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폐포단백증 1예

        우대형,박정은,류영하,김현정,신경철,정진홍,이관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10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7 No.1

        Pulmonary alveolar proteinosis (PAP) is a rare disorder that’s characterized by accumulation of surfactant components in the alveolar space. Idiopathic PAP is recognized as an autoimmune disease that’s due to impaired alveolar macrophage function and this caused by autoantibodies against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We report here a case of pulmonary alveolar proteinosis that was deemed interstitial lung disease at the initial diagnosis. A 61-year-old man presented with intermittent blood tinged sputum and dyspnea on exertion. The man was a painter for 30 years and he had a 10 pack-years smoking history. Chest computerized tomography (CT) revealed multifocal ground-glass opacity with interstitial thickening at both lungs. His pulmonary function tests and methacholine test revealed non specific results. He was diagnosed with interstitial lung disease on the basis of the chest CT finding and occupational history. However, seven months later, his symptoms progressed. Follow-up chest CT was performed. Wedge resection via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the anterior basal segment of the left lower lobe) was done. Microscopic examination showed large groups of alveoli with excessive amounts of surfactant and a complex mixture of protein and lipid (fat) molecules. Finally, he was diagnosed as having pulmonary alveolar proteinosis.

      • KCI등재

        역사인구학 지표로 살펴본 조선후기 생활수준의 장기 추이, 1734~1910

        우대형 한국사회사학회 2019 사회와 역사 Vol.0 No.121

        곡물가격의 단기 변동에 대한 사망률의 민감도는 당대의 생활수준을 보여주는또 하나의 지표로 간주된다. 단기적인 생산충격에 의해 사망에 이르게 된 사람들은주로 그 사회의 최하층에 속한 사람들로서, 흉풍의 단기적 변화에 대해 사망률이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은 ‘생존위기’에 놓여있는 사람들의 숫자가 그만큼 많다는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만일 조선후기의 생활수준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었다면, 단기적인 생산변동에 대한 사망률의 민감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였을 것이며, 이와 반대로 생활수준이 개선되고 있었다면 사망률 민감도는 점차 둔화되는방향으로 변화되었을 것이다. 이 글은 이러한 아이디어에 기초하여, 1734~1910년간 곡물가격의 연간 변동에 대한 사망률의 민감도를 추정하고, 이를 통해 조선후기생활수준의 장기 추이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사망률의 민감도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곡물가격과 사망률 시계열은 兩班家와 그 친족집단이 남긴 쌀값 자료와족보로부터 구하였으며, 모형은 시차분포모형을 사용하였다. 추정 결과, 미가 변동에 대한 사망률의 민감도는 19세기 초 정점을 찍은 이후 점차 둔화되는 것으로나타났다. 즉 본 논문의 추정결과는 조선 후기의 생활수준이 지속적으로 악화되다가 개항 또는 20세기 식민통치의 시작과 함께 비로소 상승하기 시작하였다는 기존연구의 주장을 지지해주지 않는다. 오히려 이 글의 추정결과는 조선 후기의 생활수준이 19세기 초 최저점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개선되고 있었으며, 그 증가가 20세기에 와서도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Much debate surrounds the standards of living in pre-colonial Korea. Often based on various data sources such as real wages, body heights,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previous scholarship argued that living standards in Korea began only with Japan’s annexation in 1910. This research uses mortality sensitivities to short-term fluctuations of rice prices as a more salient indicator of living standards from 1734 to 1937. In a society close to subsistence level, poor harvests would lead to increased mortality due to malnutrition and increased vulnerability to various malnutrition-related diseases. Conversely, if the real income level is well above subsistence level, then a harvest failure need not have any substantial effect on mortality. In this respect, vulnerability to short-term harvest outcomes serves as a good indicator of living standards in preindustrial societies. Using rice price records of the Yangban and their kinship groups, as well as from their genealogies in Korea, times series data on rice prices and mortality rates are estimated. The findings contradict assertions that living standards continuously declined throughout the late Joseon period, only to rise after colonial rul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stead, living standards hit their lowest point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and rose steadily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일제하「改良農法」의 보급과 소득분배 : 경작규모와 생산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禹大亨 延世大學校經濟硏究所 1994 延世經濟硏究 Vol.1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일제하 改良農法의 利殖· 普及이 소득분배의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階層間 生産力 격차의 추이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토하는데 있다. 일제하 몇몇 자료를 이용하여 요소투입과 생산성 및 이윤을 계층별로 비교한 결과, 중하층농의 생산력 기반은 개량농법이 보급, 확산됨에 따라 상층농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차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량농법의 성과가 각 계층별로 골고루 분배되지 않았음을 시사해 주는 것으로서, 일제하 개량농법의 보급이 농가소득의 향상, 나아가 所得分配의 改善에 미친 영향은 부정적이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영상학적으로 전형적인 흡입화상 환자에서 헤파린사용 1예

        우대형,이관호,정진홍,신경철,최은영,김규진,박정은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1 No.1

        화상 환자에서의 폐합병증은 연기 흡입에 의한 호흡기도의 직접손상, 피부화상에 의한 순환성, 대사성, 감염성 합병증과 이들 치료 중에 나타날 수 있는 병변에 대한 합병증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그 중에서 흡입 화상은 불완전 연소된 부산물의 흡입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한 기도의 화학적 화상으로 폐에 여러 가지 합병증을 남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사망률이 높다. 흡입 화상은 그 기전에 따라 열 손상(thermalinjury), 저 산소 가스 흡입, 기관지 폐 독소의 직접 노출, 전신적 독소에 노출 등으로 분류하며, 폐 손상 정도는 연소 가스의 농도, 성분과노출된 시간 및 동반된 전신 화상의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 흡입 화상으로 인한 폐 합병증 중 반응성 기도과민 증후군(reactive airways dysfunction syndrome, RADS)은 기존의 호흡기 질환이 없던 사람에게서 급성으로 호흡기 자극 물질에 노출된 후에 기도과민 반응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천식 혹은 천식과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 흡입 화상 환자에서 헤파린의 사용은 기관지내 점액 농즙성 분비물의 침착을 줄이며, 산소포화도를 높이고, 폐의 압력 손상을 최소화 하며, 폐부종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55세 여자 환자가 집에서 자고 있던 중 화재로 인하여 흡입 화상을 입고 심한 호흡곤란을 주소로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기관 삽관후 인공호흡을 시행하였다. 기관지 내시경상 점막이 심하게 비후 되어있었으며 기관지내에 점액 농즙성 분비물이 많아 기관지 폐쇄가 우려되는 상황이었으며, 시행한 가슴 전산화 단층 촬영상흡입 화상에서 보이는 전형적인 기관지 벽면의 비후가 있었으며 폐 간질에 심한 부종이 있었다. 헤파린 흡입 치료를 6일간 시행하였으며 이후 기관지 폐쇄, 폐부종 등이 호전되어 퇴원하였으며 이후 외래에서 경과 관찰 중이다.

      • KCI등재

        쌀 생산성의 장기 추이에 대한 재검토, 1660-1938

        우대형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23 延世經濟硏究 Vol.30 No.1

        This article aims at estimating the long-term trends in rice productivity from 1685 to 1938, using large-scale panel data extracted from 36 types of autumn harvest records left by Korean yangban households and their relatives. Using an pooled OLS model, the estimation results for the long-term rice productivity trends on a per unit area basis shows a U-shape with the lowest point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In order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long-term U-shape trend in rice productivity with the lowest point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this article estimated a model with the large-scale time series records as the explained variable and premodern temperature data of the northern hemisphere and Asia and precipitation data from Joseon-era rain gages as the explanatory variable. The estimation results confirmed that as the productivity crisis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was due to a sudden phenomenon of abnormally low temperatures,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crisis productivity increases and the rise in temperatures, or the end of the “Little Ice Age”. 본 논문은 한국의 兩班家와 그 親族집단이 남긴 36종의 秋收記로부터 추출한 지대량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1660~1938년간 쌀 생산성의 장기추이를 추계하는데 목적이 있다. 합동 OLS 모형을 사용한 본 연구의 추정결과에 따르면, 단위면적당 쌀 생산성의 장기 추이는 19세기 초를 저점으로 하는 U자형의 모습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쌀 생산성의 장기 추이가 이와 같이 19세기초를 저점으로 U자의 형태가 나타나게 된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지대량 시계열 자료를 피설명변수로 하고 북반구 및 아시아의 古기온자료와 조선시대 측우기로 측정된 강우량 데이터를설명변수로 하는 모형을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19세기 초의 생산성의 위기는 이 시기 갑작스럽게 찾아온 ‘이상저온현상’ 때문이었으며, 그 이후의생산성 증가는 기온의 상승 즉 小氷期의 종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