a platform to perform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in regular music classes, which used to take place out of music classes or during creative experiential time in previous studies. Also, the target recipients of therapy were restricted to a small number of groups, such a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refugee children,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severely disabled students, but can be extended to all general stud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firmed the justification and necessity of Korean music therapy in which homeroom teachers and music teachers should share the genetic DNA and social DNA of 5th and 6th grade students during music classes, while not neglecting class maladjustment or lack of creativity due to the deterioration of concentration that can be found at an early stage. Therefore,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as basic research that Korean music therapy, convergence of Korean music education and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can be presented as a new task to be made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music curriculum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 KCI등재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적용이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 표현력 신장과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박혜주,이숙경,우덕상,남현우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0 국악교육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on enhancing self-expression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rom October 15, 2019, to December 6, 2019, twice a week, a total of 16 sessions. Twenty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level 3) were selected as subjects from special needs classes at an elementary school in Ulsan, consisting of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ten children, respectively). The self-expression scale and social skills scale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expressive arts therapy program. The pre-post changes i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in SPSS Statistics 20.0.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expressive arts therap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lf-expression and social skills of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in special needs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 and post-statistical data, and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increased their self-expression and improved their social skills. This indicated that expressive arts therapy is an effectiv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measure that can be applied to special needs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본 연구는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적용이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 표현력 신장과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울산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지적장애(3급) 아동 20명을 실험집단, 통제 집단으로 각각 10명씩 구성하여 2019년 10월 15일부터 12월 06일까지 주 2회, 총 16회기 동안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표현예술 심리치료 프로그램 전후로 자기 표현력 척도와 사회성 기술 척도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에서 t-test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표현예술치료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 아동들의 자기 표현력 신장과 사회성 증진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실험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사전․사후 통계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실험 결과 지적장애 아동들이 실험 전보다 자기표현력이 신장되었고 사회성이 증진되었다. 이는 표현예술치료가 초등학교 특수학급 수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심리적․정서적 지원 방안임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